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176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거제도 가라산 일대 식물군집구조 특성
오충현 ( Chung-hyeon Oh ) , 이수동 ( Soo-dong Lee ) , 염정헌 ( Jung-hun Yeum ) , 장재훈 ( Jae-hoon Jang ) , 이광규 ( Gwang-gyu Lee ) , 조봉교 ( Bong-gyo Cho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9(총1페이지)
가라산은 경상남도 거제시의 최남단 해변에 위치하며, 높이 585m로 거제에서 제일 높은 산이다. 가라산과 노자산을 잇는 능선의 남쪽과 동쪽은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해금강지구에 속하고 있다. 같은 준령에 위치한 노자산에는 천연기념물인 학동의 동백림이 입지해 있으며, 이들 지역은 팔색조 번식지이기도 하다. 난대림대에 속했으나 저지대의 개간, 조림, 벌채와 같은 인위적인 간섭이 심하여 이 지역 고유 임상인 상록활엽수림은 숲의 형태보다는 급사면을 중심으로 소규모 면적으로 남아 있어 보호가 필요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라산 일대에 분포하는 식생의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하여 생태적 특성, 환경요인와의 관계 분석등을 통해 군락의 종구성 특성, 천이경향을 예측하고자 진행하였다.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위해 능선부와 사면을 대상으로 10mx10m(100㎡) 조...
한국과 중국의 습지보전관리체계 비교 연구
자오쉐신 ( Zhao-xuexin ) , 박현빈 ( Park-hyun Bin ) , 김동필 ( Kim-dong Pil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13(총1페이지)
산업혁명 이후 급속한 과학기술의 발전, 산업화 및 인구 증가는 환경과 생태계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 왔다. 이로 인해 현재 지구의 환경 문제는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단계에 이르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중에 습지도 파괴를 많이 당하기 때문에 습지보전 문제는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1971년 이란의 람사르는 물새 서식처로서 국제 중요 습지의 보전에 관한 국제협약이 체결된 도시이기도 한다. 한국과 중국도 람사르 공약에 가입한 후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습지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국제적으로 습지에 관한 연구가 많이 존재하지만 한중 습지에 대한 비교연구는 많지 않다고 보인다. 또한, 한국과 중국은 중요한 이웃 나라기 때문에 문화, 무역, 환경 등 분야뿐만 아니라 습지보전의 분야에서도 협력하여 밀접한 관계를 맺어야 한다고 생각한...
드론용 라이다(LiDAR)를 활용한 3차원 모델 구축과 자연유산 모니터링
이원호 ( Won-ho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14~15페이지(총2페이지)
명승 및 천연기념물 등 우리 국토의 자연유산은 면적이 넓고 학술적 가치가 높은 지형지물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지구온난화나 자연재해에 훼손 가능성이 높고 복원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자연유산의 현상을 파악하고 위기관리 대응방안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그러나 자연유산은 조사인력의 접근이 어렵고 인력과 예산투입이 과다하며, 석탑이나 건물처럼 정형화되지 않은 형태 그자체를 지키고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조사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교란과 문화재 훼손의 영향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첨단기술을 도입한 조사기법은 환경문제에 대한 피해예측과 훼손 저감을 위한 선제적 대응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자연유산 보존관리 분야에서는 이미항공사진 촬영이나 3D 스캔 등을 통한 3D 모델링 기법과 DB구축이 ...
정원의 입지환경을 통해 본 고산 윤선도의 정원 조성 기법 - 보길도 윤선도 원림, 해남 수정동·금쇄동 정원유적을 중심으로 -
이원호 ( Won-ho Lee ) , 김동현 ( Dong-hyu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16~17페이지(총2페이지)
우리나라 전통정원은 당대 유행한 다양한 사상과 수려한 자연환경이 결합된 문화 중 하나로 조선시대 한국정원의 고유한 양식이 완성되었다. 그러나 구한말 외국인 선교사의 글을 보면 한국에는 조경술이 알려지지 않았다고 전하며,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대외비문서에는 자연에 의지하여 그대로 방치한 채 돌보지 않는다고 기록하였다. 이는 정원 조성기법이 발전되지 못했다기보다는 전통정원이 배산임수 지형에 최소한의 인공을 가미한 자연친화적 입지선정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원의 입지환경과 이에 따른 정원 요소 배치 및 설정을 설펴보는 과정은 과거 전통정원의 조성 기법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통조경에 뛰어난 업적을 남긴 대표적 정원가로 꼽히는 고산 윤선도의 정원을 사례로 정원의 입지환경과 공간구성, 구성요소들을 살펴봄으로써...
암사동 생태·경관보전지역 식물의 생활형 특성
윤다움 ( Da-um Yun ) , 차두원 ( Doo-won Cha ) , 이준영 ( Jun-yeong Lee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18(총1페이지)
암사동 생태·경관보전지역은 콘크리트 블록으로 정비하지 않고 자연적인 강기슭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 도시지역 내하천습지이다. 암사동 생태·경관보전지역은 여름 장마철에 한강물이 넘치면서 유입된 토사가 자연스럽게 퇴적해 습지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어, 남생이 등 파충류와 어류 등이 산란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져 있다. 그러나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전에는 습지 내부의 산책로로 인해 야생동물의 종·개체수가 적게 조사되었고, 이에 서울시는 2002년 12월에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내부 산책로 및 수변지역 통행로의 전면출입을 제한하고 보전 및 관리 중이다. 현재 암사동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일부 습지(갯골) 등의 육화현상이 심화되어 버드나무 군락 및 갈대 군락 우점지역으로 변화되었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암사동 생태·경관보전지역을 대상으로 식물상을 조사하여 Num...
도시 환경 개선을 위한 바람길숲 조성 계획 연구 - 구미시를 대상으로 -
손정민 ( Jeong-min Son ) , 엄정희 ( Jeong-hee Eum ) , 백준범 ( Jun-beom Baek ) , 성욱제 ( Uk-je Sung ) , 김주은 ( Ju-eun Kim ) , 김장한 ( Jang-han Kim ) , 최상태 ( Sang-tae Choi ) , 손인설 ( In-seol So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19~20페이지(총2페이지)
도시화로 인해 인공토지피복이 증가하고 고층 건물이 밀집함에 따라 도시열섬현상, 폭염, 열대야 등 도시의 열환경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도시의 높은 미세먼지 농도로 인해 대기질 문제까지 심각한 상황이다. 미세먼지는 도시 환경뿐만 아니라 인간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국민적 관심과 우려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의 열환경 및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고 있는 가운데, 산림청은 도시숲의 기후완화 및 대기정화기능에 주목하였고 2019년부터 전국적으로 ‘도시 바람길숲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바람길숲 조성사업’은 ‘차고 신선한 공기(찬공기)’를 도심으로 끌어들여 공기순환을 촉진하고, 뜨거운 공기와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기 위해 도시 외곽산림과 도시 내 산재된 숲을 연결하는 도시숲을 계획하는 사업...
정맥의 찬공기 특성에 기반한 관리방안 연구 - 한남정맥, 금남정맥을 사례로 -
성욱제 ( Uk-je Sung ) , 손정민 ( Jeong-min Son ) , 엄정희 ( Jeong-hee Eum ) , 김동필 ( Dong-pil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21~22페이지(총2페이지)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다차원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특히 폭염, 열대야 등 기온상승으로 인한 도시 기후환경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도시 기온 저감에 대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그 중 야간 산림에서 생성된 ‘차고 신선한 공기(찬공기)’가 지형을 타고 도심으로 들어와 폭염과 열대야를 완화시키는 바람길을 활용하는 방안이 있다. 바람길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찬공기 생성지역의 위치와 찬공기 생성량 분석과 찬공기 수혜지역(도심)까지의 연결성 파악 등 찬공기 특성 분석이 중요하다. 산림은 찬공기 생성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지역이며, 그 중 정맥은 도심과 가장 인접한 산맥이다. 따라서 정맥은 바람길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산림이므로 정맥의 찬공기 특성 분석을 통해 바람길에 활용할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정맥 ...
무등산국립공원의 식생구조와 수목 종간 관계 연구
장정은 ( Jung-eun Jang ) , 이상철 ( Sang-cheol Lee ) , 강현미 ( Hyun-mi Kang ) , 유승봉 ( Seung-bong Yu ) , 신해선 ( Hae-seon Shin ) , 최송현 ( Song-hyu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25(총1페이지)
사회연결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이란 개체(entity)와 그들 간의 관계(relationship)로 정의되며,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다양한 사회적 현상을 설명한다. 사회과학 분야뿐만 아니라 물리학, 의학 등 자연과학 분야에서도 많이 이용된다. 식물과 식물 사이에는 빛, 물, 영양분 및 공간 등 자원을 둘러싸고 경쟁(competition)을 하거나 서로의 발아, 생존, 성장, 번식과 같은 생활사를 촉진(facilitation)한다. 동소적으로 자라는 식물 종간에는 이런 상호작용을 통해 긍정적(+), 부정적(-)인 작용이 동시에 일어난다. 식물사회학은 이러한 생물적·비생물적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식물군락(plant community)을 대상으로 식물의 군락구분과 연관된 연구...
산악형 국립공원 관리를 위한 생태계서비스 평가 연구
위사양 ( Si-yang Wei ) , 김진원 ( Jin-won Kim ) , 장진 ( Jin Jang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26(총1페이지)
인간의 삶은 생태계에 달려 있다. 생태계 서비스는 인간의 모든 생활, 생산 활동에 제공되는 혜택의 합이며 지구의 생명유지 시스템과 환경의 역동적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인구 증가와 사회 경제의 급속한 발전은 생태계에 대한 압력을 증가시키고 인간이 생태계 기능의 지속적인 감소에 노출되었다. 2005년에 진행했던 새 천년 생태계서비스평가(MA, The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의 결과, 전 세계적으로 60% 이상의 생태계가 기능이 여러 가지 문제로 약화되었다. 이는 인간의 안전과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으며 인간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문제 중의 하나가 되었다. 따라서 생태계서비스 기능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는 것은 인간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자연보...
민간인통제구역 내 토지이용변화와 두루미류서식영향분석 및 보호지역 적용방안 - 철원군 이길리 일대를 대상으로 -
이광규 ( Gwang-gyu Lee ) , 이수동 ( Soo-dong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27~28페이지(총2페이지)
비무장지대는 정전협정 이후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되면서 다양한 특성을 지닌 생태계로 변화되었다. 비무장지대의 완충구역인 민간인통제구역은 개발행위가 제한적이며 농경지로 인해 낙곡과 농업부산물들을 이용하는 두루미 및 재두루미의 서식처역할을 하고 있는 지역이다. 하지만 민간인통제구역 내에서도 시설경작지(비닐하우스, 인삼밭), 축사, 창고 등의 증가로 야생생물의 서식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어 토지이용변화와 두루미류 위치 및 개체수를 통해 두루미류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민간인통제선 해제와 군사보호구역 축소로 인한 개발의 위협에 노출되어 있어, 향후 민간인통제선 해제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를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지는 두루미 및 재두루미의 중간기착지이자 월동지인, 철원군 이길리, 정연리, 유곡리, 도창리 일대를 대상지로 하였으며, 토지이용변...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