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농업사학회20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연구논문 : 원예작물 경영비의 시계열 변화 분석
하두종 ( Doo Jong Ha ) , 이상용 ( Sang Yon Lee ) , 최칠구 ( Chil Koo Choi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2] 제11권 제1호, 135~154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는 원예작물의 생산비 분석을 통한 경영비 절감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농산물표준소득 자료 1980∼2010년까지의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노지수박, 가을배추, 시설토마토, 시설딸기의 경영비 절감방안은 다음과 같다. 2007년 이후 국제원자재가격의 인상, 유류가격의 폭등, 농촌임금인상 등으로 경영비가 증가함에 따라 농업소득이 줄어들어 농업소득과 경영비의 역전현상이 발생하여 농업소득이 정체내지는 감소하고 있다. 기간별 경영비 변화를 분석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제1기(1980~1987년)는 시설자재 투입의 증가와 생산량 증대를 위해 비료, 농약,고용노력의 투입량의 급증으로 경영비가 수직 상승하는 시기이다. 제2기(1988~1997년)는 고투입 고생산의 시기이며 1997년 IMF 회환위기 직전까지 경영비가 최고점으로 상승하는...
TAG 경영비, 수박, 배추, 딸기, 토마토, Managing Cost, Farm Income, Horticultural Products
연구논문 : 어획방법 변천에 따른 조기 어장의 이동에 관한 연구
박준모 ( Joon Mo Park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2] 제11권 제1호, 155~175페이지(총21페이지)
우리나라 서해의 조기어장은 동해의 명태어장과 더불어 우리나라 최대 어장으로 불리었다. 특히 전라남도 영광군 법성포와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 부근의 칠산어장과 경기도 연평도 부근의 연평어장이 가장 대표적인 우리나라의 조기 생산지이었다. 그러나 어전어업에서 그물어업으로, 무동력선에서 동력선으로, 수작업에 의한 어획방법기계화에 의존하는 어획방법으로 발전됨에 따라 어획고가 증가하고 조기잡이가 경쟁적으로 진행되면서 조기 어장이 점차 남쪽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조기떼가 칠산바다와 연평바다까지 올라오기 이전에 어획을 함으로써 흑산도를 중심으로 하는 해역과 추자도 부근의 해역에서 조기어장이 형성되었다. 조기 어장이 연평도 인근의 연평평(延平坪)과 위도 인근의 칠산바다에서 흑산도와 추자도 인근으로 이동된이후 이 지역에서 어획되는 조기의 체장(體長)이 점차 작아지고 있는 ...
TAG 조기, 어획방법, 어장의 이동, 어족자원 고갈, Croaker, Production Methods, Fishery, Depletion of Fishery Resources
연구논문 : 개화기(開化期) 한국의 구미(歐美) 농업과학기술도입에 관한 종합연구
김영진 ( Young Jin Kim ) , 김이교 ( Yi Gyo Ki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1] 제10권 제2호, 1~25페이지(총25페이지)
한국의 구미농업과학기술 도입은 1876年한일수호조약에서 비롯되어 1910年 한일병합때까지 이루어진 것을 말하며, 이 기간을 보통 개화기라고 한다. 한국은 중국의 선진된 경험농학을 도입해 오다가 1881년 구미의 실험농학을 내용으로 하는 「농정신편」을 비롯하여 약 30여종의 농서가 편찬되어 당시까지 개발된 구미의 농학이론이 대부분 도입되었다. 농사시험연구는 미국을 본떠 1884年농무목축시험장을 시작으로 1901년 잠상시험장, 1906년 원예모범장, 1907년 종합시험장인 권업모범장으로 발전하였고, 농업교육은 종내의 개인지도에서 1883년 원산학사에서 비롯된 학교교육으로 발전하여, 1904年농상공학교, 1906년 농림학교 등 1910년에는 11개의 농업학교가 개교하였다. 개화기인 36년간은 비록 단기간이지만, 농업과학기술의 혁신면에서 본다면 과거 수세...
TAG 신구미농서, 농사시험연구, 농업교육, New Western Agricultural Books, Agricultural Research, Agricultural Education
연구논문 : 근대(近代) 한국(韓國)의 경운작업(耕耘作業) 기술(技術)의 변천(變遷) -이랑쟁기를 중심(中心)으로-
박우풍 ( Woo Pung Park ) , 이운용 ( Woon Yong Lee ) , 김상철 ( Sang Cheol Ki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1] 제10권 제2호, 27~48페이지(총22페이지)
西洋 農業科學技術의 國內 導入은 1885年 入國한 改新敎 宣敎師인 언더우드, 아펜젤러, 스크랜턴 等이 宣敎事業의 一環으로 始作한 敎育, 醫療, 學術部門의 西洋 施設의 設立과 西洋 機械를 輸入 하면서 韓國이 서구의 近代 文化를 수용하게 되는 契機가 되었다. 이때 西洋의 機械技術이 紹介되었으나 一般에까지 擴散되지는 않았다. 1945年 2次 大戰 以後에 가솔린 엔진이 搭載된 트랙터가 國內에 紹介되면서 그 附着作業機로 西洋의 쟁기인 푸라우가 紹介되었으며 이를 利用한 耕耘作業技術이 導入되었다. 그 以後 1960年∼1970年代 韓國과 英國, 獨逸의 農業機械技術協力事業의 一環으로 本格的으로 土壤을 다루는 機械들이 國內에 紹介되기 시작했다. 國內 耕耘整地技術은 朝鮮 末期까지 따비, 쟁기, 가래, 써레, 번지 等 大部分 人力 畜力을 利用한 農器具들이었다. 畜力쟁기의 ...
TAG 근대 한국농업기술, 근대 농업기계기술, 근대 경운작업 기계기술, 이랑쟁기, Tillage, Tillage Tools, Tillage System in Korea
연구논문 : 옥수수[玉蜀黍]의 어원(語源)과 효능(效能)에 대(對)한 문헌연구(文獻硏究)
김종덕 ( Jong Dug Ki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1] 제10권 제2호, 49~83페이지(총35페이지)
옥수수에 대한 문헌연구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서(黍)를 파자(破字)하면 곡식[禾]에 물[水]을 넣는다는[入] 뜻이 되어 술을 만들 수 있다는 뜻이다. 또한 서(黍, 찰기장)는 여름을 뜻하는 서(暑)와 음상사(音相似)하고, 초여름에 자라 늦여름에 수확하므로 여름의 기운이 있다. 촉서(蜀黍)는 촉(蜀)지역에서 처음 비롯된 찰기장[黍]이라는 뜻으로 붙여진 것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중국[唐]에서 온 찰기장[黍]이라는 뜻으로 당서(唐黍)라 하였고, 이삭[穗]이 아래로 늘어져 있다[垂]는 뜻으로 수수(垂穗), 또는 머리[首]를 숙였다는[垂] 뜻으로 수수(垂首)라고 하였다. 곡물 중에 겉껍질을 벗기면 바로 옥(玉)과 같은 알곡 형태가 되는 것이 옥수수이고, 옥수수를 수수[蜀黍]의 일종으로 인식하였기 때문에 옥수수[玉蜀黍]...
TAG 옥수수, 수수, 기장, 훈몽자회, 사상의학, Corn, Millet, HunMonJaHui,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연구논문 : 화전민호수의 변화요인 분석 -강원도를 중심으로-
신민정 ( Min Jeong Shin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1] 제10권 제2호, 85~98페이지(총14페이지)
화전정리사업의 전개에 따른 화전·화전민의 수량적인 변화에 한정하여 사업을 평가하는 것이 아닌 화전정리사업의 전개에 따른 화전·화전민의 실태의 변화와 한국의 사회경제 구조변화를 결부시키는 분석 시점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오늘날 입수 가능한 당시 화전·화전민에 관련된 한정된 1960~1970년대 통계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여 계량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화전정리사업 화전민대책의 일환으로 행해진 신설상전 면적, 양잠농가호수, 경제발전에 따른 사회구조 변화 가운데, ①산림황폐화에 따른 산림보호·조림면적, ②공업화에 따른 화학비료사용량과 화전민호수와의 관계를 계량분석 해 본 결과, 신설상전면적과 화학비료사용량이 화전민호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G 화전민호수, 화전정리사업, 사회경제구조 변화, 패널데이터 분석, Slash-burn Farms, the Arrangement of Shifting Cultivation, Socioeconomic Changes, Panel Data Analysis
연구논문 : 시설원예 농가의 지열 냉난방시설 도입에 따른 경제적 효과
최칠구 ( Chil Koo Choi ) , 강진구 ( Jin Koo Kang ) , 하두종 ( Doo Jong Ha ) , 김미옥 ( Mi Ok Ki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1] 제10권 제2호, 99~109페이지(총11페이지)
국민소득 수준 향상으로 연중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요구하게 됐고 이는 시설재배로 작부체계를 전환케 했다. 최근 국제유가 상승은 시설재배 농가의 경영비를 상승시켜 환경을 보전하면서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는 가온재배 기술의 도입성이 대두되어 2009년부터 지열히터펌프 시설이 집중적으로 설치되기 시작했다. 지열히터펌프는 시설 내구연한이 길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탄소발생량이 적어 친환경적인 난방시설이지만 초기 투자비가 많이 소요되어 농가 자부담으로 도입할 경우 현재의 유가수준에서 보면 대부분의 작목에서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정부의 지원으로 20%만 시설비를 부담할 경우 파프리카, 장미, 난류등 고온성작물과 육묘 생산시설과 같은 연중 생산시설에서는 경제성이 있었다. 지속적인 국제 유가 상승 추세를 반영한다면 지열히터펌프의 확대 보급이 ...
TAG 시설원예, 지열 냉난방시설, 지열히터펌프, Horticulture, Heating System, Economic
연구논문 : 태백지역 민속놀이 사시랭이 불림소리 고찰
안옥선 ( Ok Sun Ahn ) , 김수현 ( Su Hyun Kim ) , 정명철 ( Myeong Cheol Jeong ) , 강방훈 ( Bang Hun Kang ) , 김미희 ( Mi Heui Ki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1] 제10권 제2호, 111~128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전통지식 자원을 장소마케팅을 위한 지역 문화상품으로 개발하고자 강원도 태백 구문소마을에서 전통지식 자원을 발굴하고 민속놀이인 사시랭이를 고찰구문소 마을에서 주민들을 대상으로 전통지식을 채록한 결과 44건이 발굴되었는데 건강, 의식주생활 및 생산과 관련된 기술로 산간지역, 화전생활 등과 관련된 지식들이었다. 이 중에서 사시랭이는 구문소마을을 중심으로 반경 20km 내에서만 행하여지는 태백시 고유 민속놀이로 타 지역과의 차별성이 크고 불림소리를 통한 흥미요소가 있어 체험프로그램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사시랭이는 1에서 10까지 숫자가 새겨진 24닢의 엽전으로 행하는 놀이로서 엽전을 소반에 내려치면서 엽전에 새겨진 수자에 어울리는 불림소리를 해학적이고 풍자적으로 노랫말을 지어 부른다. 사시랭이 불림소리에는 인물, 지명, 생활상, 사...
TAG 태백지역, 민속놀이, 사시랭이, 불림소리, 농촌체험프로그램 , 장소마케팅, Taebaek Area, Indigenous Folk Game, Sasirang-e, Annealing Sound, Rural Tourism Program, Place Marketing
북한의 옛농서(農書)와 농업사(史)용어
김영진 ( Young Jin Kim ) , 이길섭 ( Kil Seob Lee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1] 제10권 제1호, 1~18페이지(총18페이지)
저자들은 북한에 있는 조선시대의 옛농서로 남한에 없는 농서가 어떤 내용으로 얼마나 소장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고 남한에서 쓰지 않으면서 북한에서 보통으로 쓰이는 농업사 용어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그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은 남북분단 이후 65년이 경과하는 동안 남북 간에 문헌정보 교류가 막혀 남북상호 간의 농업사 연구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북한에 21종의 조선시대 농서가 소장되어 있고 그 중 『후생록』 상권은 남한에 없는 농서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북한에서 흔히 쓰는 농업사 용어로 남한에서 생소한 71개의 용어를 검색하여 남한에서 쓰는 용어로 풀이하였다. 남한에서 쓰지 않는 용어를 북한이 쓰는 까닭은 북한의 정치적 이유, 한자(漢字)로 된 용어를 대중이 알기 쉽도록 풀어쓴 이유, 북한의 방언 사용 등에 원인하나 궁극적으로는 남북 ...
TAG 농서, 農書, 농업기술사, 농업사용어, Agricultural Books, Agricultural History, Agricultural Terms
고구마의 어원(語源)과 품성(品性)에 대(對)한 문헌연구(文獻硏究)
김종덕 ( Jong Dug Ki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1] 제10권 제1호, 19~46페이지(총28페이지)
고구마에 대한 고서를 정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서류(서類)는 감자, 고구마, 마, 토란 등을 포함하여 이들은 모두 마[山藥 = 서]와 비슷한 부류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단맛[甘味]이 나는 마[藷, 山藥]라는 의미로 감저(甘藷)라고 명명하였다. (2) 고구마 도입 이전에 나오는 감저(甘藷)는 야생종 마인 산저(山藷=舊藷)이고, 도입 이후의 감저(甘藷)는 번저(番藷=新藷)를 의미하므로 고서번역에 있어서 잘못 인용된 것에 대하여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3) 고서에서의 오류는 다음과 같다. 첫째, 『佩文齋廣군芳譜』(1708), 『淵鑑類函』(1710), 『格致鏡原』(1735), 『欽定授時通考』(1737) 등에 나오는 옥침저(玉枕藷)는 고구마가 아닌 마의 일종이다. 그러나 『월西叢載』에서의 옥침저(玉枕藷)는 고구마가 ...
TAG 고구마, 태음인, 사상의학, 호산지기, Sweet Potato, Tae-eum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CM, Exhale-dispersing Qi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