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AND 간행물명 : 동양예술60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新媒體時代數字插畵在視覺傳達設計中的應用硏究
왕판 ( Wang Fan )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2020] 제48권 313~335페이지(총23페이지)
在這个數字化的新媒体時代,藝術与技術做到了完美融合,數字插畵作為現代設計的一種重要的視覺傳達形式,以其直觀的形象性,真實的生活感受及其美的感染力,在現代設計中占有相当重要的地位,涉及到文化活動、社會公共事業、商業活動、影視文化等方面,已广泛應用于現代設計的多个領域。文化轉型已經從紙媒轉換到電子媒体,文字轉換為圖像、理性轉變到感性、單一轉變多元,感覺和想像轉變到表象、意象再轉變到擬象。數字插畵在当代視覺傳達設計中也占据着很關鍵的位置,在商業領域激烈競爭的時代背景下,數字插畵設計被广泛應用到不同層面的設計領域中。以一種直叙、真實、自我的生動形象展現,使它具有都市生活的快感,且具有藝術美學的感染力。這種將傳統的繪畵創作方式與現代視覺設計相結合,使數字插畵設計中蘊含著中國傳統文化元素的精髓和濃郁且含蓄的美感。 本文試圖通過對數字插畵視覺語言表現形式的探索硏究,對傳統元素与數字插畵碰撞融合所產生的獨特藝術美的闡述,同時結合國內外經典插畵案例分析,對插畵在視覺傳達設計中的應用進行全面和深入的分析。探索數字插畵在在視覺傳達設計方面的應用,以及數字插...
TAG 예술잡화, 디자인 지각전달, 뉴 미디어, 비주얼 언어, 插畵藝術, 視覺傳達設計, 新媒体, 視覺語言, illustration art, visual communication design, new media, visual language
中國民間藝術“年畵”中的東方氣韻與藝術語言
황샨 ( Huang Shan )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2020] 제48권 337~359페이지(총23페이지)
東方人最初的"繪畫",並不是以追求美和陶冶情操為目的而產生的,而是原始社會中人們對生產和生活進行的記錄和總結。東方繪畫藝術的種子就這樣,在生活在新石器時代的原始人類對生產生活的記錄、對未知自然的探究與猜測、對宗教信仰的崇拜與追求中逐漸生根發芽。而原始人類對藝術作品中的創作情懷和賦予藝術作品的意義,也深深影響著東方人對於藝術作品的審美觀和創作理念。正是在這樣一脈相承的藝術創作環境中,中國民間藝術年畫應運而生。年畫即春節期間張貼的藝術繪畫作品,是中國民間藝術中具有特色的藝術表現形式之一。從定義上來說,凡是由民間藝術愛好者創作的用來描繪民間生活生產,並由專業作坊行業進行批量繪刻和經營的繪畫,都可以被稱之為年畫。據史料考證,中國古人崇拜的對象逐漸的進行改變,從對自然的崇拜逐漸轉變為對社會型的人格神的信仰與崇拜。最早的有金雞、神虎、再到後來的關羽、趙雲、秦叔寶、和鍾馗、管仲、天師等。這其中有一條清晰的發展脈絡,而年畫則起源於貼門神這一習俗。隨著社會不斷進步,生產力和科學技術水準的不斷提高,年畫的功能性和自身所代表的特殊...
TAG 연화, 문신, 童子, 동방기운, 예술언어, 年畫,門神, 東方氣韻,藝術語言, Spring Festival Pictures,goalkeeper,child,Carved painting process, Artistic language
油畵中邊緣線的空間性表現硏究
양련술청 ( Yang Lin Shu Qing )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2020] 제48권 361~385페이지(총25페이지)
線,是人類在認知和反映自然形態最簡明了的表現形式。在繪畵中,線就象骨架一樣,支撐著整個 畵 面。而一件完整的作品构建是否得当,邊緣線起着至關重要的作用。油畵作品中,畵面的空間构是其作品所要表現的重要內容,邊緣線不但可以作為形體的一種畵面构成要素存在,而且還是一种空間意識的呈現,是分割畵面的重要手段、空間塑造的重要語言。邊緣線同光影、色彩、結构等其他构成畵面的元素一樣,以多樣的表現形式和方法,服務於畵面,突出主題,塑造空間,促使藝術風格的改變和情感的表達。 本文試着從空間這一角度入手,解讀邊緣線自身的特点及表現形式,結合具有代表性的作品分析其自身空間特点及与周圍元素在油畵處理中交織而産生的視覺空間效果,把停留在對邊緣線的處理方式、擅變歷程和風格硏究,擴展到對其空間塑造的探討上來。從而使藝術家們更能深層次的掌握和運用線這一繪畵語言,使其達到新的高度,全面地發揮其在繪畵中的價值。
TAG , 에지라인, 공간형상화, 회화언어, 線,邊緣線,空間塑造,繪畵語言, line, marginal line, space shaping, language of painting
汲古鑄今一當代“新銳工筆”人物畵硏究
지아오셔훼이 ( Jiao Xiao Hui )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2020] 제48권 387~410페이지(총24페이지)
工筆畵作為中國畵中最早成熟的一個繪畵種類,它歷史悠久且作為中國藝術文化的載体,在不同的歷史時期都以其獨特的繪畫語言表達著中國人的文化理念和審美精神。縱觀中國美術史不難發現,在其數千年的發展歷程中,在不同的朝代,不同的文化背景、不同的社會審美趣味和政治需求下,作為文化載体的工筆畵在其特定歷史時期也呈現出不同的文化內涵和表現形式。本文將通過硏究特定的社會文化對工筆畵發展的影響來進而分析当今社會的”新銳工筆”現象,下文統一簡称”新工筆”。希望通過這次硏究能對工筆畵的發展有更清晰地認識,立足当下展望未來,為以後的工筆畵創作開拓更為广闊的空間。 由於当今世界网絡資訊時代的便捷、各種圖像文化高度發展。 畵家的生活方式和觀念較之前也發生了很大的變化,這些因素都促使当代工筆畵創作有了不同以往的新面貌---即本文中提到的”新工筆”。本文中所謂的”新”只是一個相對概念,因為”新”字本身就是一个發展着的、動態的而非靜止的狀態。”新工筆”是近几年出現的一個新生概念,“新”則意味著有別於旧、有別于傳統的新事物。“工筆”一詞又直接說明了這個...
TAG 전통철학, 신공필, 회화언어, 전승과 혁신, 傳統哲學, 新工筆, 繪畵語言, 繼承与創新, traditional philosophy, new fine brushwork, painting language, inheritance and innovation
智能化時代背景下中韓企業視覺識別系統設計的發展展望
리원짠 ( Li Wen Zhan )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2020] 제48권 411~432페이지(총22페이지)
企業視覺識別系統設計是企業將品牌文化、 産品、理念向消費者進行宣傳的重要手段,它反映了一個企業的經營思想和産品理念。伴隨著時代的不斷發展,企業視覺識別系統設計的展現形式也在不斷地在改變,当手機、PC等成為平面設計的主流展現載体,設計也必將伴隨著科學技術的智能化脚步不斷前行。中韓作為一衣帶水的友鄰,同為一個經濟帶的兩个重要組成部分,對智能化時代背景下企業視覺識別系統的硏究具有重要代表意義。本文分為四個部分,一是對智能化在中韓企業視覺識別系統設計中的影響進行硏究分析,二是對企業視覺識別系統和智能化的相關理論進行論述,三是以實例對中韓兩國代表的企業視覺識別系統設計在智能化時代背景中的實例進行分析,四是對企業視覺識別系統的發展進行展望,最終得到硏究結論。
TAG 지능화, 한중 기업, 기업 시각 인식 시스템 설계, 智能化,中韓企業,企業視覺識別系統設計, Intelligence, Chinese and Korean enterprises, enterprise visual identification system design
증점(曾點)의 ‘욕기영귀(浴沂詠歸)’에 대한 조선조 유학자(儒學者)들의 견해(見解)와 수용(收用)
조민환 ( Jo Min Hwan )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2020] 제47권 5~30페이지(총26페이지)
본고는 조선조 유학자들의 曾點의 ‘浴沂詠歸’에 관한 견해와 수용을 분석함으로써 조선조 유학자들이 추구한 삶의 한 부분을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공자의 문하에서 ‘狂士’로 평가된 증점이 ‘浴沂詠歸’하고자 한 것에 대해 程頤가 ‘堯舜氣象’이 있다고 평가하고, 朱熹가 人欲이 다하는 곳에 天理가 유행하는 묘한 경지를 얻었다는 평가와 현실적 삶에서 증점의 실천성이 부족한 점을 들어 평가한 것은 조선조 유학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준다. 조선조 유학자들은 증점의 ‘浴沂詠歸’를 ‘요순 기상’에 비유한 것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견해를 보인다. 비판적 견해의 핵심은 요순은 성인이고 증점은 광사인데, 그 두 사람이 동일시하여 논해서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敬畏’ 아닌 ‘灑落’을 추구하는 삶에 초점을 맞추어 논한다면, 증점이 ‘浴沂詠歸’한다는 것을 공자가 ‘吾與點’이라 평가...
TAG 증점, 욕기영귀, 무우풍영, 요순기상, 신독, Zengdian, Ablution at Yi and then return home singing, Exposing to wind and singing at Wuyu, Meteorology of Yao and Shun
한국 궁중정재의 공연콘텐츠 개발 방향성 시론
허동성 ( Huh Dong Sung )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2020] 제47권 31~59페이지(총29페이지)
21세기 문화적 글로벌화의 조류 안에서 장구한 전통을 통해 보존, 전승되어 온 우리나라의 궁중정재는 수준 높은 로컬문화의 한 예범이자, 글로컬 문화상품의 개발을 위한 원천콘텐츠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문맥에서 본고는 궁중정재의 정형태를 유지하는 한도 내에서 관극 유인력을 지닌 공연콘텐츠로 개발하는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역사적 스토리텔링의 구축 및 상연텍스트화 방안이다. 즉, 궁중정재 곡목의 발생 및 배경 설화를 토대로 한 흥미로운 스토리텔링을 발굴하여 동영상콘텐츠로 구축한 뒤 본 공연 전에 현대적 공연설비를 활용하여 투사함으로써 춤에 대한 관객의 이해도와 유인도를 강화한다. 둘째, 궁중정재의 유형, 관념, 형태 등에 따른 특정한 기획주제 하에 여러 곡목들을 묶어 합연하는 방안이다. 발생 연원에 따라 당악정재와 향악정재의 양식, 종교적 발...
TAG 궁중정재, 궁중무용, 궁중연향, 아시아 궁중무용, 공연콘텐츠, 문화콘텐츠, 글로컬문화, Korean court dance, gung-jung-jeong-jae, Asian court dance, glocal culture, performance content, cultural content
단원 김홍도의 다화(茶畵) 연구
조동원 ( Cho Dong Won )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2020] 제47권 61~90페이지(총30페이지)
조선 후기(1700-1850)는 다양한 사상과 다채로운 문화가 조화를 이루며 주체성에 대한 각성이 이루어졌고, 이는 조선 茶에 대한 연구로 이어졌다. 주체성을 강조하는 시대정신은 조선의 산수를 그린 진경산수화와 조선의 삶을 그린 풍속화로 창출되었고, 조선 茶의 중흥은 茶畵로 형상화되었다. 단원 김홍도(1745-1806)는 실사구시의 실경산수화와 서민중심의 풍속화에서 최고의 역량을 발휘했고, 조선의 다도정신이 담긴 文士의 茶三昧를 茶畵로 형상화했다. 조선화가 중에서 가장 많은 茶그림을 그린 단원의 茶畵에는 당대의 茶文化가 여실하게 내재되어 있고, 그의 심미의식이 오롯하게 표출되어 있다. 조선 茶의 다양한 정신적 가치가 담겨있는 단원 김홍도의 茶畵연구는 곧 당대 文化의 연구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김홍도 회화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부단하게...
TAG 단원 김홍도, 다화, 다삼매, 다도정신, 문사다도, 다도미학, Danwon Kim Hongdo, Tea Painting, Tea Samadhi, Spirit of Tea Ceremony, Literati’s Tea Ceremony, Aesthetics of Tea Ceremony
역대(歷代) 화론(畵論)에 나타난 미육적(美育的) 요소(要素)에 관한 소고
이재우 ( Lee Jae Woo )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2020] 제47권 91~128페이지(총38페이지)
본 고는 歷代 畵論에 나타난 美育的 要素에 관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회화의 미육적 요소를 가장 단적으로 보여주는 ‘成敎化, 助人倫’的美育과 ‘鑑戒賢愚’的 美育의 요소를 관련지어 살펴보았다. 歷代 畵論에 전개된 美育的 要素에서는 문화지식과 심리특징을 주관적 意象으로 도식하여 창작자의 美育的 隱喩라는 의도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동물, 문자의 형상, 인물을 화면으로의 시공간을 구축한 후 그에 대한 고사나 정절을 묘사하여 윤리적으로 감계적인 목적에 도달하고자 하였다. 특히 화론에서 花鳥畵家들은 원형의 모습대로 그리거나, 상징적인 모습을 그리거나, 독음이 비슷한 것을 그리는 등, 문화지식과 심리특징으로 주관적 意象을 그려냄으로써 창작자의 美育的 메타포를 통하여 마음속의 특징이나 문화를 주관적 이미지로 풀어냈다. 이러한 것은 미육에서 지향한 내용과 일치하는 것이 있음을 ...
TAG 화론, 畵論, 미육, 美育, 감계, 鑑戒, 교화, 敎化 인격함양, 人格涵養, Painting theory, art education, exemplary conduct, Edification, build character
뮤지컬 <영웅>의 한국적 가치 고찰
문선아 ( Moon Sun Ah )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2020] 제47권 129~149페이지(총21페이지)
뮤지컬은 시간예술과 공간예술이 한데 어울려 무대 위에서 펼쳐지는 종합예술이다. 한국 뮤지컬은 1966년에 공연된 예그린 악단의 <살짜기 옵서예>를 시작으로 하여 50여년 이상 꾸준히 성장하며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는 한국의 문화 예술로 자리매김하였다. 특히 우리의 역사와 정서를 밑바탕으로 만든 뮤지컬 <명성황후>의 1995년 초연 이후 한국 창작 뮤지컬은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2009년 <명성황후>의 제작진인 (주)에이콤에 의해 <영웅>이라는 안중근의 마지막 삶을 재조명한 뮤지컬이 초연되었고 한국의 역사에 바탕을 둔 뮤지컬로서 많은 이들에게 인정받는 뮤지컬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뮤지컬 <영웅>의 어떤 부분이 2009년 초연 이후 관객들의 뜨거운 호평을 받으며 거의 매년 수차례 재 공연되고 해외에서도 인정받는 작품이 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TAG 안중근, 창작 뮤지컬, 뮤지컬 영웅, 뮤지컬 음악, 누가 죄인인가, 재판 장면, Ahn Jung-geun, creative musical, musical hero, musical music, who is guilty, trial scen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