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43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정서종류에 따른 정서억제와 안녕감 그리고 대인관계의 관계: 대학생 집단에서 개인 문화성향의 조절효과
박한나 ( Hanna Park ) , 허재홍 ( Jaehong Heo ) , 오충광 ( Chunggwang Oh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인간이해 [2017] 제38권 제2호, 115~130페이지(총16페이지)
기존 연구들은 집단주의 사회에서 정서억제는 정신건강이나 대인관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연구를 검토해 보면 몇 가지 보완할 부분이 있어 보이는데 이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를 보완하여 정서억제가 대인관계나 주관적 안녕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구 및 수도권 소재 대학교의 대학생 32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억제하는 정서를 구분하지 않았을 때는 기존 연구와 마찬가지로 정서억제는 대인관계나 주관적 안녕감과 상관이 없었다. 하지만 정서를 구분했을 때는 부정정서 특히 부정-관계정서 억제는 정서적 안녕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정정서 억제와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개인 문화성향은 조절효과가 있었고 긍정-분화정서 억제와 대인관계,...
TAG 정서억제, 대인관계, 주관적 안녕감, 문화성향, emotion sup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ubjective well-being, cultural orientation
강박사고를 경험하는 대학생 유형 분류: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이용하여
서장원 ( Jang-won Seo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인간이해 [2017] 제38권 제2호, 1~12페이지(총12페이지)
자생성-반응성 강박사고 모델에 따르면 강박사고는 크게 자생성 강박사고와 반응성 강박사고로 분류되며, 각 유형에 따라 인지적 평가의 내용과 부정적 정서경험의 유형, 사고 통제 방략 등이 달라진다. 이 모델은 그동안 많은 연구들의 지지를 받아왔지만, 성격특성과의 연결성까지 논의됨에 따라 강박사고 자체뿐만 아니라 강박사고 경험자 유형을 구분하는 모델로도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 문제를 다룬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생성-반응성 강박사고 모델이 강박사고 경험자 유형을 구분하는 모델로도 사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강박사고를 경험하는 대학생 177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총 2개의 집단이 도출되었다. 첫 번째 집단은 자생성 강박사고와 반응성 강박사고를 높은 빈도로...
TAG 강박장애, 강박사고, 자생성-반응성 강박사고, 잠재프로파일분석,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bsession, autogenous-reactive obsessions, latent profile analysis
내담자가 지각한 상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내담자 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홍수미 ( Sumi Hong ) , 김희정 ( Heejoung Kim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인간이해 [2017] 제38권 제2호, 33~54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는 내담자가 지각하는 상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내담자 요인의 내용과 그 이면의 구조를 개념도 연구 방법을 통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의 성과를 경험한 대학생 내담자 13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상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내담자 요인 진술문 65개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내담자 요인 진술문에 대한 유사성 분류 및 중요도 평정을 실시하고, 유사성 분류 자료를 바탕으로 다차원 척도와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내담자 요인의 2개 인식 차원과 5개 범주를 확인하였다. 차원은 ‘상담을 위한 노력-자신을 위한 노력’ 차원과 ‘내담자의 외적 세계-내담자의 내적 세계’로 명명하고, 5개의 범주는 ‘상담장면에서의 적극적인 참여’, ‘반성적 사고를 통한 자각 확장’, ‘문제해결과 변화에 대한 강한 욕구’, ‘상담 밖에서...
TAG 내담자 요인, 상담성과, 개념도, 공통 요인, 다차원 척도 분석, client factors, counseling outcome, concept mapping, common factors,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조망수용, 개인적 고통, 공감적 관심, 공감적 반응, 공감적 이해의 상호 비교: 성격 5요인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김환 ( Hwan Kim ) , 한수미 ( Su-mi Han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인간이해 [2017] 제38권 제2호, 55~73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는 공감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는 변인들인 조망수용, 개인적 고통, 공감적 관심, 공감적 반응 및 공감적 이해가 서로 어떻게 차이 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감 변인들과 성격 5요인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461명의 온라인대학교 학생들에게 자료를 수집하여 먼저 성격 5요인과 공감 변인들과의 상관분석을 시도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조망수용, 공감적 관심, 공감적 반응, 공감적 이해는 성격 5요인 중 외향성, 친화성, 개방성, 성실성 차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공감 변인들 중 개인적 고통은 신경증 차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다음으로 편상관 분석을 통해 다른 성격 차원들의 영향을 통제한 후 한 차원과의 고유한 상관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친화성 차원과 공감 변인들 간 편상관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격...
TAG 조망수용, 개인적 고통, 공감적 관심, 공감적 반응, 공감적 이해, 성격 5요인, 신경증, 외향성, 친화성, 개방성, 성실성, perspective taking, personal distress, empathic concern, empathic responding, empathic understanding, Big 5 personality, neuroticism, extraversion, agreeableness, openness to experienc
내현적 자기애, 내면화된 수치심, 공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혜진 ( Hye Jin Jeong ) , 양난미 ( Nan Mee Yang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인간이해 [2017] 제38권 제2호, 95~114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 내면화된 수치심, 공감이 대학생의 사회불안 감소에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비수도권 지역 4년제 대학생 38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은 사회불안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공감은 사회불안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 내면화된 수치심, 공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다회귀분석한 결과, 인정욕구/거대자기환상, 착취/자기중심성, 소심/자신감 부족, 인지공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변인인 목표불안정, 착취/자기중심성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인지공감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담 장면에서 사회불안을 호소...
TAG 사회불안, 내현적 자기애, 내면화된 수치심, 공감, social anxiety, covert narcissism, internalized shame, empathy
내현적 자기애와 대학생의 SNS 중독의 관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매개효과
임숙영 ( Sook-young Lim ) , 임영진 ( Young-jin Lim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인간이해 [2017] 제38권 제2호, 131~145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특권의식과 과대성을 숨기고 내성적이며 수줍음이 많은 내현적 자기애와 SNS(social networking sites: 이하 SNS) 중독의 관계에서 타인에게 자신의 완벽한 모습을 드러내고자 노력하는 특성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287명에게 내현적 자기애 척도, SNS 중독경향성 척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수준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동기가 높을수록 SNS 중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완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
TAG 내현적 자기애,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SNS 중독, covert narcissism, SNS addictio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자존감 불안정성의 관계에 대한 승인욕구의 매개효과 연구
김민정 ( Minjeong Kim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인간이해 [2017] 제38권 제2호, 221~244페이지(총24페이지)
자존감에 대한 사회적지표이론에 의하면 자존감은 자신이 사회에 얼마나 소속되어 있다고 느끼는지를 보여주는 척도가 되는데, 이런 관점에서 자존감 불안정성은 자기가 사회적으로 포함된다는 느낌의 변화폭이 얼마나 큰지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애착이 내적작동 모델, 즉 자기와 타인에 대한 태도로 설명될 수 있다는 점에서 대학생의 성인애착은 자존감 불안정성을 예측하는 변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애착불안성향은 승인욕구을 통해 자존감 불안정성을 설명할 것이라고 가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3개 대학교의 대학생 108명의 인구통계학적 변인, 성인애착, 승인욕구, 자존감 불안정성을 설문 및 통계적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SPSS 20을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애착불안은 승인욕구를 매개로 자존감 불안정성에 영향을 주...
TAG 성인애착, 자존감 불안정성, 승인욕구, adult attachment, self-esteem instability, approval need
성동기 척도 타당화 연구: 미혼 남녀를 대상으로
송은주 ( Eun-ju Song ) , 김지현 ( Ji-hyun Kim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인간이해 [2017] 제38권 제2호, 165~179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성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Sexual Motive Scale(SMS)을 번안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SMS는 Cooper(1998)등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6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세 이상 34세 이하 미혼 남녀 중 성관계 경험이 있는 483명을 대상으로 성동기 척도를 포함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항분석을 통해 내적 일치도를 낮추는 문항과 응답 평균이 극단적인 값을 가진 7개의 문항을 제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성동기 척도는 22문항으로 선정되었으며 또래집단 압력 요인을 제외한 5개 하위 요인-친밀감, 성적욕구, 매력확인, 부정적 감정 조절, 파트너 붙잡기-으로 구성 되었다. 번안된 한국판 성동기 척도의 요인구조가 원척도와 유사한지 알아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TAG 성동기, 성행동, 성태도, 성인애착, 척도 타당화, sexual motive, sexual behavior, sexual attitudes, attachment style, scale validation
사회불안성향 대학생의 얼굴표정 정서에 따른 주의 편향
이유라 ( Yoo Ra Lee ) , 양재원 ( Jae-won Yang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인간이해 [2017] 제38권 제2호, 147~163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의 인지적 특징인 주의 편향이 얼굴표정 정서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학생 23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회불안 척도 점수를 바탕으로 고사회불안집단 20명과 저사회불안 집단 16명을 선별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얼굴표정 정서에 따른 주의 편향을 측정하기 위해 탐사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과제에 사용된 부정적 얼굴표정정서는 분노, 공포, 슬픔이었으며, 긍정적 정서는 기쁨이었다. 실험 과제에서는 중립 사진과 정서 사진의 사진 쌍을 500ms동안 제시하였다. 나란히 배열된 사진 쌍이 사라진 후, 두 공간 중 한 곳에 점을 제시하여 그에 반응하는 속도를 측정하였다. 각 정서에 대한 주의 편향점수는 반응시간을 이용하여 산출되었다. 실험결과, 부정정서가 제시되었을 때에는 집단 간 주의 편향점수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
TAG 사회불안, 얼굴표정, 주의 편향, 탐사과제, social anxiety, emotional face, attentional bias, dot probe task
감정표현 불능증이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성인애착 불안과 성인애착 회피의 차별적 조절효과
오수진 ( Su-jin Oh ) , 신희천 ( Hee-cheon Shin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인간이해 [2017] 제38권 제2호, 203~219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감정표현 불능증이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을 성인애착의 두 하위차원이 조절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65명을 대상으로 감정표현 불능증, 성인애착, 그리고 신체화를 평가하는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감정표현 불능증이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을 성인애착 불안이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성인애착 회피는 조절효과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상호작용의 패턴을 살펴본 결과, 성인애착 불안이 높은 사람들은 감정표현 불능증이 높아짐에 따라 신체화가 높은 비율로 증가하였고, 성인애착 불안이 낮은 사람들은 감정표현 불능증이 높아져도 신체화로 유의미하게 연결되지 않았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들이 대학생 치료 장면에서 주는 시사점과, 연구의 의의, 그리고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AG 감정표현 불능증, 신체화, 성인애착 불안, 성인애착 회피, somatization, alexithymia, adult attachment anxiety, adult attachment avoidanc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