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대한골절학회 AND 간행물명 : 대한골절학회지2338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골 치유의 최신 지견
서동훈 ( Dong Hun Suh ) , 구봉모 ( Bong Mo Koo ) , 강종우 ( Jong Woo Kang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0] 제33권 제3호, 171~177페이지(총7페이지)
골 손상이 발생하면 손상된 골을 치유하기 위한 염증 반응을 발생하나 이러한 염증 반응이 정상적인 과정을 벗어나 잘못된 방향으로 진행되면 골은 치유되지 않고 만성 염증 반응이 유발되어 여타 조직의 손상만을 가져온다. 골 손상 초기의 급성 염증 단계에서는 중성구, 대식 세포 등 염증 세포가 생성되며 이러한 세포에서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및 성장인자가 분비되어 골 치유의 과정이 시작된다. 가골 형성의 단계에서는 조골 세포와 연골 세포 등 간엽성 줄기 세포에서 유래된 세포들이 골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나 이러한 골 치유 기전에 관여하는 여러 가지 세포 및 사이토카인 등의 구체적인 작용 기전에 대하여서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현재까지 밝혀진 골 치유 기전을 응용한 여러 가지 새로운 골 치유 기법이 개발되었으며 좋은 임상 결과를 거두...
TAG Bone healing, Fractures, Inflammation, Tissue engineering, 골 치유, 골절, 염증, 조직 공학
60세 이상의 대퇴골 간부 골절에서 이상와 삽입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치료 시 내반 변형의 변화와 불유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분석
차용한 ( Yonghan Cha ) , 박찬호 ( Chan Ho Park ) , 유준일 ( Jun-il Yoo ) , 김정택 ( Jung-taek Kim ) , 김우석 ( Woosuk Kim ) , 김하용 ( Ha-yong Kim ) , 최원식 ( Won-sik Choy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0] 제33권 제2호, 65~71페이지(총7페이지)
목적: 고령 환자들의 대퇴골 간부 골절에서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수술 시 내반 변형이 골절 부위의 형태 변화 양상과 골유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대퇴골 간부골절로 이상와 삽입 골수강내 금속정 수술을 받은 60세 이상의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내반 그룹과 비내반 그룹, 골유합 그룹과 불유합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불유합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위해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환자는 내반 그룹 11명과 비내반 그룹 15명, 골유합 그룹 24명과 불유합 그룹 2명으로 분류하였다. 내반 그룹은 비내반 그룹과 비교하여 평균 다리 길이가 더 늘어났고 내반 각도 더 감소했다(p<0.05). 골유합 그룹은 불유합 그룹에 비해 외측 피질골의 접촉...
TAG Femur, Shaft fracture, Intramedullary nail, Varus deformity, Nonunion, 대퇴골, 간부골절, 골수정, 내반 변형, 불유합
작은 단일 피부 절개로 최소 침습적 금속판 내고정술을
김영성 ( Young Sung Kim ) , 김종필 ( Jong Pil Kim ) , 정필현 ( Phil Hyun Chung ) , 이호민 ( Ho Min Lee ) , 고보성 ( Bo Sung Go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0] 제33권 제2호, 72~80페이지(총9페이지)
목적: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에서 작은 단일 피부 절개를 이용한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과 고식적 개방적 금속판 고정술의 치료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작은 단일 피부 절개를 이용한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 또는 고식적 개방적 금속판 고정술로 치료 받은 원위 요골 골절 환자 43명에 대해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이중 21명은 작은 단일 피부 절개를 이용한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하였고 22명은 개방적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방사선학적 결과 및 최종 추시에서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양 군의 모든 환자에서 골절이 유합되었고, 골 유합 시기, 방사선학적 정렬, 관절 운동 범위, QuickDASH score 및 통증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평균 창상의 크기는 최소 침습적 접근법은 23 mm...
TAG 원위 요골 골절, 개방적 금속판 고정술,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 단일 피부 절개
초음파 파쇄법을 이용한 내고정물 주위 감염 진단의 효용성
서재현 ( Jae Hyeon Seo ) , 김미나 ( Mi Na Kim ) , 김지완 ( Ji Wan Kim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0] 제33권 제2호, 81~86페이지(총6페이지)
목적: 내고정물 주위의 감염에서 내고정물 제거물의 초음파 파쇄법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 검사가 배양률, 진단율을 높일 수 있는지, 그리고 항생제 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내고정물 주위 감염의 진단 혹은 배제를 위해 내고정물 제거를 시행하면서 초음파 파쇄법을 이용한 배양검사 및 일반 조직 배양 검사를 시행했던 37명 환자의 41예 수술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전후 사용한 항생제의 종류 및 기간, 금속물의 종류, 배양 검사 결과와 그에 따른 항생제 변경 유무, 감염의 재발 유무를 확인하였다. 결과: 41예의 내고정물 제거술 중 수술 전 감염이 의심되어 배양 검사를 시행한 경우는 20예였고, 이들은 모두 감염으로 진단되었다. 임상적으로 수술 전 감염이 의심되지는 않았으나 잠재적인 감염의 배제를 위해 배양 검사...
TAG Infection, Implant-related infection, Biofilm, Sonication, 감염, 내고정물 주위 감염, 균막, 초음파 파쇄법
컴퓨터를 이용한 대퇴골 비전형 골절의 3차원적인 형태 분석 및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위한 임상적 응용
권용욱 ( Yong Uk Kwon ) , 이경재 ( Kyung-jae Lee ) , 최주영 ( Joo Young Choi ) , 정구희 ( Gu-hee Jung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0] 제33권 제2호, 87~95페이지(총9페이지)
목적: 비전형 골절이 없는 반대측 대퇴골에 대해 골수강이 포함된 3차원 모델을 실제 크기로 제작하여 형태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1개의 모델에 대해 간부의 외측 및 전방 휨을 측정하였으며 골수강의 형태를 3차원적으로 분석하였다. 투사 오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금속정 나사의 이상적 위치인 두 경부 중심선이 중립이 될 정도로 대퇴골을 내회전시킨 후 촬영된 전후면 영상과 내측 및 외측 대퇴골과가 정확하게 일치하는 측면 영상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외측 휨은 평균 5.5° (범위 2.8°-10.7°, SD 2.4°)였고, 전방 휨은 평균 13.1° (범위 6.2°-21.4°, SD 3.2°)였다. 외측 휨이 증가된 부위에서는 외측 피질골이 두꺼워지면서 골수강은 직선화되었고, 측면상에서는 골수강의 전방각이 현저하게 증가되어 곡률 직경...
TAG Femur, Atypical fracture, Three-dimensional modeling, Anterolateral bowing, Intramedullary nail fixation, 대퇴골, 비전형 골절, 3차원 모델링, 전 외측 휨,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자가 골연골 이식술(모자이크 성형술)로 치료한 고관절 탈구와 동반된 대퇴 골두 골절 - 증례 보고 -
최의성 ( Eui-sung Choi ) , 손현철 ( Hyun-chul Shon ) , 정호승 ( Ho-seung Jeong ) , 양재영 ( Jae-young Yang ) , 홍석현 ( Seok-hyun Hong ) , 안병현 ( Byung-hyun Ahn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0] 제33권 제2호, 96~100페이지(총5페이지)
고관절의 탈구와 동반된 대퇴 골두 골절은 매우 드문 손상이다. 대부분의 경우 대퇴 골두 골절은 교통사고에 의한 고관절이나 하지의 고 에너지 손상으로 기인한다. 대퇴 골두 골절의 치료로 다양한 방법이 있다. 특히, 젊고 활동적인 환자에서 발생한 대퇴 골두의 외상성 골연골 손상의 치료로 다양한 관절 보존 치료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저자들은 고관절 탈구와 동반된 대퇴 골두의 외상성 골연골 손상을 경험하고 연골 결손 부분에 대해 수술적 고관절 탈구 수술법으로 비체중부하 부위인 동측 대퇴 골두 하부의 자가 골연골을 이식하여 치료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수술 후 1년째 통증 호소나 단순 방사선 촬영에서 외상 후 관절염 소견 없이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이고 있다.
TAG Femoral head fracture, OATS, Fracture-dislocation, 대퇴 골두 골절, 자가 골연골 이식술, 골절-탈구
비스포스포네이트 복용과 관련된 비전형 척골 골절에 대한 치료 - 증례 보고 -
김동수 ( Dong-soo Kim ) , 박지강 ( Ji-kang Park ) , 최의성 ( Eui-sung Choi ) , 정호승 ( Ho-seung Jeong ) , 홍석현 ( Seok-hyun Hong ) , 안병현 ( Byung-hyun Ahn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0] 제33권 제2호, 101~104페이지(총4페이지)
비스포스포네이트는 골다공증 치료제로 장기간 복용 시 비전형 골절이 나타날 수 있다. 비전형 골절은 주로 대퇴골 전자하 혹은 간부 골절로 나타나며 많은 보고를 통해 치료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척골 근위부의 비전형 골절에 대한 보고는 비교적 드물며 보고 사례들중 불유합 비율이 높은 편이다. 저자들은 척골 근위부 비전형 골절에 대해 금속 고정 후 발생한 불유합에 대해 성공적으로 치료한 사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TAG Atypical ulnar fracture, Nonunion, Bisphosphonate, Bone graft, 비전형 골절, 불유합, 비스포스포네이트, 골 이식
척추 압박 골절 후 발생한 척추관내 경막외 낭종 - 증례 보고 -
최병열 ( Byeong Yeol Choi ) , 최종은 ( Jong Eon Choi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0] 제33권 제2호, 105~109페이지(총5페이지)
척추관내 경막외 낭종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지만 신경을 압박하여 심각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80세 여자 환자가 낙상 후 발생한 제12흉추의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에 대하여 척추 성형술을 시행받았으나 시술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고 하지 위약이 진행되었다. 다시 진행한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척수를 압박하는 척추관내 경막외 낭종성 병변이 확인되어 후방 접근법을 통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수술 후 증상은 호전되었고 추적 관찰 1년 동안 증상의 재발은 없었다. 저자들은 골다공증성 압박 골절 후 발생한 척추관내의 낭성 종괴에 의해 척수가 압박되었던 드문 증례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TAG Extradural cyst, 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 경막외 낭종, 골다공증성 압박 골절
인공 주관절 전치환술 후 치환물 주위 골절의 치료
서현석 , 임진형 , 이주엽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0] 제33권 제2호, 110~117페이지(총8페이지)
주관절 전치환술은 주관절의 류마티스 관절염을 비롯하여 퇴행성 관절염, 급성 골절, 불유합 및 부정유합, 외상 후 관절염, 종양, 만성 불안정성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지속적인 치환물 디자인의 발전과 함께 점차 수술의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와 더불어 치환물 주위 골절 또한 증가 추세에 있다. 하지만 고관절이나 슬관절에 비하여 주관절 전치환술은 상대적으로 시행 건수가 적어 치환물 주위 골절에 대한 보고 및 장기 추시 결과가 적은 편이다. 좋은 치료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와 보고들을 참고하여 수술의 적응증에 해당하는 환자를 선택하고 계획한 대로 정확한 치료를 해야 한다. 본 종설에서는 인공 주관절 전치환술 후 치환물 주위 골절의 원인 및 위험 인자를 살펴보고, 분류에 따른 치료 원칙을 알아보도록 한다.
TAG Elbow, Arthroplasty, Periprosthetic fracture, 주관절, 인공관절, 치환물 주위 골절
인공 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치환물 주위 골절
조남수 ( Nam Su Cho ) , 김명서 ( Myung Seo Kim ) , 양재우 ( Jae Woo Yang ) , 서증환 ( Jeung Hwan Seo ) , 서동원 ( Dong Won Seo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0] 제33권 제2호, 118~123페이지(총6페이지)
인공 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치환물 주위골절의 발생은 대체로 드물지만 치료하기가 쉽지 않다. 최근 인공 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는 고령의 환자가 크게 늘면서 치환물 주위 골절의 빈도도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치환물 주위 골절에 대한 치료 방향의 결정은 치환물의 안정성, 골절의 위치 및 환자의 골질에 따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하지만 치료 지침 및 치료결과에 대한 정보 및 문헌 보고는 아직까지 제한적이다. 이종설에서는 치환물 주위 상완골 골절의 위험 요인, 분류, 치료 및 그 결과에 대해 문헌 고찰을 통해 요약, 정리해 보고자 한다.
TAG Shoulder, Periprosthetic humeral fractur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Treatment, 견관절, 치환물 주위 골절, 인공 견관절 전치환술, 치료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