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어류학회145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거제시 구조라 및 망치 연안에 출현하는 까나리(Ammodytes japonicus) 자어의 식성
강다연 ( Da Yeon Kang ) , 남기문 ( Ki-mun Nam ) , 최옥인 ( Ok-in Choi ) , 박경현 ( Kyeong Hyun Park ) , 김병섭 ( Byeong Seop Kim ) , 김윤정 ( Yoon Jung Kim ) , 백근욱 ( Gun Wook Baec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0] 제32권 제2호, 97~102페이지(총6페이지)
거제시 구조라 및 망치 연안에서 우점하여 출현한 까나리(Ammodytes japonicus) 자어는 조사기간인 2019년 1월과 2월 동안 총 208개체가 채집되었고 척생장의 범위는 1.46~8.00 mm였다. 까나리 자어의 주먹이생물은 요각류가 가장 우점하였고, 그 중 긴노요각목 요각류를 가장 많이 섭식하였으며, 검물벼룩목 요각류를 그 다음으로 많이 섭식하였다. 요각류 외에도 어류 난, 패충류, 갑각류 유생도 섭식하였으나 그 양은 많지 않았다. 까나리 자어의 성장에 따른 먹이생물 변화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3개의 크기군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2 mm, 3~4 mm, ≥5 mm, Notochord length), 성장함에 따라 긴 노요각목 요각류의 섭식비율은 점차 증가하고 검물벼룩목 요각류는 감소하였으며, 평균 먹이생...
TAG Ammodytes japonicus, Geoje, feeding habits, juvenile, post-larvae
거제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붕장어(Conger myriaster)의 위내용물 조성
김경률 ( Kyung Ryul Kim ) , 남기문 ( Ki Mun Nam ) , 박경현 ( Kyeong Hyeon Park ) , 김병섭 ( Byong Seob Kim ) , 한명일 ( Myung Il Han ) , 곽주원 ( Ju Won Kwak ) , 백근욱 ( Gun Wook Baec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0] 제32권 제2호, 103~109페이지(총7페이지)
붕장어 (Conger myriaster)는 2018년 6월부터 2019년 5월까지 거제 구조라, 망치 인근해역에서 장구형통발을 이용하여 매달 1회 채집해 이용하였으며, 항문장 (Preanus length)과 습중량을 각각 0.1 cm, 0.1 g까지 측정한 뒤 위를 적출하여 가능한 종 수준까지 분석하였다. 위내용물 분석결과는 각 먹이생물에 대한 출현빈도 (%F), 개체수비 (%N), 습중량비 (%W)를 구하여 상대 중요도지수비 (%IRI)로 수치화하여 주 먹이생물과 크기군에 따른 먹이조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붕장어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어류 (Pisces)였으며, 그중 멸치 (Engraulis japonicus)가 가장 우점한 먹이생물로 확인되었다. 그 외, 새우류 (Macrura), 패충류 (Ostrac...
TAG Conger myriaster, whitespotted conger, diet composition, Geoje, feeding habits
우리나라 거제도 연안에서 채집된 망둑어과 첫기록종, Clariger chionomaculatus
조현근 ( Hyun-geun Cho ) , 김병직 ( Byung-jik Kim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0] 제32권 제2호, 110~114페이지(총5페이지)
우리나라 거제도 연안 수심 4m 진흙바닥에서 Clariger chionomaculatus 1개체 (체장 40.5 mm)를 채집하였다. 본 종의 특징은 가늘고 긴 체형에 비늘이 없고, 눈 아래에 수염이 있으며, 제2등지느러미 기조수가 I, 12~15, 뒷지느러미 기조수는 I, 12~14, 가슴지느러미 상부에 1개의 유리연조, 등 쪽에 다수의 흰색 반점들이 있는 채색패턴을 갖는 점이다. 본 종은 지금까지 일본에서만 보고된 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거제도 연안에서 처음 출현하였다. 본종의 신한국명으로 ‘흰점왜망둑’을 제안한다.
TAG Gobiidae, Clariger chionomaculatus, first record, Geojedo Island, Korea, 망둑어과, 흰점왜망둑, 첫기록, 거제도, 한국
한국고유종 동방종개 Iksookimia yongdokensis (Pisces: Cobitidae)의 분포현황과 멸종위협 평가
고명훈 ( Myeong-hun Ko ) , 한미숙 ( Mee-sook Han ) , 권선만 ( Seon-man Kweon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0] 제32권 제1호, 1~7페이지(총7페이지)
우리나라 고유종 동방종개 Iksookimia yongdokensis의 분포현황 및 멸종위협을 평가하기 위하여 처음으로 정밀분포조사를 2017년부터 2018년까지 2회 실시하였다. 동방종개는 조사기간 중 22개 하천, 97개 지점을 조사하여 9개 하천, 37개 지점 (경주시 대종천~영덕군 축산천)에서 서식을 확인하였다. 서식 지점 수는 형산강 (15개 지점), 영덕오십천 (4개), 곡강천(4개), 축산천 (3개), 대종천 (3개) 등의 순으로 많았으며, 주로 평지형 하천의 물이 맑고 유속이 느리며 자갈과 잔자갈, 돌, 모래가 쌓여 있는 소 (pool)에 서식하고 있었다. 본 결과를 과거 출현기록과 비교하면, 처음으로 장사천에서 서식을 확인하였고 7개의 신규 서식지를 발굴하였으나, 과거 서식지인 송천에서는 서식을 확인하지 못...
TAG Iksookimia yongdokensis, spined loach, distribution aspect, extinction threat evaluation
제주도 주변 해역에서 채집된 줄삼치 (Sarda orientalis)의 위내용물 조성
김현지 ( Hyeon Ji Kim ) , 정재묵 ( Jae Mook Jeong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0] 제32권 제1호, 8~13페이지(총6페이지)
줄삼치 (Sarda orientalis)는 2015년 1월부터 12월까지 제주 주변해역에서 고등어 선망어선에 혼획된 288개체를 이용하였으며, 가랑이체장 (fork length)과 체중을 각각 0.1 cm와 0.1 g까지 측정한 뒤 해부하여 먹이생물의 크기와 무게를 측정하고 최대한 종 수준까지 분석하였다. 먹이생물은 상대중요성지수비(%IRI)를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크기군과 계절에 따른 먹이조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줄삼치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어류(Pisces)였으며, 그중에서도 멸치 (Engraulis japonicus)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그 외 난바다곤쟁이류 (Euphausiacea), 단각류 (Amphipoda), 두족류 (Cephalopoda)가 출현하였으나 그 양은 적었다. 줄삼치는 모든 ...
TAG Diet composition, ontogenetic, Sarda orientalis, Jeju Island
잠수관찰을 통한 경남 진해만과 통영 연안 청어 Clupea pallasii의 산란기 추정
이용득 ( Yong-deuk Lee ) , 이강민 ( Gang-min Lee ) , 박종율 ( Jong-yul Park ) , 곽우석 ( Woo-seok Gwa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0] 제32권 제1호, 14~20페이지(총7페이지)
이번 연구는 산란기로 알려진 12월부터 2월까지 경남 진해만과 통영 연안에서 잠수조사를 통해 산란회유하는 청어의 산란기를 명확히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경남 진해만에서 2017년 12월부터 2018년 1월까지 3개의 정점에서 총 18회, 통영 영운리 연안에서는 2017년 12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총 24회 잠수조사를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중 확인된 청어 수정란은 진해만 저도 연안에서 평균 740,274개/m2, 진해만 구산면 연안에서는 평균 671,718개/m2였다. 통영 영운리 연안에서는 2017년 12월 30일에 388,444개/m2개의 수정란이 1회 관찰되었고 그 이후 조사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결과 경남 진해만과 통영 연안에서 청어 ...
TAG Clupea pallasii, spawning season, spawning characteristics, number of fertilized eggs
한국산 곰치과 어류 1 미기록종, Strophidon sathete
김병엽 ( By Byung Yeob Kim ) , 고수진 ( Soo Jin Koh ) , 김맹진 ( Maeng Jin Kim ) , 송춘복 ( Choon Bok Song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0] 제32권 제1호, 21~25페이지(총5페이지)
곰치과에 속하는 Strophidon sathete 1개체 (전장 1,302 mm)가 2019년 4월 제주도 남방 해역에서 외끌이 기선저인망으로 처음 채집되었다. 이 종의 특징은 무늬가 없고, 몸이 가늘며, 주둥이 약간 둥근 형태를 띠며, 3개의 안상골공 (superorbital pores), 4개의 안하골공 (infraobital pores), 그리고 6개의 하악골공 (mandibular pores)을 갖는다. 형태적으로 가지굴 (Gymnothorax albimarginatus)과 유사하지만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가 전체적으로 어둡고 (vs. 말단에 하얀색을 띰), 전장에 대해 체고비율이 1.8~3.1% (vs. 3.2~5.7%), 그리고 전장이 50~70 cm보다 작을 때 반문이 없는 ...
TAG Strophidon sathete, Muraenidae, first record, Jejudo Island, Korea, 곰치과, 가는곰치, 미기록종, 제주도
한국 제주도 근해에서 채집된 갈치꼬치과 (Gempylidae) 어류 1 미기록종, Lepidocybium flavobrunneum
송영선 ( By Young Sun Song, ) , 명세훈 ( Se Hun Myoung ) , 김진구 ( Jin-koo Kim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0] 제32권 제1호, 26~31페이지(총6페이지)
농어목 (Perciformes) 갈치꼬치과 (Gempylidae)에 속하는 Lepidocybium flavobrunneum 1개체 (체장 910mm)가 2016년 4월 28일 한국 제주도 해역에서 처음 채집되었다. 본 종은 등지느러미 극조가 매우 짧으며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뒤쪽에 각각 6개와 5개의 토막지느러미를 가진다. 또한 꼬리자루에 강한 측융기선 1개와 그 뒤쪽에 2개의 작은 돌기가 있고, 체측에는 불규칙한 파상무늬의 측선이 구불구불하게 뻗어 있다. 이 종의 새로운 속명과 국명으로 ‘흑갈치꼬치속’ 및 ‘흑갈치꼬치’를 제안한다.
TAG Lepidocybium flavobrunneum, Escolar, Gempylidae, Jeju Island, Korea, 흑갈치꼬치, 흑갈치꼬치과, 제주도, 한국
한국산 망둑어과 (Gobiidae) 어류 1 미기록종, Glossogobius olivaceus
권혁준 ( Hyuck Joon Kwun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0] 제32권 제1호, 32~36페이지(총5페이지)
2015년 5월 우리나라 울산에서 Glossogobius olivaceus 1개체가 처음 채집되었다. 본 종은 목덜미에 검은 점이 다수 있고 머리에 감각공과 돌기가 발달되었으며, 측선비늘은 33개, 척추골은 27개이다. 본 속 및 종의 새로운 국명으로 “검은반점망둑속” 및 “검은반점망둑”을 제안한다.
TAG First record, Glossogobius olivaceus, Gobiidae, Hoe-ya river, East Sea, Korea, 미기록종, 망둑어과, 회야강, 동해, 대한민국
Mitochondrial DNA를 이용한 동북아시아 학꽁치 Hyporhamphus sajori의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 구조
곽우석 ( Woo-seok Gwak ) , ( Qun Zhang ) , ( Animesh Roy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9] 제31권 제4호, 187~194페이지(총8페이지)
학꽁치 (Hyporhamphus sajori)의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구조를 조사하기 위해 동북아시아에서 시료를 채집하여 mitochondrial DNA control region (mtDNA CR)을 분석하였다. 시료는 중국 (Liaoning), 한국 (통영), 일본 (Wakasa Bay) 3곳에서 총 70개체를 채집했고, 일본 3곳 (Wakasa Bay, Toyama Bay and Mikawa Bay)에서 분석된 47개체의 mtDNA CR 염기서열을 Genbank에서 다운로드했다. 분석결과 총 358 bp가 나타났고, 7개의 변이와 함께 haplotype이 7개 확인되었다. Haplotype diversity과 nucleotide diversity는...
TAG Hyporhamphus sajori, mtDNA control region, genetic diversity, population structure, egg dispersal, 학꽁치, mtDNA, 유전적 다양성, 집단구조, 난 분산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