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AND 간행물명 : 교육공학연구92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중ㆍ고등학생의 학습전략 수준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영향요인 탐색
장재홍 ( Jaehong Jang ) , 박인우 ( Innwoo Park ) , 윤가영 ( Gayoung Yun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제1호, 105~135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는 중ㆍ고등학생의 학습전략 수준을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분류하고,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연구Ⅱ’ 자료를 활용하였고, 영향요인으로 성별, 부모 학력, 경제 수준, 생활(부모와의 관계), 정서조절, 과제관리, 학습적응성, 리더십, 학업성취도 등을 고려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전략 수준 프로파일은 3개의 집단 수준으로 나뉘었다. 각 집단을 학습전략 실행 ‘상위 수준 집단’, ‘일반 수준 집단’, ‘하위 수준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명명한 이유는 유형을 구분하는 큰 차이가 학습전략의 실천적 요소에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부모 학력은 집단 간 차이에 영향을 미쳤으나, 경제 수준과 가정생활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학습적응성이 높을수록 ...
TAG learning strategy level, parents` educational level, adaptability of learning, task management, leadership, academic achievement, latent profile analysis, 학습전략 수준, 부모학력, 학습적응성, 과제관리, 리더십, 학업성취도, 잠재프로파일 분석
컴퓨터 기반 문제풀이 환경에서 문제양식, 과제복합도 수준에 따른 인지부하의 측정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노재희 ( Jaehee Rho ) , 조일현 ( Il-hyun Jo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제1호, 137~161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따라 학습 설계를 위한 지침을 제공하는 인지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컴퓨터 기반 문제풀이 환경에서 문제양식과 과제복합도 수준에 따른 인지부하의 변이를 생리심리데이터 중 시각데이터를 활용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인지부하가 학업성취도를 예측할 수 있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84명을 대상으로 컴퓨터 기반 환경에서 문항을 풀이하는 동안 동공크기를 측정하였다. 문항은 총 여섯 문항으로 세 가지 문제양식과 두 가지 과제복합도 수준에 따라 공직적격성테스트(PSAT)의 기출 문항 일부를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문제양식에 따라 측정한 인지부하 지표변수인 동공크기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가 문제양식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고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과제복합도에...
TAG learning analytics, cognitive load, Computer Based Test, problem-modality, task complexity, academic achievement, 학습분석학, 인지부하, 컴퓨터기반, 문제양식, 과제복합도, 학업성취도
MOOC 기반 학습의 메타분석
김재현 ( Jaehyun Kim ) , 유명현 ( Myunghyun Yoo ) , 장유진 ( Youjin Jang ) , 송지훈 ( Ji Hoon Song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제1호, 163~190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MOOC 기반 학습의 효과성과 관련 변수의 탐색을 위한 메타분석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국내에서 이루어진 MOOC 기반 학습의 연구동향을 확인하고 종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OOC 기반 학습의 개입의 효과를 계산한 결과 일반적인 교실 환경에서 이루어진 전통적 학습과 비교해 유의한 효과 크기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아직 MOOC 기반 학습의 개입 효과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계산할 수 있을 정도로 MOOC 기반 학습의 효과성을 탐색한 개별 연구물의 축적이 충분하지 않은 데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MOOC 기반 학습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수들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MOOC 기반 학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관련 변수는 학습성과, 성과기대, 학습자 특성, 만족도, 학습동기, MOO...
TAG MOOC-based learning, K-MOOC,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MOOC 기반 학습, 체계적 문헌 고찰, 메타분석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4년제 대학 중도탈락률 예측 요인 탐색: 대학 수준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이은정 ( Eunjung Lee ) , 송영수 ( Youngsoo Song ) , 김지하 ( Jiha Kim ) , 오수현 ( Suhyun Oh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제1호, 191~219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육의 대표적인 성과 지표인 중도탈락률을 개선하기 위한 대학 차원의 거시적인 관점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정보공시자료를 활용하여 2016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의 전국 4년제 대학의 중도탈락률 추이를 분석하였으며, 최신 머신러닝 기법인 랜덤 포레스트 예측 모형을 구축하여 중도탈락률을 예측하는 대학 수준의 결정요인을 탐색하였다. 예측모형에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대학특성, 사회평판, 연구활동, 교육투자, 강의여건, 교육환경 6개 항목으로 구성된 총 14개 변수가 투입되었으며 모형의 변수 설명력은 63.4%를 기록하였다. 2016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 전국 4년제 대학의 중도탈락률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사립대학과 비수도권대학의 중도탈락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규모별로는 2016년 이후...
TAG dropout rate of 4-year universities, random forest, institutional level factors, higher education public disclosure information, 4년제 대학 중도탈락률, 랜덤 포레스트, 대학 수준 요인, 대학정보공시자료
대학생의 학습민첩성 수준에 따른 행동특성 분석
성은모 ( Eunmo Sung ) , 진성희 ( Sung-hee Jin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제4호, 1005~1033페이지(총29페이지)
4차 산업혁명시대의 미래 인재가 갖춰야 할 핵심역량으로 학습민첩성이 강조되고 있다. 학습민첩성의 개발 가능성이 논의되면서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그러나 그동안 개발된 학습민첩성 측정도구가 자기보고식 역량진단 측정 방법으로 결과의 신뢰도와 일반화에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학습민첩성 측정점수를 이해하기 위하여 행동지표에 따른 행동특성을 수준별로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전국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계열별 변형비례배분으로 표집한 총 1030명의 대학생들이며, 이중에서 학습민첩성 측정문항에 응답한 412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도구는 학습민첩성(변화수용성, 지적호기심, 학습주도성) 측정도구 6문항과 학습민첩성 하위 영역의 행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측정도구 4문항(새로운 변화 경험 횟수, 호기심 ...
TAG learning agility, behavior characteristic, standard score, learning competency, higher education, 학습민첩성, 행동특성, 표준점수, 학습역량, 대학교육
PBL에서 플립드 러닝 적용 방법 탐색: 동영상 제공시기를 중심으로
최정숙 ( Jeongsuk Choi ) , 최정임 ( Jeong-im Choi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제4호, 1035~1063페이지(총29페이지)
최근 PBL과 플립드 러닝을 접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인 강의식 수업과는 달리 이미 구조화된 학습자 중심 활동을 적용하고 있는 PBL 수업에서는 수업 전 강의 동영상을 적용하는 방법이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플립드 러닝의 사전학습은 강의가 선행되는 전통적인 교수방법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문제로부터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유도하는 PBL에 접목할 때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PBL 에플립드 러닝을 접목할 때 어떤 효과가 있을지 동영상 제공 시기를 중심으로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 PBL에서 문제제시 전 동영상을 제공하는 집단과 2) PBL 문제제시 및 이해 활동 후 동영상을 제공하는 집단을 비교하여 학습자의 문제해결력과 학업성취도, 수업만족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1) 학업...
TAG PBL, flipped learning, timing of video providing, problem solving ability,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of the class, 플립드 러닝, 동영상 제공시기, 문제해결력, 학업성취도, 수업만족도
국내 교육공학 분야 질적연구의 자료 분석 절차 탐색
송연옥 ( Yeonok Song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제4호, 1065~1093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교육공학 분야 질적연구의 자료 분석 절차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0년~2018년까지『교육공학연구』와『교육정보미디어연구』에 실린 질적 논문 중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한 논문 110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진행하였다. 연구는 크게 ‘자료 수집 및 정리’, ‘자료 분석’, ‘결론 도출’ 등 3단계의 절차를 거쳤으며, 자료 분석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동료검토와 감사추적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공학 분야 질적연구의 자료 분석 절차는 ‘조직하기’,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심층적으로 사고하기’, ‘검토하기’, ‘공유하기’ 등 총 5개의 범주와 26개의 코드로 정리되었다. 주요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참고한 분석 기준의 대부분이 해외 학자에 의해 제안된 것이었으며, 자료의 ...
TAG qualitative research, data analysis procedures, analytical methods, research methods, educational technology, educational information media, content analysis, 질적연구, 자료 분석 절차, 분석 기법, 연구방법, 교육공학, 교육정보미디어, 내용분석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 개발
김선연 ( Sunyun K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제3호, 621~653페이지(총33페이지)
최근 예술 및 경영 분야뿐만 아니라 교육에서도 디자인 씽킹은 집단 창의성의 향상과 창의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방법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 씽킹의 핵심아이디어를 반영한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여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의 단계와 구체적인 활동들을 반영한 최종 모형을 개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은 수업의 단계와 마찬가지로 도입, 전개, 정리의 3단계로 구분하고 도입 단계에 집단 이해-공감-정의, 전개 단계에 발상-선정, 정리 단계에 생각 시각화-검토-프로토타입-파일럿 테스트로 세분화하였다. 이때 정리 단계는 대학의 다양한 전공의 수업을 고려하여 정리 1(생각 시각화-검토), 정리 2(프로토타입-...
TAG design thinking, group creativity, group creativity thinking process model,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디자인 씽킹, 집단 창의성,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 집단 협력학습
MOOC 대시보드 설계원리 개발: 자기조절학습 촉진을 중심으로
은주희 ( Juhui Eun ) , 임규연 ( Kyu Yon L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제3호, 655~685페이지(총31페이지)
대시보드는 시각화된 학습활동 정보를 통하여 학습자 자신이 미처 파악하지 못한 진행상황을 인지하도록 지원함으로서 학습과정 및 결과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해주는 도구이다. 이 같은 대시보드는 학습과정에서 다양한 데이터가 생성되는 온라인 환경을 중심으로 활용되는데, 최근에는 대규모 공개 온라인 강좌인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에서 강조되고 있다. MOOC 학습자는 스스로 자신의 학습과정을 계획, 점검, 성찰하는 자기조절학습을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MOOC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대시보드 설계원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조절학습의 이론적 프레임워크에 따라 문헌분석을 실시하여 설계원리를 도출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MOOC, 자기조절학습, 대시보드의 3세 가지 영역에 대한 관점을 통합적으로 ...
TAG MOOC, self-regulated learning, dashboard, design principles, 자기조절학습, 대시보드, 설계원리
초등학교에서의 피지컬 컴퓨팅 도구를 활용한 메이커 교육 수업 모형 개발 연구
김근재 ( Keunjae Kim ) , 임철일 ( Cheolil L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제3호, 687~728페이지(총42페이지)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피지컬 컴퓨팅 도구를 활용한 메이커 교육 수업 모형과 교수전략 개발하고 이에 대한 교수자, 학습자의 반응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초등학교에서 메이커교육이 점차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으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 중 하나는 교수자가 학습자 활동을 촉진 및 지원할 수 있는 상세하고 정교화된 수업 모형과 교수전략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에 설계·개발 연구방법의 절차에 따라 선행문헌 검토를 통해 수업 모형과 교수전략 초안을 도출하였다. 이후, 수업 모형과 교수전략에 대한 전문가 타당화 및 사용성 평가를 거친 후 도출된 최종 수업모형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공감하기, 2) 메이킹 문제 정의하기, 3) 재료 및 도구 특성 파악하기, 4) 컴퓨팅 산출물 조립하기, 5) 리믹스를 활용한 알고리즘 설계 및 코딩하기, 6)...
TAG maker education, single-board computer(SBC), instructional model, computational thinking, maker mindset, 메이커 교육, 피지컬컴퓨팅도구, 수업모형, 컴퓨팅사고력, 메이커 정신(mindset)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