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산림경제학회29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Effects of Deforestation on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Status of Local People: A Case Study in Myanaung and Labutta Townships, Myanmar
( Wint Theingi Phway ) , ( Kyaw Zin Oo ) , ( Nyunt Khaing ) , ( Jewel Andoh ) , ( Don Koo Lee ) , ( Yohan Lee )  한국산림경제학회, 산림경제연구 [2017] 제24권 제2호, 25~39페이지(총15페이지)
TAG forest cover change, forest income, local people perception,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impacts
전남대학교 장성학술림 연혁과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김혜림 ( Hye-rin Kim ) , 김민희 ( Min-hee Kim ) , 안기완 ( Ki-wan An )  한국산림경제학회, 산림경제연구 [2017] 제24권 제2호, 11~24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전남대학교 장성학술림의 연혁과 지역사회에서 차지하는 역할론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술림이 교육공간만이 아닌 국민의 산림복지서비스 수요를 대응할 수 있는 산림복지공간으로 활용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첫째, 산림경영계획서 분석을 통해 장성학술림 산림자원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제1차기 (1968 - 1977)에 비해 침엽수림 면적이 34ha, 무립목지와 활엽수 임분은 감소한 반면 혼효림 면적은 355ha로 증가하였다. 학술림의 임목축적은 제1차기 13. 5㎥에서 제7차기 147㎥으로 증가되었다. 둘째, 장성학술림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장성학술림의 연간 경제적 파급효과 생산파급액은 9,911백만원, 소득파급액은 1,129백만원, 부가가치 파급액은 2,938백만원, 고용파급자수는 127명으로 추정되었다....
TAG university fores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output impact, income impact, value-added impact, employment impact
제5차 산림기본계획 주요 사업에 대한 정성적 평가
변승연 ( Seung-yeon Byun ) , 구자춘 ( Ja-choon Koo ) , 석현덕 ( Hyun-deok Seok )  한국산림경제학회, 산림경제연구 [2017] 제24권 제1호, 1~13페이지(총13페이지)
산림기본계획은 「산림기본법」 제 11 조(산림기본계획의 수립 · 시행)에 의해 장기 전망을 기초로 하여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이 이루어지도록 전국의 산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중앙 정부차원의 계획이다. 현재 제5차 산림기본계획 (2008-2017) 이 추진 중에 있으며, 2018년 제6차 산림기본계획 수립을 앞에 두고 있다. 제6차 산림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제5차 산림기본계획 (`08-`17) 및 변경된 제5차 산림기본계획 (`13-17 `)의 추진 성과 및 한계에 대한 총괄적이고 실정적인 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통해 제5차 산림기본계획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할 뿐만 아니라 제6차 산림기본계획에도 그 결과를 반영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5차 산림기본계획 27대 사업에 대한 평가를 위해 사업별 실제 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 ...
TAG Forestry Basic Plan, qualitative evaluation, system analysis
산촌에 대한 도시민의 인식 조사
민경택 ( Kyung-taek Min )  한국산림경제학회, 산림경제연구 [2017] 제24권 제1호, 15~24페이지(총10페이지)
이 조사는 도시민의 산촌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시와 6대 광역시 거주 도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2015년 11월 9 - 11일에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한 것이다. 도시민들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산촌의 이미지는 `산림`, `논 · 밭`, `임산물`이다. 산촌거주에 대한 생각은 `살기좋은 곳(41 %)`, `살기 어려운 곳(26%)`으로 나뒤는데, 전자의 이유는 `생태자연이 풍부하기 때문`, `인정이 있기 때문`이고, 후자의 이유는 `물건을 구입하기 불편하다`는 것과 `의료시설이 부족하고 일자리가 적다`이다. 산림 · 산촌의 기능에 대한 도시민의 기대는 `휴양공간 제공`가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쾌적한 경관 제공`, `지구옹난화 방지에 기여`이었다. 산촌의 현황을 5점 척도로 평가하게 하였는데, `산촌은 고...
TAG mountainous villages, rural migration, survey, urban residents, vitality
도시가구의 대추 소비특성 변화분석(2011-2016년)
김명은 ( Myeong-eun Kim ) , 석현덕 ( Hyundeok Seok )  한국산림경제학회, 산림경제연구 [2017] 제24권 제1호, 25~33페이지(총9페이지)
이 연구는 소비자의 대추 소비특성 변화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주요 도시가구를 대상으로 수행된 설문조사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축 소비 빈도는 2011년 이후 큰 변화가 없으나 연령별 차이가 더욱 뚜렷해졌다. 대추 구입 이유는 조리용이나 제수용품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비율이 높으나 최근에는 과일처럼 먹기 위해 구입하는 비율도 높아졌다. 대추 구매 빈도는 과거보다 줄었지만 1회 구입량과 지출액은 증가하였다. 대추 가공품 구입 경험은 6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많이 나타났고, 월평균 소득이 600만 원 이상인 가구의 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향후 대추 소비에 대한 계획은 크게 증가할 요인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추 생산자들이 소비자의 소비 패턴 변화에 맞추어 다수확 위주의 생산보다...
TAG Consumer Survey, Consumption Patterns, Korean Jujube, Urban households
Household`s Willingness to Pay for Riparian Forest Buffer Conservation: A Case Study of Inle Lake, Myanmar
( Hay Marn Thaung ) , ( Jewel Andoh ) , ( Yohan Lee )  한국산림경제학회, 산림경제연구 [2017] 제24권 제1호, 61~72페이지(총12페이지)
이 연구는 소비자의 대추 소비특성 변화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주요 도시가구를 대상으로 수행된 설문조사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축 소비 빈도는 2011년 이후 큰 변화가 없으나 연령별 차이가 더욱 뚜렷해졌다. 대추 구입 이유는 조리용이나 제수용품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비율이 높으나 최근에는 과일처럼 먹기 위해 구입하는 비율도 높아졌다. 대추 구매 빈도는 과거보다 줄었지만 1회 구입량과 지출액은 증가하였다. 대추 가공품 구입 경험은 6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많이 나타났고, 월평균 소득이 600만 원 이상인 가구의 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향후 대추 소비에 대한 계획은 크게 증가할 요인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추 생산자들이 소비자의 소비 패턴 변화에 맞추어 다수확 위주의 생산보다...
TAG Deforestation, Riparian forest buffer, willingness to pay, contingent valuation method, Inle Lake, Myanmar
산립 생태계서비스 가치 적용을 위한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편익이전 방법을 중심으로 -
김준순 ( Joonsoon Kim )  한국산림경제학회, 산림경제연구 [2017] 제24권 제1호, 35~43페이지(총9페이지)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가치 평가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가운데, 다양한 가치 평가 자료들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활용한 편익이전법의 활용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치 평가 과정을 평가대상 및 기능의 결정, 생태계서비스의 구체화, 평가주체의 설정, 가치 평가 방법의 결정 등 4단계로 구분하여 각 과정별로 수행해야 할 내용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편익이전법을 적용할 때 사례 연구 선정을 위해 적합성, 지역성, 시의성, 신뢰성 원칙을 제시하였다. 각 선정 원칙에 의해 평가한 결과를 종합하는 방법으로 가법형과 승법형의 소개와 함께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는 가치의 편익이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간의 축소/확대 가능성, 수혜자의 공간적 범위 설정, 지역 특성을 반영한 차등적 가치의...
TAG total value, additive model, multiplicative model, unit value, discount rate
일본의 농ㆍ산촌지역 활성화 정책에 대한 분석
강경구 ( Kyoungkoo Kang ) , 양천은 ( Cheoneun Yang ) , 안기완 ( Kiwan An )  한국산림경제학회, 산림경제연구 [2017] 제24권 제1호, 45~60페이지(총16페이지)
일본의 산촌은 전체 국토면적의 47.2%, 임야면적의 61.0%, 경지면적의 21.4%, 전체 인구의 3.06%, 전체 지자체의 42.7%를 차지한다. 산촌지역은 주민이 임업을 영위하는 장소이며 산림의 다면적 기능의 발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고사화와 고령화가 진행되어 산림관리에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 농산촌지역의 소득 및 정주환경에 관련된 정책변화를 고찰하고, 관련법과 농산촌지역의 동향 분석, 각종 산촌정책의 우수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산촌활성화 정책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촌진흥법을 05년 3월까지 10년 더 연장하였고 산촌에 대한 기본이념에 대한 규정을 설치하는 법적 정비를 추구하였다. 둘째, 1960년대 중반에서 1990년대 초까지 농ㆍ산촌지역...
TAG Regional Activation Policies, Mountain Villages, the Sixth lndustly, Political implication, Endogenous development.
소비자 특성별 밤 구매행태 분석(2016)
장철수 ( Cheol-su Chang ) , 은종호 ( Jong-ho Eun )  한국산림경제학회, 산림경제연구 [2016] 제23권 제2호, 1~7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특성별 밤 구매행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밤 산업 발전을 위한 소비 촉진 및 마케팅 등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응답자 특성별 밤의 구매행태의 분석결과, 연령별 밤 구매 시기는 명절과 햇밤 출하시기에 주로 구매하였으며 소득별 구매 시기 역시 연령과 마찬가지로 명절, 햇밤 출하시기에 구매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특성 구분 없이 밤 구매 형태는 생밤의 구매비중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소독이 높을수록 가공밤을 구매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밤 구매 시 우선고려사항은 응답자 특성 구분 없이 신선도가 1순위로 선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외형과 원산지가 서로 번갈아가며 2,3순위로 나타났다. 현재 우리나라 밤 산업은 대 내외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어 위축될 ...
TAG Chestnut Purchase, purchase Behavior, Consumer Characteristics
REC 가중치 변동에 따른 산림 내 임지잔재 경제성 분석
이경민 ( Kyoung Min Lee ) , 오혜진 ( Hye Jin Oh ) , 강학모 ( Hag Mo Kang ) , 정동열 ( Dong Yeol Jeong ) , 최수임 ( Soo Im Choi )  한국산림경제학회, 산림경제연구 [2016] 제23권 제2호, 9~17페이지(총9페이지)
2012년 RPS 제도가 시행된 이후 바이오매스 연료 수요가 급증하면서 대부분의 발전사들은 목질계 바이오매스 혼소를 위해 수입 목재펠릿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입 목재펠릿을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 에너지원으로서 임지잔재 사용을 가정하여 임지잔재에 REC 가중치가 부여될 경우 수입 목재펠릿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 경제성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발열량당 단가비교에서 임지잔재 REC 가중치가 1.0 이상이면 가격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REC 가중치별 산림 내 임지잔재의 수집비용은 어느 정도까지 가능한지 검토한 결과, 가중치 1.0의 경우 127,200원/톤, 가중치 1.2는 152,400원/톤, 가중치 1.5는 190,500원/톤까지 가능하였다.
TAG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 Renewable Energy Certification (REC), forest byproducts, biomass energy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