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70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지역 대학 무용학과의 현황과 전망: 대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이종희 ( Lee Jonghee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0] 제56권 29~52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는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지역 대학 무용학과, 특히 대구·경북 지역 대학 무용학과의 현황을 파악하고 지역 대학 무용학과의 미래를 전망하여, 이상적인 대학 무용교육에 있어 오늘날 시대가 요구하는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방향 전환 모색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구·경북 지역 대학 무용학과는 1974년 신설된 효성여자대학교(현, 대구가톨릭대학교)를 시작으로 계명대학교 무용학과(1984년), 영남대학교 무용학전공(2002년), 대구예술대학교 실용무용학과(2004년) 가 신설되었고,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한 무용교육활동, 무용창작활동을 통한 대구·경북 춤 문화를 형성·발전시켰다. 그러나 오늘날 대학은 학령인구의 급속한 감소와 대학구조조정 정책의 일환으로 대학구조개혁평가, 대학기본역량진단 등을 통해 지역 대학 무용...
TAG 무용학과, 대구가톨릭대학교, 계명대학교, 영남대학교, 대구예술대학교, Dance Department, Daegu Catholic University, Keimyung University, Yeungnam University, Daegu Arts University
커뮤니티댄스 사례를 통한 로컬댄스 활성화 방안: 미국을 중심으로
정은주 ( Chung Eunju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0] 제56권 53~72페이지(총20페이지)
이 연구는 국내에서 나타나는 커뮤니티댄스에 대한 연구의 일부로서 미국 커뮤니티댄스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한 국내 로컬댄스의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널드 후테라의 『누구나 다함께-미국커뮤니티댄스』에서 거론된 안무가들 중 커뮤니티댄스를 통해서 커뮤니티 안에 속해진 개인의 예술적 경험이나 정체성의 재발견 혹은 힐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더 큰 맥락에서의 커뮤니티라는 ‘공동체’ 시각에서 환경, 교육, 사회 등과 관련된 ‘의식변화’에 중점을 둔 작업이라 판단되는 3개의 다른 지역의 작업으로 선정하였다. 선정한 3개의 사례는 미시시피 지역에서 활동하는 메릴리 하덴버그(Marylee Hardenbergh)의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을 통한 커뮤니티댄스, 시애틀 지역에서 활동하는 팻 그라니(Pat Graney)의 재소자를 위한 커뮤니티댄스 ...
TAG 커뮤니티댄스, 장소특정적 무용공연, 재소자를 위한 커뮤니티댄스, 장애인 케어, 로컬댄스, Community Dance, 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 Keeping the Faith, Disable Care, Local Dance
태평무의 움직임 공간성: 루돌프 폰 라반의 공간조화(Space Harmony) 이론을 중심으로
마소정 ( Ma So Jeong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0] 제56권 75~95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루돌프 폰 라반(Rudolf von Laban: 1879-1958)의 공간조화(Space Harmony) 이론의 개념을 적용하여 태평무 공간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 춤에서 두드러지는 특질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동서양의 춤은 각각 서로 다른 맥락과 사상을 바탕으로 연구되어야 하지만 ‘움직임’에 초점을 두었을 때 보편적인 분석 도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라반 움직임 분석과 관련한 연구들을 통해 증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태평무의 공간 분석을 위해 터벌림과 올림채를 분석의 대상으로, 라반의 공간조화 개념을 분석틀로 사용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움직임 구조의 공간을 살펴보면 터벌림에서는 2차원의 공간, 올림채에서는 3차원의 공간이 주로 발견되었다. 주요 결정체(Crystalline Fo...
TAG 태평무, 루돌프 폰 라반, 공간조화, 터벌림, 올림채, Taepyeongmu, Rudolf von Laban, Space Harmony, Teobeolim, Ollimchae
현대무용전공 대학생의 감정이입능력이 무용정서 및 무용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박근태 ( Park Geuntae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0] 제56권 97~116페이지(총20페이지)
이 연구는 현대무용전공 대학생의 감정이입능력이 무용정서와 무용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부산, 경기, 전라 총 4개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 각 1개교씩 현대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 총 169부를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는 감정이입능력과 무용정서 및 무용표현력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가설을 해결하였다. 그 결과, 첫째 현대무용전공 대학생 중 남학생과 무용참여기간 9~11년 학생들에게서 신체표현능력이 높았으며, 4학년에게서 인지적 능력이 높았다. 둘째, 현대무용전공 대학생의 감정이입능력은 재미와 활력 및 긍지와 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현대무용전공 대학생의 감정이입능력은 무용표현...
TAG 현대무용, 대학생, 감정이입능력, 무용정서, 무용표현력, Contemporary dance, College student, Empathy, Dance emotion, Dance expression
한국무용 전공자들의 신체조성, 골밀도, 경력 및 섭식태도의 관계 분석
신말연 ( Shin Mal-ryun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0] 제56권 117~134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는 현재 한국무용을 전공하는 여자 대학생 73명을 대상으로 신체조성, 골밀도, 경력 및 섭식태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들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구명된 연구결과들을 무용수들의 효율적인 체중관리와 향후의 골밀도 향상을 위한 실험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들의 신체적 측정요인으로 신장, 체중, 체지방률, 제지방량, 체수분량, 신체질량지수, 기초대사량 및 골밀도를 측정하였고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섭식장애 관련 문항을 기초로 하여 폭식행동, 식이조절, 우울감, 신체 불만족, 부정적 인식 등 섭식태도의 수준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통계기법으로는 섭식태도의 설문 응답은 요인분석을 하였고 골밀도, 신체조성, 경력 및 섭식태도의 다중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때 Durbin Watson검증을 통하여...
TAG 여성 무용수, 신체조성, 골밀도, 경력, 섭식태도, Female dancer, Body composition, Bone mineral density, Career, Eating attitude
무용교육 가치의 인식확장을 위한 셀프 내러티브 탐구: 교사연구자의 무용교육 워크숍 체험을 중심으로
채주희 ( Chae Joohee ) , 박혜연 ( Park Hyeyoun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0] 제56권 135~160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무용교육 가치의 인식확장을 위한 ‘셀프 내러티브 탐구’이다. 교사연구자는 S단체에서 주최하는 무용교육 워크숍에 학습자로 참가하여, 첫째, 학습자로서 체험의 이야기를 드러내 보이고, 둘째, 체험 속에서 발견한 무용교육의 원리와 가치를 나누고자 하였다. 교사연구자가 워크숍 체험 속에서 발견한 무용교육의 원리는, ‘타인과 움직임으로 상호작용하며 소통하는 경험’ 속에서 이루어지는 ‘공동체학습’, 그리고 그 과정에서 학습자 스스로가 행하며 깨닫는 ‘능동적 학습’이 있었다. 이러한 교육원리속에 내재된 무용교육의 가치로 ‘타인의 움직임을 읽는 활동’은 ‘지식 정보처리 역량’과 ‘문제 해결 역량’이 성장 할 수 있게 도왔고 ‘나의 이야기를 움직임으로 쓰는 활동’은 ‘자기 관리 역량’과 ‘창의적 사고 역량’이 발전할 수 있게 이끌어 주었다. 또한 이러한 ‘몸의...
TAG 문화예술교육, 무용교육, 무용교육가치, 셀프내러티브연구, 교사연구자, Culture and arts education, Dance education, Value of dance education, Self-narrative study, Teacher researcher
경상도 지역의 덧배기에 내포된 민속 연행맥락과 춤 특성
최흥기 ( Choi Heung-kee ) , 한경자 ( Han Kyung-ja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0] 제56권 161~182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는 경상도 덧배기춤에 내포된 지리문화적 특성과 민속 연행맥락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덧배기의 지리문화적 춤 특수성은 일제 강점기 시대의 민속학자 송석하가 정리한 경상도 덧배기의 지역적 구분에 근거를 둔다. 송석하는 경상도 지역을 내륙과 해안지역으로 구분하였고, 이에 따라 덧배기의 춤 특성을 논의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경상도 덧배기의 춤특성은 내륙지역과 해안지역으로 나눌 수 있었고, 내륙지역의 덧배기는 섬세하고 부드러우며 자진동작을 위주로 하였다. 반면에 해안지역의 덧배기는 강한 힘을 바탕으로 불안정한 동작으로 급격하게 순간적으로 회전을 하는 동작이 많아 카오스적인 느낌을 주었다. 그리고 민속 연행맥락은 경상도 탈놀음에 의한 덧배기, 경상도 지신밟기에 의한 덧배기, 경상도 농경 들놀이춤과 마을잔치에 의한 덧배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TAG 덧배기춤, 경상도, 송석하(宋錫夏, 1904-1948), 지리문화적 춤 특성, 민속 연행맥락, Deotbaegi dance, Gyeongsang Province, Song Seok-ha (宋錫夏, 1904∼194), Geographic dance characteristic, Folk feast context
장애무용교육 관련 연구동향을 통해 바라본 장애무용교육의 방향성
홍혜전 ( Hong Hye-jeon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0] 제56권 183~205페이지(총23페이지)
이 연구는 장애무용교육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장애무용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orea Education Research Information Service)에 등록되어 있는 장애무용 교육 관련 논문 중 2010년부터 2019년 10월까지 총 10년간 게재된 46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출판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자료처리방법 별로 자료를 수집, 내용분석과 주제어 분석을 통해 장애무용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정서적, 신체적, 사회적응 측면으로 연구범위가 확대되었으며, 신체재활을 목적으로 한 무용 활용 연구들이 주로 발견되었다. 또한 정서, 사회적응, 심리, 인성 등과 같은 내면적 요소와 관련이 깊은 주제어가 다수 발견되었다....
TAG 장애무용교육, 연구동향, 방향성, 내용분석, 주요어, Disability Dance Art Education, Research trend, Direction, Content analysis, Keywords
지속과 변용의 관점으로 본 조선춤의 일제강점기 시대상 : 이정노, 『근대 조선춤의 지속과 변용』(소명출판, 2019)
권혜경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0] 제56권 209~214페이지(총6페이지)
이 연구는 장애무용교육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장애무용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orea Education Research Information Service)에 등록되어 있는 장애무용 교육 관련 논문 중 2010년부터 2019년 10월까지 총 10년간 게재된 46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출판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자료처리방법 별로 자료를 수집, 내용분석과 주제어 분석을 통해 장애무용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정서적, 신체적, 사회적응 측면으로 연구범위가 확대되었으며, 신체재활을 목적으로 한 무용 활용 연구들이 주로 발견되었다. 또한 정서, 사회적응, 심리, 인성 등과 같은 내면적 요소와 관련이 깊은 주제어가 다수 발견되었다....
국립국악원 가피아스 컬렉션의 춤 영상자료 분석을 통한 1960년대 한국춤 존재 양상
김연정 ( Kim Yeonjeong ) , 최해리 ( Choi Haeree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0] 제59권 7~33페이지(총27페이지)
본 논문은 국립국악원 가피아스 컬렉션의 춤 영상자료를 분석하여 1960년대 한국춤의 존재 양상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1966년 5월에 한국을 방문한 미국 음악인류학자 로버트 가피아스(Robert Garfias)는 수개월간 체류하며 당시 한국의 전통공연예술을 사진 및 영상으로 기록하였다. 가피아스 컬렉션은 국립국악원이 2019년에 가피아스로부터 기증받은 1966년의 기록자료들로 구축되었다. 이 컬렉션에는 전통춤을 기록한 영상자료 14점을 포함하여 궁중악, 제례악, 정악, 민속악, 연희 등의 자료가 있다. 국립국악원으로부터 가피어스 컬렉션의 춤영상에 대한 ‘문헌해제’를 의뢰받았던 이 논문의 교신저자는 제1 저자를 연구보조로 하여 문헌 조사 및 전문가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당시 연행자의 활동 배경과 활동 상황을 조사하였고, 영상분석...
TAG 로버트 가피아스, 국립국악원 가피아스 컬렉션, 1960년대 한국춤문화, 궁중무용, 불교무용, 민속무용, Robert Garfias, Garfias Collection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1960s Korean dance culture, Korean court dance, Korean Buddhist dance, Korean folk danc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