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70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초등과학 수업에서 절차적 사고과정을 활용한 학습 전략이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김현석 ( Hyunseok Kim ) , 최선영 ( Sun-young Choi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9] 제43권 제3호, 329~341페이지(총13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 수업에서 절차적 사고 과정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컴퓨팅적 사고와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에 대한 교수 전략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학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절차적 사고 과정을 이용한 수업 전략이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김포시에 있는 S 초등학교의 실험반(29 명)과 비교반(29 명)의 6학년 학생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과학 수업에서 절차적 사고과정의 수업전략을 활용한 실험반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은 비교반 학생들에 비해 높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실험반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에 있어서도 비교반 학생보다 높게 향상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p < .05).
TAG procedural thinking, elementary, science class, computational thinking, creative problem solving, 절차적사고, 초등, 과학수업, 컴퓨팅적 사고, 창의적 문제해결력
통합 의생명 과목 수업에서의 PBL 적용 사례 연구
박봉수 ( Bongsoo Park ) , 김현철 ( Hyeoncheol Kim ) , 조봉혜 ( Bonghye Cho ) , 박혜련 ( Haeryoun Park ) , 오희진 ( Heejin Oh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9] 제43권 제3호, 342~362페이지(총21페이지)
이 연구는 치과대학 및 치의학전문대학원에서 이루어지는 학부 단계 교육에 PBL 수업을 도입하기 위해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배경지식의 차이가 있는 학생들이 통합 의생명 학습을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PBL 모듈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학습의 결과 및 PBL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수자의 인식을 분석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P 대학교 학·석사 통합과정 1학년 12명이며, 튜터로는 치의학을 전공하고 PBL 수업 경험이 있는 교수 4인이 참여하였다. PBL 수업 결과학생들의 유전자와 및 형질 발현에 관한 개념 및 지식의 확장되었으며, 자기 주도적 학습자로서의 인식하고 협력 학습의 중요성을 경험하였다. 교수자들은 치의학 교육에서 PBL 수업의 교육적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치의학 교육에서 통합...
TAG school of dentistry, PBL, integrated medicine and lifescience, background knowledge, 치과대학, 치의학전문대학원, 문제중심학습, 통합의생명 과목, 배경 지식
기술의 본성(NOT) 개념 틀 제안 및 이공계 대학생들의 기술의 본성(NOT)에 대한 인식 탐구
백유진 ( Yujin Baek ) , 이영희 ( Young Hee Lee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9] 제43권 제3호, 363~381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는 이공계열 대학생들의 기술의 본성(NOT)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하여 기술의 본성(NOT)에 대한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기술의 본성(NOT)의 개념 틀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 이공계열 대학생 약 517명을 대상으로 기술의 본성(NOT)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기술의 본성(NOT)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서 제시된 통합적인 NOT개념 틀은 총 5가지 영역으로 1. 인공물로서의 기술(Technology as Artifacts), 2. 지식으로서의 기술(Technology as Knowledge), 3. 실행으로서의 기술 (Technology as Practice), 4. 역사로서의 기술(Technology as History), 그리...
TAG nature of technology(NOT), NOT framework, college students’ NOT, analysis of NOT, 기술의 본성(NOT), 기술 개념틀, 기술에 대한 인식, 이공계열 학생 인식
노인의 인지적 기능 향상을 위한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구
이동훈 ( Donghun Lee ) , 고호경 ( Ho Kyoung Ko ) , 허난 ( Nan Huh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9] 제43권 제3호, 382~399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는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해 태블릿 PC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평생교육의 한 일환으로 노인 교육으로서의 과학교육의 가능성 제고에 이바지 하고자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사례를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하여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색칠하기’, ‘빌딩 불 켜기’, ‘도형 맞추기’, ‘버튼 누르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9명의 연구 대상자에게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각 프로그램은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으로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TAG the elderly, cognitive functions, smart applications,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노인, 인지적 기능,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치매 예방 프로그램
중·고등학생의 의약품 안전 사용에 대한 지식·태도·행동 및 교육 요구 분석
오희진 ( Heejin Oh ) , 곽아림 ( Arim Kwak ) , 이민주 ( Minju Lee ) , 이은정 ( Eunjung Lee ) , 김지하 ( Jiha Kim ) , 이문수 ( Moon-soo Lee ) , 전영호 ( Young Ho Jeon ) , 김경임 ( Kyungim K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9] 제43권 제3호, 400~416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중·고등학생의 의약품 사용 현황과 의약품 안전사용에 대한 지식 ( Knowledge)·태도( At tit ude)·행동(Practice) 수준 및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여, 청소년 대상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의약품 사용 현황,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 수혜 경험과 교육에 대한 요구, 의약품 안전사용에 대한 지식·태도·행동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중·고등학생들의 최근 1년 이내 일반의약품 또는 전문의약품 복용 경험률은 각 92.0%와 57.5%로 높은 수준이었다. 중학교 입학 이후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34.0%였다. 의약품 ...
TAG medication use, education, adolescents, knowledge, attitudes, practices, needs, 의약품 안전사용 지식, 의약품 안전사용 태도, 의약품 안전사용 행동, 교육요구도, 중고등학생
고등학교 과학과 선수과목 이수에 대한 이공계열 대학생들의 인식 조사
이일 ( Il Lee ) , 곽영순 ( Youngsun Kwak ) , 조향숙 ( Hyangsuk Cho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9] 제43권 제2호, 195~206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이공계열 대학생들의 과학과 선수과목 이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고등학교 과학 교과의 선택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516명의 이공계열 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과 관련성 높은 고등학교 과학 과목에 대한 인식 및 관련 교과목 이수 실태, 학과 적응, 전공 공부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공계 대학생들은 9개 전공 계열 중 5개 계열에서 물리를, 3개 계열에서 화학을 자신의 전공과 관련성이 높은 과학 영역으로 지목하였다. 고등학교에서 전공과 관련성이 높은 과학Ⅰ, Ⅱ 과목을 모두 이수한 집단이 학과 만족, 해당 과목 이수 여부가 전공 공부에 미치는 영향 등에서 가장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Ⅱ 과목이 개설될 수 있는 여건 조성, IT와의 연계성 제...
TAG High school-university linkage, Prerequisite subject,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Selective curriculum, 고교-대학 연계, 선수과목, 이공계열, 선택중심 교육과정
대학 교양교과 온라인 융합과학 프로그램이 이공계열 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분석: 과학의 본성(NOS) 및 융합인재소양(STEAM Literacy) 중심으로
유지혜 ( Yu Jihye ) , 이영희 ( Young Hee Lee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9] 제43권 제2호, 207~226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의 융학과학 프로그램을 통한 이공계열 대학생들의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이해 및 융합인재소양(STEAM Literacy)에 대한 영향을 탐구하고자 수행 하였다.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 이공계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다학문적 접근의 융합과학 프로그램을 온라인 교과목으로 처치하고 프로그램 전후 4가지 영역의 과학의 본성(NOS) 관련 설문조사(Lee, 2013) 및 융합인재소양(STEAM Literacy) 검사(Choi et al. , 2013)를 수행하여 사전-사후 비교 분석을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과학 프로그램은 이공계열 대학생들의 과학의 본성(NOS) 이해에 효과적이었다(p < 0.01). 둘째,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이해에 이공계열 대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전공에 ...
TAG nature of science(NOS), STEAM Literacy, science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fusion science program, 융합과학 프로그램, 과학의 본성, 융합인재소양, 이공계열 대학생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
정은주 ( Eunju Jeong ) , 손정우 ( Jeongwoo So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9] 제43권 제2호, 227~238페이지(총12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에서 탐구활동과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소재 도시의 초등학생 고학년 26명을 대상으로 20차시의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탐구 문제를 선정한 후 디지털 탐구도구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탐구 과정을 수행하였다. 수업 후 인식 조사 설문과 면담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생들은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에서 ‘탐구 설계 및 수행’ 단계가 가장 유익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를 통해 과학적 능력과 협동심이 향상 되었고, 탐구문제 선정이 가장 어렵다고 인식 하였다. 셋째, 학생들은 협력적 문제해결력의 향상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는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협...
TAG data,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scientific inquiry,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digital inquiry instruments, 데이터,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 과학 탐구, 협력적 문제해결력, 디지털 탐구도구
교역지대 내에서 공유된 배움의 다양한 변주: 목공 학습 공동체 교사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영희 ( Young-hee Jung ) , 신세인 ( Sein Shin ) , 이준기 ( Jun-ki Lee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9] 제43권 제2호, 239~257페이지(총19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목공과학교육연구회’라는 교사연구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배경의 교사들의 모여 형성한 교역지대 내에서 이루어지는 배움의 공유와 이 배움이 교육현장에서 다양하게 변주되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목공과학교육연구회’에서 활동한 8인의 교사들과 심층 면담을 하며 자료를 수집하고, 근거이론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서 이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근거이론 모형에 따른 분석 결과 교사 연구회 실천의 인과적 조건은 ‘교역지대 진입의 다양한 맥락’이었고, 중심현상은 ‘교역지대에서의 배움’이었다. 맥락적 조건은 ‘경계물로서의 목공과 나만의 적용경험’으로 나타났고,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다양한 현장 속 실천 노력과 영향요인들’이었다. 중재적 조건은 ‘교육현장에서의 실천 노력’이었다. 결과적으로 패러다임 모형의 결과는 ‘교역지대에서 공유한 배움의 새...
TAG trading zone, boundary object, shared learning, learning community of teachers, 교역지대, 경계물, 공유된 배움, 교사연구회
STEAM 교육의 핵심역량 조사도구 개발
박현주 ( Hyunju Park ) , 심재호 ( Jaeho Sim ) , 김어진 ( Eojin Kim ) , 함형인 ( Hyungin Ham ) , 이영태 ( Youngtae Lee ) , 이지애 ( Ji-ae Lee ) , 권혁수 ( Hyuksoo Kwo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9] 제43권 제2호, 258~269페이지(총12페이지)
이 연구는 핵심역량의 관점에서 STEAM 교육의 효과를 조사할 수 있는 ‘STEAM 교육 핵심역량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STEAM 교육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전문가 협의회를 통한 반성적 재검토와 외부 전문가의 검증을 통하여 조사도구의 초안이 완성하였다. 개발된 조사도구는 학생 408명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고, 신뢰도 확인과 확인적 요인 분석과 같은 통계 분석을 통하여 최종 완성하였다. 최종 개발된 조사도구의 문항은 융합(7문항), 창의(11문항), 도전(5문항), 배려(9문항)의 총 3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요인별 Cronbach’s α 값은 .849에서 .929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조사도구는 STEAM 교육의 효과를 학생의 핵심역량 관점에서 조사하는데 활용될 수 있...
TAG STEAM education, key competency, instrument, student, STEAM교육, 핵심역량, 조사도구, 학생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