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AND 간행물명 : 통합교육과정연구26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초등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교사 자율성 분석
이인혜 ( Inhye Lee ) , 정광순 ( Kwang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9] 제13권 제3호, 47~72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가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에게 자율성을 주는 지를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 초등 교사 7명이 참여했고, Silberstein & Ben-Peretz(1987)가 개발한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자율성 프로파일(Teacher Implementation Autonomy Profile, TIAP)’ 분석 도구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통합교과의 교사용 지도서는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자율성을 발휘하도록 하는 정보수준을 점차 늘려 왔고, 제7차 교육과정 교사용 지도서가 변화의 분기점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통합교과 지도서는 교사를 교육과정 자료 개발자보다는 선택자로, 내용 전문가(contents experts)보다는 교수학 전문가(pedagogic expert...
TAG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자율성, TIAP, the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the teacher's guidebook, teacher's autonomy for curriculum implmentation, Teacher Implementation Autonomy Profile(TIAP)
예술을 융합한 수·과학 영재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과학의 정의적 특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및 효과성 연구
최정진 ( Jungjin Choi ) , 최수진 ( Soojin Choi ) , 유미현 ( Mihyun Yoo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9] 제13권 제3호, 73~100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을 융합한 수·과학 영재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과학의 정의적 특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또한 자발적 참여에 의해 영재교육 대상자를 선정함으로써 ‘선교육 후선발’의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중 자발적 참여를 원하는 학생 20명으로, 32차시 프로그램 실시 후에는 학생과 학부모의 개인 면담을 추가로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을 융합한 수·과학 영재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과학의 정의적 특성을 유의미하게 높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술을 융합한 수·과학 영재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유의미하게 높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에 참여한 학생 중 일부는 영재의 인지적, 정의적 특...
TAG 예술을 융합한 수·과학 영재프로그램, 과학의 정의적 특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발적 참여, Art-converged science and math gifted programs, scientific characteristic, academic self-efficacy, voluntary participant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초등통합교과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경진 ( Kyoungjin Le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9] 제13권 제3호, 101~126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통합교과(이하 통합교과)에 관한 국내 연구들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향후 통합교과 연구에 필요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80년부터 2019년 7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통합교과 관련 학술지 논문과 석·박사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키워드의 언어네트워크 특성 분석을 위해 TF-IDF와 3종의 중심성(연결, 근접, 매개 중심성)값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언어네트워크 지도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네트워크 분석 결과 통합교과 관련 연구는 국가교육과정 개발과 이에 대한 교육과정 내용분석이 주를 이루어왔다. 둘째, 시기별 연구의 흐름을 살펴본 결과 제1시기는 교육과정 운영과 통합방식, 제2시기는 통합교과를 구성하는...
TAG 초등통합교과, 연구 동향, 동향 분석, 네트워크분석, Integrated Subjects, Research Trends, Trend Analysis, Key Word Network Analysis Method
교사수준 교육과정을 바라보는 저경력 교사의 관점과 이해
한민철 ( Minchul Han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9] 제13권 제3호, 127~147페이지(총21페이지)
7차 교육과정 이후 국가를 중심으로 한 ‘주어진 교육과정’에서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으로 교육과정의 지향점이 변화하면서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자율성이 증대했다. 교실 내에서 교사가 자기 나름대로 교육과정을 설계하여 운영하는 일련의 과정이 바로 교사수준 교육과정이다. 그러나 이에 대해 교사가 취할 수 있는 관점은 동일하지 않다. 이것은 교사가 교사수준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교육과정에 대해 지니고 있는 관점, 즉 교육과정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연구자는 교사가 견지할 수 있는 교육과정관에 대해 제시하고 이에 따라 교사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면담자료를 해석해 보았다. 그럼으로써 교사수준 교육과정에 대해 교사가 가져야 할 관점에 대한 방향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또한 교사의 교육과정관과 교육과정 리더십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교육과정관의 정방향에...
TAG 교사수준 교육과정, 교육과정관, 실체관, 간이관, 창조관, 교육과정 리더십, teacher-level curriculum, perspective of curriculum, fixed perspective of curriculum, intermediate perspective of curriculum, creative perspective of curriculum, curriculum leadership
LiD(Learning in Depth)프로그램의 학습자 포트폴리오에 대한 질적 분석 : 부산 N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박지원 ( Jiwon Bak ) , 황순영 ( Soonyoung Hwang ) , 김회용 ( Hoyyong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9] 제13권 제3호, 149~179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는 LiD(Learning in Depth)프로그램의 학습 결과물인 학습자 포트폴리오를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와 시행상의 한계를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LiD프로그램을 국내에 처음으로 도입하여 전교생을 대상으로 5년간 시행하고 있는 부산의 N초교 학습자의 LiD포트폴리오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프로그램이 의욕-정체-극복의 과정을 거쳐 장기화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주제와의 느슨한 연결성과 지루함에 대한 관용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수준과 탐구 가능성을 고려한 적절한 질문이 활동의 질을 좌우했으며 셋째, LiD프로그램이 이론적으로 강조하는 인지도구의 활용이 실제로 활동에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자들은 각자의 경험과 관심을 바탕으로 활동을 ...
TAG LiD(Learning in Depth), 상상력교육, 인지도구, Imaginative Education, Cognitive Tools
정규교실에서의 차별화 교수 시행 및 영재교육기관 간의 연계 방안
태진미 ( Jinmi Ta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9] 제13권 제3호, 181~203페이지(총23페이지)
우수한 잠재력을 타고난 다양한 유형의 영재들이 차별화 교수를 통해 정규교실에서 그 재능이 발견되고 적절한 교육을 통해 영재성을 발현할 수 있는 연계 시스템이 구축된다면 영재교육의 기회 확장 및 효과성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정규교실에서의 차별화 교수 시행 및 공식 영재교육기관 간의 효과적인 연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16명의 관련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신뢰할만한 견해를 제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패널을 관련분야 전문가들의 추천을 통해 섭외하였고 총3차에 걸쳐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차별화 교수 시행을 위한 준비로 학습자, 교수자, 교육과정, 교육환경 및 정책적 지원 측면에서의 요구 사항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둘째, 공식 영재교육기관의 판별 및 교육과의 효과적 연계를 위한 ...
TAG 영재교육, 정규교실, 차별화 교수, 영재교육기관, 델파이 조사, gifted education, regular classroom, differential instruction,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Delphi survey
브루너의 「교육의 과정」과 교육과정에 관한 인식론적 논의
박채형 ( Chaehyeong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9] 제13권 제3호, 205~228페이지(총24페이지)
브루너의 「교육의 과정」에는 중간 언어를 비롯하여 나선형 교육과정과 발견학습이 지식의 구조를 둘러싸고 등장한다. 그렇기는 해도 지식의 구조가 정확하게 무엇을 가리키는가는 분명하지 않으며, 중간 언어가 그것과 어떻게 결부되어 있는가도 명확하지 않다. 그리고 나선형 교육과정과 발견학습은 여러 가지 논란에 휩싸여 있다. 이 글에서는 그의 인식론적 논의가 처해있는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거기에 등장하는 그러한 인식론적 개념을 교과에 초점을 두고 입체적으로 조망하고 있다. 교과는 지식의 구조와 중간 언어가 원천과 표현의 관계로 맞붙어 있는 중층구조를 나타낸다는 것, 교과의 위층을 이루는 지식의 구조는 아래층에 위치하는 중간 언어에 의존하여 획득해야 할 마음이라는 것, 나선형 교육과정과 발견학습은 각각 바로 그 마음과 불가분의 관련을 유지하는 가운데 교과를 조직하...
TAG 교과, 지식의 구조, 중간 언어, 나선형 교육과정, 발견학습, 교사, school subjects, structure of knowledge, middle language, spiral curriculum, discovery learning, teacher
과학영재교육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일반교실에서의 차별화 교수 적용 방안에 관한 델파이 조사
태진미 ( Jinmi Ta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9] 제13권 제2호, 1~22페이지(총22페이지)
그동안 국내외 학계에서는 효과적인 영재성의 발현을 위해 영재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정규교실에서의 차별화 교수 적용 필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한편 국내 교육현장의 현실적 특성을 고려해 누가 어떤 학생을 대상으로 어떻게 차별화 교수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지에 대한 학문적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16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총3차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국내 교육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과학영재 대상 차별화 교수 적용의 방안 모색을 위해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과학영재 대상의 차별화 교수 실태와 적용 방안으로 범주화 하였다. 전문가들은 성공적 차별화 교수의 시행을 위해 차별화 교수의 필요성과 바람직한 적용 방식에 대한 기초연구, 학습자와 교수자, 학부모, 교육관계자들의 공감대 형성 및 교원의 교수역량 강화와 인프라 구축의 필...
TAG 차별화 교수, 과학영재, 영재성, 델파이 조사, 교실수업, Differentiated instruction, Students gifted in science, Giftedness, Delphi study, Classroom lessons
초학문적 융합(transdisciplinary) 패러다임의 수업 설계 원리 탐색
안지연 ( Jiyoun Ahn ) , 김영은 ( Youngeun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9] 제13권 제2호, 23~50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초학문적 융합의 개념과 특징에 대한 범학문적 논의를 분석하여 초학문적 융합 패러다임의 수업 설계 원리를 탐색하는 데에 있다. 초학문적 융합 패러다임에 관한 논의를 종합하면 실제 삶의 맥락/현실, 협업/협력, 융합/통합/연합, 탐구/연구, 지식생산, 실천/행동, 복잡성/복합성, 학생 중심/학생 주도, 장소성/맥락성, 불확실성, 의사소통, 시간성, 반성/순환 등의 개념이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이러한 초학문적 융합의 특징과 요소에 관한 논의 중에서 수업의 맥락에 부합하면서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5가지 원리를 선정하였다. 5가지 초학문적 융합 수업 설계 원리는 복잡성(Tangled), 실제 삶 맥락(Real-Life Context), 행동(Action), 지식 생산(kNowledge Production), 학생 중심(Student-...
TAG 초학문적 융합, 수업 설계 원리, transdisciplinary learning, curriculum design principles
미래직업 연계형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고등학교 특성화반 학생들의 진로 인식, 과학 흥미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임은경 ( Eunkyoung Lim ) , 유미현 ( Mihyun Yoo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9] 제13권 제2호, 51~77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직업 연계형 STEAM 프로그램이 일반계 고등학교 특성화반 학생들의 진로 인식, 과학 흥미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이 고교 교육과정을 마치고 바로 사회에 투입되는 특성화반 학생들의 진로 인식, 과학 흥미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고, 그들의 직업 역량을 배양하기 위한 교수학습 전략으로써 활용될 수 있는지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B고등학교 1학년 특성화반 27명이다. 본 연구자가 개발한 미래직업 연계형 STEAM 프로그램12차시를 적용하였으며, 진로 인식, 과학 흥미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직업 연계형 STEAM 프로그램 적용 후 특성화반 학생의 진로...
TAG 미래직업 연계형 STEAM 프로그램, 특성화반, 진로 인식, 과학 흥미도, 과학에 대한 태도, future career-related STEAM program, specialized class, career recognition, scientific interest, attitude toward scienc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