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AND 간행물명 : 우리어문연구1048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극단 현대극장의 ‘어린이명작극장’ 공연활동과 그 의의
유인경 ( Yoo In-gyeong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20] 제67권 135~196페이지(총62페이지)
이 연구는 한국 어린이연극의 전개 과정상 정착·발전기인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활동한 극단 현대극장의 ‘어린이명작극장’ 특성과 의미를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어린이연극이라는 특수성뿐 아니라 역사적 측면, 사회적 측면, 공연적인 측면을 반영하여 ‘어린이명작극장’ 작품 제작과정과 개발 방안, 그 성과와 한계를 파악하고자 했다. 현대극장의 ‘어린이명작극장’ 제작의 의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극장은 뮤지컬을 처음 시도하는 단계에서, 일련의 어린이 뮤지컬 개발 역량을 통해 배우진과 스태프진의 전문성을 제고해나갈 수 있었다. 양질의 작품을 올리겠다는 제작 의지가 선행된 ‘어린이명작극장’은 성인연극 못지않은 투자와 연속적인 공연활동으로 잠재 관객 확대에 성공함으로써 연극인들의 관심을 제고하였고, 이러한 흐름은 자연...
TAG 현대극장, 어린이명작극장, 어린이연극, 뮤지컬, 김의경, 최창권, 김상열, Hyundai Theater Company, children, s theatre, Theatre for Children, Children, s Masterpiece Theater, musical, Eui Kyung Kim, Sangyeol Kim, Changkwon Choi
근대 ‘미신적(迷信的) 치료’ 비판과 계몽적 위생 담론의 전개 과정 연구
이은선 ( Lee Eun-seon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20] 제67권 197~224페이지(총28페이지)
근대 ‘미신적 치료’에 대한 비판은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시도되었다. 개항기의 선교사, 서구 문물을 접한 지식인, 언론인, 근대적 의학 교육을 받은 의사들, 그리고 위생 조사를 실시한 조선총독부에 이르기까지 이를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개항기 선교사들은 ‘조선’의 ‘미신적 의료’를 반복적으로 비판했고, ‘조선’의 지식인들도 ‘미신 타파’를 강력하게 주장한 바 있다. ‘미신적 치료’를 비판하던 주체들은 각각 선교, 문명개화 등의 목표를 지니고 있었는데, 환자와 직접 대면하는 의사는 무당, 판수 등의 영향을 최소화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었다. ‘미신적 치료’를 비판하는 이러한 기록들에서는 ‘미신 타파’를 주장하는 목소리뿐 아니라, ‘미신적 치료’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생생한 예시도 찾아볼 수 있었다. 조선인들은 병의 원인을 ‘악귀(惡鬼)’의 ...
TAG 근대 의학, 미신적, 迷信的, 치료, 계몽적 위생 담론, 의학, , 지식, ‘믿음’의 체계, Modern medicine, superstitious medical practice, enlightening hygiene discourse, medical knowledge, ‘belief’ system
임화의 언어의식과 『현해탄』의 어문정리 실천에 관한 고찰 -서울방언을 중심으로-
조해옥 ( Cho Hae-ok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20] 제67권 225~253페이지(총29페이지)
서울 출신 시인 임화의 시에는 서울방언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1938년에 발간된 임화 시집 『현해탄』에서만 특이하게도 서울 방언이 나타나지 않는다. 본고는 시집 『현해탄』이 가지는 표기상의 특이점, 즉 표준어법에 따라 표기된 배경에 대해 살펴본 논문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현해탄』 이전에 발표되었다가 『현해탄』에 다시 실린 시작품들을 텍스트로 하여 동일 작품의 원문과 『현해탄』 게재 작품의 표기법 수정 사례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한글맞춤법통일안』의 규정을 찾아서 『현해탄』의 표준어화 근거를 제시하였다. 『현해탄』에서의 어문정리 양상을 보면, 임화의 시 원문에 쓰인 서울방언‘ㅓ>ㅡ’가 『현해탄』에 다시 실리면서 ‘ㅡ>ㅓ’로, 움라우트 ‘ㅏ>ㅐ’ 현상이 ‘ㅐ>ㅏ’로, ‘ㅡ’ 보수형이 ‘ㅣ’로 수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같은 모음...
TAG 모음 변화, 문학어, 일상 언어, 서울방언, 어문정리, 언어의식, 이극로, 통일된 민족어, 표준어, 『한글맞춤법통일안』, 한글보급운동, 『현해탄』, Vowel Change, Literary Language, Everyday Language, Dialects of Seoul, Practices of Literary Arrangement, Linguistic Awareness, Lee Geuk Ro, Uniform National Language, Standardized Language, 『Guidelines for Uniform Use of Korean Language』, Hangeul Promotion Movement, 『Hyeonhaetan』
제임스 게일(James Scarth Gale)의 『구운몽(九雲夢)』 번역양상(飜譯樣相) 고찰(考察)
이창희 ( Lee Chang-hee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20] 제67권 255~298페이지(총44페이지)
본고는 제임스 게일의 『九雲夢』 英譯本인 The Cloud Dream of the Nine을 목표수신독자 중심의 게일의 번역관을 기반으로 번역비평을 전개한 것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그의 번역관과 패러텍스트(paratext)를 검토하였으며, 3장에서는 게일의 목표수신독자 중심의 번역관을 바탕으로 원천텍스트에 보이는 인명과 동양의 문화요소 등이 번역텍스트에 구현된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개략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텍스트에 대한 번역비평을 전개하기에 앞서 게일의 번역관을 규명해보았다. 영문 잡지 The Korea Magazine과 번역서의 서문에 산발적으로 보이는 게일이 작성한 번역과 관련된 논의 속에서 그의 번역관을 추출해보았다. 특히 그가 1893년에 작성한 ‘번역의 원칙(The Principles of Translati...
TAG 제임스 게일, 九雲夢, 번역비평, 영역본, 고전번역, James Scarth Gale, The Cloud Dream of the Nine, translation review, classics translations
숭고미학의 관점으로 본 한글의 이미지성
김동빈 ( Kim Dong-bin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20] 제67권 299~327페이지(총29페이지)
문자의 본래적 기능은 ‘쓰기와 읽기’에 바탕을 둔 문자성에 있었다. 문자성이란 문자로 형성되는 글의 속성과 그로부터 파생되는 사고방식 및 일련의 문화를 말한다. 문자성은 글쓰기의 대상과 주체의 분리를 통한 객관성을 중요한 조건으로 하면서 지식을 구조화한다. 타이포그래피는 문자를 질료로 하여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시각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일환이라는 점에서 문자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20세기 이후, 타이포그래피의 표현 범주에서 문자의 역할은 문자성에 국한되지 않고 읽는 문자에서 보는 문자로의 이행현상이 나타나면서 문자의 이미지성이 주목받게 됐다. 이 현상은 21세기에 이르러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더욱 확산되고 심화됐다. 문자의 이미지성은 표현하는 주체의 직관적 감성에 기댐으로 인해 감성적이고 주관적인 특성을 갖기 때문에 주체와 대상 사이의...
TAG 한글, 이미지성, 문자성, 숭고미학, 타이포그래피, Hangul, Imagery, Literacy, the Sublime Aesthetics, Typography
구어에 실현되는 감탄사 ‘그래’의 담화 기능과 운율 특성
송인성 ( Song In-seong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20] 제67권 329~363페이지(총35페이지)
이 연구는 TV 드라마 음성 자료와 전사 자료를 이용하여 구어에 실현되는 ‘그래’의 담화 기능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운율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래’의 담화 기능은 먼저 반응어와 진행어로 구분할 수 있었다. 반응어로 사용된 경우 평서문 발화에서는 동의, 수용, 허락의 긍정 기능과 상대의 부름, 인사, 진술에 대한 응답 기능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의문문 발화에서는 감탄이나 가벼운 놀람, 상대방 말의 진위 여부 확인, 상대방 말에 가볍게 응수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그래’가 진행어로 사용된 경우 관심 유도, 강조 기능이 실현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관심 유도 기능은 화자가 친밀하게 화제를 도입하거나 전환하는 발화 시작 상황과 발화 중에 특별한 내용이 떠올라 이를 전하고자 할 때 나타난다. 강조 기능은 화자가 자신과 관련된 내용을 인정,...
TAG 그래, 감탄사, 담화표지, 담화 기능, 운율, 음성 코퍼스, geu-lae, exclamation, discourse marker, discourse functions, prosodic features
대학생의 글쓰기 인식에 대한 추적조사 연구 -M대학교의 글쓰기 수업 수강생을 중심으로-
박대아 ( Park Dea-ah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20] 제67권 365~398페이지(총34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글쓰기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인식과 수강 이후 인식의 변화 양상을 추적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2019년 1학기 전라남도 소재의 M대학교에서 진행된 <글쓰기의 기초> 강의를 수강한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두 차례의 연속적인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다. 1차 설문조사는 <글쓰기의 기초> 강의가 진행되던 1학기 초반에 이루어졌고, 2차 설문조사는 8개월 뒤인 2학기 후반에 이루어졌다. 1차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글쓰기와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2차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글쓰기 수업 이후 변화된 학생들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이 개인적 차원에서 사회적 차원으로 확대되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특정한 글쓰기 환경과 경험에 노...
TAG 글쓰기, 대학 글쓰기, 글쓰기 수업, 글쓰기 인식, 글쓰기 효능감, Writing, college writing, writing classes, writing perception, writing efficacy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휘의 의미 사용 연구 - 이동 동사 ‘가다’를 중심으로-
이승연 ( Lee Seung-yeon ) , 이유경 ( Lee Yoo-kyoung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20] 제67권 399~432페이지(총34페이지)
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어휘의 다의적 의미를 사용하는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학습자 말뭉치(국립국어원)에서 이동동사 ‘가다’의 용례를 수집, 정련하여 총 4,814개의 용례를 확보하였으며, 한국어 사전의 ‘가다’ 항목에 실린 의미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43개의 의미 유형으로 의미 주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급에서는 43개 의미 중 총 12개의 의미가 사용되었으며 주로 ‘가다’의 기본 의미인 ‘한곳에서 다른 곳으로 장소를 이동하다(70.67%)’에 사용이 집중되어 있었다. 중급에 이르면 총 20가지 의미 유형이 나타나는데, 이 가운데 기본 의미의 비중은 54.08%로 다소 감소하고 ‘추상적 이동(9.23%)’, ‘신분의 변화(5.33%)’ 등의 사용이 늘기 시작한다. 고급에 이르면 총 31가지 의미 유형이 나타...
TAG 어휘의 의미 습득, 이동 동사 ‘가다’, 학습자 말뭉치 분석, 의미 확장, 다의어 학습, Meaning Use of Words, Locomotive Verb ‘kata’, Analysis of Learner Corpus, Meaning Expansion, Learning Polysemy
「좌평성충」, 「백마강」의 개작과 검열 양상
김영애 ( Kim Young-ae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20] 제66권 7~33페이지(총27페이지)
김동인이 시도한 백제 역사의 복원은 궁극적으로 내선일체 이데올로기를 공고히 할 역사적 근거를 제시했다. 김동인은 『삼국사기』, 『일본서기』 등 사서(史書) 속 백제 역사에 관한 기록을 참고하여 「좌평성충」과 「백마강」을 썼다. 그러나 동일한 사료를 참조하여 문학적으로 재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두 작품의 서사적 차이는 적지 않다. 이 차이는 「좌평성충」에서 배제했던 역사적 사실을 「백마강」에 이르러 복원하거나 추가함으로써 만들어졌다. 「백마강」에 관한 기존 논의는 대부분 전작 「좌평성충」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지 않았기에 작가가 표방한 창작의도와 목적을 별 다른 의심 없이 수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전작과의 연관성을 고려할 경우 「백마강」에 대한 해석은 달라질 수 있다. 개작을 통한 텍스트의 확장 과정에서 검열 당국의 구미에 맞는 역사적 사실을 전면화하는 전략...
TAG 김동인, 좌평성충, 백마강, 내선일체, 역사소설, 검열, 개작, Kim Dongin, The Jwapyoug Sungchung, The Baekma river, ` Korea and Japan are One` policy, historical novel, censorship, adaption
근대 초기 소설에 나타난 기독교와 치유의 문제 -「몽조」와 「인생의 한」을 중심으로-
박성호 ( Park Sung-ho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20] 제66권 35~62페이지(총28페이지)
본 논문은 「몽조」(1907)와 「인생의 한」(1912)을 중심으로 하여 근대 초기 소설에서 기독교가 수행하는 ‘치유’의 역할을 살펴본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두 작품은 동시대의 다른 소설과 유사한 모티프를 취하지만, 기독교라는 요소의 개입으로 인해 서사는 사뭇 다른 양상으로 진행된다. 특히 기독교의 개입은 극단적인 불안 속에 놓인 여성인물이 신경정신질환을 앓는 지경까지 이르지 않고 불안으로부터 벗어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기독교를 통한 구원의 형태로 제시되는데, 가족의 재결합과 같은 회귀적인 방식으로 여성인물의 치유를 꾀했던 다른 소설과는 달리 부재를 대체하는 존재로서의 종교를 제시했다는 점 또한 특징이다. 다만 이 ‘구원’의 양상에서는 두 작품이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기독교가 동시대의 한국 사회 내에서 수행할 수 있는 역...
TAG 기독교, 치유, 신경정신질환, 신경쇠약, 여성, 가정, 구원, 회개, 신앙, Christianity, Healing, Neuropsychiatric diseases, nervous breakdown, women figure, family narratives, christian salvation, penitence, religious belief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