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699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효율적인 댓글 서비스를 위한 부분댓글 인터랙션 제안 -모바일 클래스 콘텐츠를 중심으로-
이유경 ( Lee You Gyeong ) , 윤재영 ( Yun Jae Yo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2호, 441~454페이지(총14페이지)
국내 온라인 클래스는 대부분 콘텐츠 중심의 일방향적 형태로 사용자와 제작자가 소통을 하기 위한 서비스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가장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댓글 기능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국내 온라인 클래스의 새로운 댓글 서비스를 제안하고, 사용자의 이해도, 효율성, 상호작용, 만족도를 높이는 데 목적을 둔다. 먼저 문헌 고찰을 통해 일반댓글의 한계점과 새롭게 제안하는 부분댓글의 기능을 파악하고 온라인 클래스 환경에 맞추어 부분댓글을 적용하였을 때 일어나는 소셜 인터랙션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예비조사에서는 일반댓글과 일반+부분댓글(일반 댓글과 부분댓글이 합쳐진 형태)의 각각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사용자 조사하였고, 오류, 문제, 개선점의 인사이트를 토대로 UI를 수정하여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일반댓글의 ...
TAG 온라인 클래스, 댓글, 부분댓글, 인터랙션, online classes, comment, partial comment, Interactions
‘불쾌의 미(美)’와 그로테스크 -조엘-피터 위트킨(Joel-Peter Witkin)의 작품 세계-
이재걸 ( Lee Jae Geol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2호, 455~468페이지(총14페이지)
조엘-피터 위트킨(Joel-Peter Witkin)의 사진은 불쾌의 경험을 주요 표현 동력으로 삼아 인간의 가혹한 현실에 대한 입체적인 사유를 일으킨다. 흥미로운 점은 다양한 범주의 신화적 사건들과 미술사의 걸작들에 대한 그의 패러디(Parody)가 이상성욕과 냉소적 악의로 가득 찬 연금술사의 창조물들로 보이지만, 궁극적으로는 이 창조물들이 인간을 현실 이전의 세계, 즉 병들고 고통스러운 현실 이전의 종교적 초월성으로 이끌고 있다는 사실이다. 한편, 그가 세심하게 고안한 몽환적 미장센은 삶과 죽음의 강력한 알레고리를 작동시키며 인간의 본성이 이중적임을 보여주는데, 이때 표출되는 그로테스크는 다분히 양가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위트킨 예술이 지닌 국제적 명성과 미학적 위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국내 연구 실정을 환기하면서 위트킨 연구...
TAG 조엘 피터 위트킨, 그로테스크, 포스트모던 낭만주의, 불쾌의 미, 에로티시즘, Joel-Peter Witkin, grotesque, postmodern romanticism, beauty of displeasure, eroticism
모듈 개념을 적용한 입체조형물로서 티라이트 캔들 홀더
이재호 ( Lee Jae Ho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2호, 469~481페이지(총13페이지)
인테리어 소품인 티라이트 캔들 홀더(Tealight Candle Holder)는 다양한 소재와 여러 형태로 제작되고 있지만 장식적인 용도의 사용 외에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여 그 구성과 기능을 확장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 논문은 모듈 개념을 적용한 티라이트 캔들 홀더를 제작하여 단순히 유닛의 개수가 늘어나는 방식의 확장이 아니라 유닛들 간의 결합을 통해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주는 유기적인 형상과 반복되는 특정한 패턴을 구현하며 수직· 수평으로 입체적인 확장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듈 개념이 적용된 티라이트 캔들 홀더의 디자인 컨셉과 방향성을 정의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1)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상품으로서 티라이트 캔들 홀더와 연구들을 조사·분석하고 2)모듈 개념에 대한 이해와 모듈디자인이 반영된 사례조사, 모듈개...
TAG 모듈, 확장, 반복적 패턴, 티라이트, 캔들 홀더, module, expansion, repetitive pattern, tealight, candle holder
한국인의 일상여가공간으로써 커피판매점이 지니는 의미와 디자인 특성
이지영 ( Lee Ji Yo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2호, 483~494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도시 내 일상생활 속에서 여가의 장소로 소비되는 대표적 공간유형, 그 중에서도 커피판매점의 시대별 변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각 시대별 일상 여가문화에 투영된 이상적 욕망과 상업공간 디자인과의 관계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도시 내 일상생활 속에서 여가의 장소로 소비되는 공간유형들을 문헌을 통해 살펴보고, 그 중에서도 커피 판매점의 시대별 대표유형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단계로는 커피전문점의 변천과정을 통시적(通時的)으로 살펴봄으로써 문화적 의미와 디자인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일상여가의 장소로써 애용되었던 커피판매점들의 디자인특성을 시대별로 고찰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일상여가 장소로 이용되었던 시대별 대표적 커피판매점의 유형은 1970,80년대 음악다방, 90년대 상업가로변 카페, 200...
TAG 일상여가공간, 도시여가공간, 커피판매점, 상업공간디자인, 외식서비스디자인, daily leisure place, leisure place in urban space, coffee shop design, food service industry
네트워크 미학에 관한 연구 -David Joselit의 『after Art』을 중심으로-
이혜경 ( Lee Hye Ky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2호, 495~508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동시대에 나타나는 새로운 예술적 패러다임의 특성과 형식을 고찰하여, 미적 인식의 폭을 넓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네트워크 미학이며, David Joselit의 『after Art』의 내용을 중심으로 네트워크 미학의 특성과 형식의 체계를 분류하고, 오늘날 전개되고 있는 미술의 양상을 논하였다. 우선 2장에서는 네트워크 미학의 유래에 대한 근거와 추론을 ‘플럭서스’와 ‘관계미학’을 중점으로 다루어 미술사의 보편성에 대해 근거를 마련하였다. 퍼포먼스로 예술과 삶의 경계를 허무는 플럭서스와 상호적인 인간관계에서 예술을 재현하고 생산하는 관계적 예술은, 네트워크 미학의 특성들과 많은 부분이 일치하였다. 3장에서는 Joselit이『after Art』에서 강조하는 네트워크 미학의 특성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주요 ...
TAG 네트워크, 관계, 상호연결, 창발, 원심적, network, relationship, connection, emergence, centrifugal
한국 현대조형도자의 재현성과 표현성에 관한 연구
이훈기 ( Lee Hun Kee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2호, 509~521페이지(총13페이지)
197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도예계에는 기능성이 배제된 조형도자가 활발히 제작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현대조형도자의 성격을 추상적 접근 정도에 따른 재현성과 표현성에 대한 관점으로 분석하여 그 성격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재현성과 표현성은 고전적 개념에 더해 현대의 확장된 개념을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1980년대 이후 대학에서 교육한 작가와 ‘이천세계도자비엔날레’에서 수상한 국내 작가의 작품을 선정하였다. 연구작품을 고전적 재현, 표현개념과 현대의 확장된 재현, 표현개념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신상호와 여선구의 조형도자는 보드리야스의 ‘시뮬라크르’, 최광진의 ‘지칭’, 굿맨의 ‘지시’란 개념으로, 장수홍, 신광석, 서병호의 조형도자는 굿맨의 ‘지시, 은유적 예시’ 최광진의 ‘지칭, 예시’란 개념으로, 권오훈과 이춘복의 조형도자는 ...
TAG 도자, 조형도자, 추상표현주의, 추상, 재현, 표현, ceramics, formative ceramics, abstract expressionism, abstract, representation, expression
모듈러 디자인의 가치와 지속 가능성 연구 : 공간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장정훈 ( Jang Jung Hoon ) , 장광집 ( Chang Kwang Chib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2호, 523~539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모듈러 공간 디자인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성을 모색하고, 향후에 모듈러 공간 디자인이 적극 추구해야 할 핵심적인 원리, 가치, 미래 지향적 특성 등을 모색·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첫째, 모듈, 모듈러, 모듈러 디자인의 개념과 의미, 특성, 산업적· 공업적 효과를 이론적, 문헌적으로 연구하였다. 둘째, 모듈러 공간 디자인의 발전 원리를 탐색하기 위해, 모듈러 디자인을 적용하여 성공적인 결과물을 창출한 사례들을 건축 공간의 트렌드 및 심층사례와 실내 공간 디자인 영역의 기본요소 및 장식요소 사례 및 심층사례 중심으로 분석· 연구하였다. 셋째, 모듈러 공간 디자인 사례를 모듈러 디자인 내용과 효과를 구분하여 종합 정리 하였고, 분석 정리된 내용을 바탕으로 각각의 지향 원리 및 ...
TAG 모듈러 디자인, 공간 디자인, 경제성, 기능성, 상호 작용성, 환경 친화성, 지속 가능성, modular design, space design, economics, functionality, interactivity, environmental, friendliness, sustainability
한글꼴의 속공간 넓이가 독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
전은선 ( Jeon Eoun Sun ) , 김성계 ( Kim Sung Kye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2호, 541~552페이지(총12페이지)
한글은 창제된 이후 다양한 글꼴과 만나면서 아름답고 풍부한 미감을 형성해 왔다. 문자가 가지는 형태는 정보의 정확한 전달에 일차적인 목표를 두고 있지만, 그 형태가 주는 심리적인 기제 또한 중요한 요인이 된다. 왜냐하면 글꼴은 정보의 전달은 물론 시대성, 글의 성격 등에 따라 서체형태의 선택과 수용, 제작의 방향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글꼴을 형성하는 여러 요인 중에서 속공간 넓이에 주목하고, 속공간 넓이의 변화가 독자의 감성을 이해하고 심리 요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에 표본으로 추출된 6종류 278개 낱자의 속공간 넓이 비를 구하여 수치화한 정량적 데이터에, 독자들의 직관적 감성을 이해하는 틀로서 시각 감성 형용사 어휘들을 두 차례 나눠 발췌하여 설문 조사하고 정성적 평가의 신뢰를 뒷받침하는 심리기제를 도출하...
TAG 한글꼴, 속공간 넓이, 감성분석, 심리기제, Hangul font, inner space width, sentiment analysis, Psychological mechanism
생성과 회복의 다층적인 흔적의 형상화 -연구자의 작업을 중심으로-
정윤영 ( Jeong Yun Young ) , 김희영 ( Kim Hee Yo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2호, 553~566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연구자가 와병과 치유의 과정을 겪으며 갖게 된 개인의 기억을 시각화한 회화 표현의 의미를 다루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생명체의 생성, 소멸, 회복 및 재생의 유기적인 과정을 형상화하는 연구자의 작업은 ‘식물성’, ‘신체성’, ‘여성성’에 긴밀하게 연관된다. 연구자의 작업 중 식물과 신체의 형상은 직접적인 체험에 근거하며, 와병과 치유의 과정에서 연구자의 신체와 정신에 남은 삶의 다층적 층위를 회화로 표현한다. 연구자의 중첩된 회화 작품은 생명의 힘을 회복해가는 상호작용 안에서의 생성과 회복이라는 축적된 층위와 흔적을 시각화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시각화한 식물의 형태, 생장과 분열, 증식, 생명의 법칙 등은 추상으로 표현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를 통해 육체와 정신이 혼재된 채 이탈과 회귀의 과정이 교차하는 궤적을 추적하고, 혼성적인 요...
TAG 생성과 회복, 욕망, 신체, 생명력, 층위, birth and recovery, desire, body, vitality, layers
대화형 인터페이스 진화에 따른 모달리티 유형별 사례 연구
주서영 ( Joo Seoyoung ) , 나건 ( Nah Ken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2호, 567~583페이지(총17페이지)
최근 인공지능이 고도화되면서 다양한 대화형 제품 및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대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기에 현재의 기술은 아직 미성숙한 상황이다. 또한 기술에 치우친 일방적인 개발로 사용자 대화 경험의 고려가 미흡하다. 특히 원활한 대화 경험이 성립되기 위해서 사용자의 대화 인지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모달리티 유형에 따른 사용자의 대화 인지 요소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인터페이스 변천, 멀티모달리티의 개념과 인터랙션 양식에 대한 문헌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례 연구에 적용할 모달리티 유형을 도출하였다. 사례 연구는 지금까지 출시된 대화형 인터페이스의 대표 제품으로 지능형 비서, 챗봇, 인공지능 스피커,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 소셜 로봇 등 다섯 개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화형 인터페...
TAG 대화형 인터페이스, 모달리티, 멀티모달, 어포던스, 인공지능 스피커, 지능형 비서, 챗봇, conversational user, interface, modality, multimodal, affordance, AI speaker, intelligent assisteant, chatbot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