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699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기초조형학연구"지와 국내 조형예술분야 학술지간 비교 연구-한국학술지인용색인 영향력지수(IF)를 중심으로-
이길순 ( Kil Soo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14] 제15권 제1호, 421~429페이지(총9페이지)
한국연구재단은 학술연구평가제도에 대한 새로운 변화를 예고한 바 있으며 지금 학술활동의 평가에 대한 혁신적인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제도 개선을 추진하는 이유는 현재 학술지 등재제도는 다가오는 미래에 학술논문의 국제적 가치측정과 통용성에 문제가 있고 학술지간 수월성과 차별성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다는 점 때문이다. 그래서 이 제도를 계속 존속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은 우리나라 학문발전을 저해할 수 있어서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이 새로운 변화는 학술연구평가 및 관리의 국제적 수준 향상에 고정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초조형학연구``가 조형예술분야 학문적 연구에 기여하고 있음을 논증하였다. 그리고 당 학술지가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여 선도적으로 발전을 할 수 있는 방안도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당 학술지가 국내 조형예...
TAG 기초조형학연구, 조형예술분야, 학술지, 영향력지수, "bulletin of KSBDA, art & design field, journal, impact factor
공간 사용자 경험 디자인 특성이 적용된 브랜드 스페이스 사례 연구
이민아 ( Mi Na Lee ) , 이정교 ( Jung Kyo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14] 제15권 제1호, 433~443페이지(총11페이지)
소비자는 사용 대상을 통해서 과거의 관점과 달리 물리적 장소성과 더불어 심리적 가치 만족을 요구한다. 이러한 소비 환경 시대에 브랜드 스페이스는 소비자에게 브랜드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여 커뮤니케이션 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공간디자인 영역에서 사용자의 시각적·물리적·심리적인 복합적 경험으로 니즈를 충족시키는 공간 사용자 경험 디자인(SUXD) 특성을 적용한 브랜드 스페이스 사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와 문헌자료 분석을 통한 이론적 고찰과 이를 배경으로 구조화한 브랜드 스페이스 SUXD 분석 매트릭스를 통하여 마케팅 유형별 사례 공간을 분석하였다. 브랜드 스페이스에서 공간 사용자 경험 디자인은 시각적 경험과 물리적, 심리적 경험 순으로 연결 구성되어 기업·브랜드 전략 환경을 구성하고 있다. 특히, 고객과의 커뮤...
TAG 공간 사용자 경험 디자인, 브랜드 스페이스, 커뮤니케이션, Spatial User Experience Design, Brand Space, Communication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서비스디자인 접점의 미디어 활용에 관한 연구: 트랜스미디어, 웹2.0, 웹3.0의 특성 중심으로
이수정 ( Su Jeong Yi ) , 임한울 ( Han Wool Yim ) , 장동련 ( Dinr Yun Ch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14] 제15권 제1호, 447~457페이지(총11페이지)
기술의 발달로 인한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에 의해 사용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진화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다양한 서비스를 접할 때에 이러한 변화가 반영되기를 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변화된 라이프스타일을 이해하고 니즈를 충족시키는 최적의 경험을 서비스와 사용자가 만나는 접촉점에서 이끌어 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비스디자인 접점(touchpoints)에 있어서 급변하는 미디어 상황과 사용자의 양상을 반영할 수 있는 미디어의 활용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 특성을 9가지의 요인으로 도출하였고 이를 성격적 특성으로 카테고리화하였다. 또한 접점으로써 활용 가능성이 높은 사례들을 수집하여 변화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접점의 미디어 활용에 있어 미디어의 ``기술...
TAG 서비스디자인 접점, 미디어, 사용자 행위, 사용자 경험, Service design, touchpoints, Media, User Behavior, User experience
지각정보의 특성과 조합방식에 따른 사용자의 교차양상 경험 : 터치기반 모바일 폰을 중심으로
이수진 ( Su Ji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14] 제15권 제1호, 461~468페이지(총8페이지)
최근 유비쿼터스 기술의 발달로 햅틱이나 진동과 같은 새로운 방식의 촉각 정보가 제품에 중요 콘텐츠 기술로 급부상하고 있으며, 터치형 모바일폰은 시각과 청각으로 제한되었던 기존의 제품과는 전혀 다른 상호작용을 이끌어 내고 있다. 본 연구는 촉각을 포함한 다양한 감각정보를 제공하는 정보기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의 교차양상 경험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사례연구와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질적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근거 이론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서 각 감각정보의 특성을 파악하고 감각정보들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통합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모바일폰의 사용자가 경험하는 교차양상은 감각정보의 특성과 조합방식 그리고 사용자 경험적 특성에 따라 전환현상, 대체현상, 폐쇄현상이라는 교차양상의 상호작용들을 도...
TAG 촉각, 교차양상, 사용자 경험, Tactile, Cross Modality, UX
시각, 청각, 촉각의 감각정보의 특성이 사용자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이수진 ( Su Ji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14] 제15권 제1호, 471~479페이지(총9페이지)
인간은 정보를 주고받는 과정을 통해 외부세상과 소통한다. 정보를 주고받는 이 소통의 상호작용 과정을 면밀히 살펴보면, 인간이 외부로 내보내는 출력정보가 상호작용을 하는 대상에게는 입력정보가 되고 대상이 보내는 출력정보는 다시 인간에게 입력정보가 되는 뒤집어도 같은 순환의 방식을 취하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의 설계에 있어 인간에게 입력되는 감각정보와 출력되는 지각정보의 이해를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특정분야를 중심으로 응용되던 정서라는 개념을 시각, 청각, 촉각의 감각 전반을 아우르는 반영차원으로 확장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총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감각정보에 대한 데이터 수집 및 맵핑의 단계로, 참가자들을 그룹으로 나누어 모바일 폰에서 제공하는 시각, 청각, 촉각의 정보를 각각 수집하게...
TAG 시각, 청각, 촉각, 정서차원, visual, auditory, tactile, emotional dimension
국내·외 유아보육시설 비교를 통한 국내 유아보육시설 공간디자인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이슬 ( Seul Lee ) , 최경란 ( Kyung Ran Choi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14] 제15권 제1호, 483~489페이지(총7페이지)
국내의 경제, 사회, 교육학, 심리학 등의 여러 분야에서는 유아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정책 및 유아의 성장에 도움을 주는 보육시설의 교육프로그램 및 공간의 질적 향상에도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보육대상인 3∼6세 시기의 유아들은 주변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되기 때문에 다양한 활동을 수반하는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의 보육시설은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바람직한 환경을 갖추지 못해 해결 방안이 필요하다. 문제점을 찾아 해결방안을 설정하기 위하여 사례로 선정된 국내·외 보육시설을 공간구성과 가구구성으로 나누어 사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국내 보육시설의 공간구성과 가구구성의 개선방향에 대한 키워드를 설정하였다. 보다 교육적이고 효과적인 보육시설의 공간구성 및 가구구성의 ...
TAG 유아교육프로그램, 국내·외 유아보육시설, 공간디자인,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domestic and Foreign Facilities Nursery Facilities, Space Design
지속가능한 제품디자인 활성화를 위한 친환경 소재 선택에 관한 연구-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 적용을 중심으로-
이시창 ( Si Chang Lee ) , 김기수 ( Ki Su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14] 제15권 제1호, 493~502페이지(총10페이지)
최근 국내에도 급변하는 환경문제에 대한 자각을 통하여 환경오염 및 지구 온난화 등 더 이상은 외면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제품디자이너의 당면 과제는 환경에 대한 사회적인 책임과 윤리 의식을 인지하여 지금까지의 경제적, 기능적, 외형스타일 위주로 성장해온 디자인에서 벗어나 친환경성을 고려한 제품디자인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무절제하고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소재의 특성을 분석하여 제품디자이너가 현실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와 친환경 표면처리 기법을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플라스틱 소재의 태생적 특성 상 바이오 플라스틱을 제외한 플라스틱은 100% 친환경적 일 수가 없다. 이에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서 최대한의 친환경성을 ...
TAG 지속가능한,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 Sustainable, Eco-Friendly, Plastic Material
미디어아트교육의 기초과정에 관한 연구
이원곤 ( Won Kon Yi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14] 제15권 제1호, 505~515페이지(총11페이지)
이 연구는 미디어아트를 전공으로 교육할 때, 그 기초과정을 어떤 관점에서 설계하여야 할 것인지, 그 인식의 지평을 열고자 하는 것이다. 20세기의 ``예술과 공학의 만남``이라는 화두는 두 분야의 소통과 협업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예술이 태어나게 하였으나, 미디어아트를 견인해 왔던 많은 기관, 아트센터, 학교 등에서는 아직도 어떤 방식으로 소통과 협업을 촉진할 것인지, 그리고 미디어아트를 교육하는 현장에서 기초과정을 어떻게 설정하여야 하는지에 대해 많은 혼란과 노선의 차이 혹은 철학의 차이가 존재한다. 각 영역의 융합과 통섭이 요구되고 있는 오늘날, 예술, 과학, 기술, 인문학, 산업 등 관련된 모든 분야의 통합을 지향하고, 새로운 비전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20세기 초의 바우하우스가 그랬던 것처럼, 대학에서 다양한 영역의 통섭에 의한 새로운 예술...
TAG 미디어아트, 기초과정, 디지털 바우하우스, media art, basic course, digital bauhaus
픽춰레스크 이미지 요소를 이용한 도심가로 공간 평가 연구-대구 봉산문화거리 공공디자인 사업을 중심으로
이은정 ( Eun Jung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14] 제15권 제1호, 519~526페이지(총8페이지)
오늘날 우리나라 도시는 자연스러운 유기적 형태의 아름다움에 부합하는 공간이기보다는 기능주의 건축과 모더니즘의 한계로 지역의 특성과 정체성이 드러나지 않는 보편화된 공간형태를 보인다. 그러나 2000년에 들어 이러한 도시환경에 대한 개선의식이 증가하고 삶의 질에 대한 요구가 보편화 되면서 디자인에 대한 관심과 역할, 그리고 미(美)적 설계에 관한 심도 깊은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2008~2009년 시행 된 대구 봉산문화거리 공공다자인 사업을 대상으로 도시 경관의 시각적 어메니티를 구현하고 도심활성화를 효과적으로 실천 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여 디자인 사업의 질적 향상을 가시적 성과로 이끌어 수 있는 미학적 설계방안의 모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기(旣) 발표된 "픽춰레스크 이미지 적용에 의한 도시 가로 디자인 연구"에서 ...
TAG 픽춰레스크 이미지, 가로 공간, 평가, 공공디자인, Picturesque Image, Street Spaces, Evaluation, Public Design
한글 자음 색채화 가능성 연구- 우리말 색채어 중심으로 -
장용선 ( Yong Seon J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14] 제15권 제1호, 529~537페이지(총9페이지)
우리말 순수 색채어는 오행 사상이 지닌 木, 火, 土, 金, 水의 다섯 가지 색채 메타포인 파랑, 빨강, 노랑, 하양, 검정의 다섯 가지이다. 이 다섯 색채어의 대표 자음인 ㅍ, ㅂ, ㄴ, ㅎ, ㄱ을 오행에 도입하여 한글 색채화 가능성 모델을 만든다면 보다 한국인의 색채 정서에 맞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으리란 생각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우리말 색채어를 활용해 한글 자음 색채화 모델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리말 색채어를 중심으로 한글을 색채화 하기 위하여 파랑은 풀인 木에 대응하므로 ㅍ은 파랑에 배속하고, 빨강은 불인 火에 대응하므로 ㅂ은 빨강에 배속하고, 노랑은 땅(누리)인 土에 대응하므로 ㄴ은 노랑에 배속하고, 하양은 쇠인 金에 대응하므로 ㅎ은 하양에 배속하고, 검정은 가라(물)인 水에 대응하므로 ㄱ은 검정에 배속하였다. ...
TAG 색채어, 오행사상, 우리말, 가능성모델, Color terms, Five Elements Theory, Korean language, likelihood model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