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276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Lab-scale 유동층 반응기에서 NOx 발생과 석탄 및 공기 공급과의 상관 관계에 대한 실험적 연구
전민규 ( Min-kyu Jeon ) , 최영곤 ( Young-kon Choi ) , 이정규 ( Chung-kyu Lee ) , 길상인 ( Sang-in Keel ) , 윤진한 ( Jin-han Yu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307(총1페이지)
화력 발전소에서 NO 및 NO2 배출은 의한 산성비 및 초미세먼지와 같은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지구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기로의 NOx 배출을 줄이기 위해 저NOx 연소, 순산소 연소, 초임계 CO2 발전사이클, 저온 SCR 등 혁신적인 친환경 연소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연소장 내 연료와 공기 공급, 공기/연료 비율에 의해 결정되는 연소 조건은 반응장 내 NOx 발생을 결정한다. 본 연구은 NOx 발생에 미치는 산소 및 연료 공급의 효과를 명확하게 밝히는 것이다. 첫째, 연소로 내 각 요소기술을 구분하여 NOx 발생에 미치는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정상상태 연소모드 중 석탄 공급, 1차 및 2차 공기, 공기/연료 비율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NOx 발생을 최소...
TAG 로내 탈질, 아산화질소, 순산소 연소, 순환 유동층
극한환경에서 서식하는 초호열균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처리에 대한 연구
권영준 ( Young-jun Kwon ) , 권준형 ( Jun-hyung Kwon ) , 전경재 ( Kyoung-jea Jun ) , 홍명하 ( Mueung-ha Hong ) , 山村正一 ( Masaaki Yamamura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308(총1페이지)
지구가 태양계의 일원으로서 탄생한 것은 45억년전이며, 지구가 형성된 후 초기의 생명체가 출현했을 때의 환경은 화산활동으로 인한 높은 온도 그리고 산소가 없는 대신 이산화탄소 및 암모니아 등으로 구성된 대기 등 현재 우리가 보는 생물체들이 도저히 생존할 수 없는 환경이었을 것이다. 현재에 이르러 원시 지구의 환경과 유사한 곳은 화산활동이 활발한 지역의 표면 혹은 심해저의 열수 분출공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극한환경에서 생육 가능한 생물을 극한생물이라고 한다. 이러한 극한생물은 고온, 고압, 고염의 환경에서 생육하거나 혹은 반대로 낮은 온도나 pH, 영양분 등의 비 일반적인 환경에서 생육하는 경우도 있다. 인간이 살아가는 환경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극한환경에 생육할 수 있는 생물체를 통칭하여 극한생물이라 한다. 이러한 극한생물에 대해 프랑스, 미국, 일...
TAG 극한환경, 초호열균, 유기성 폐기물, 호기성 발효, 퇴비화
혐기성 소화 부산물 사용으로 인한 미세조류 배양 비용 저감
천소정 ( So-jeong Cheon ) , 정상준 ( Sangjun Jung ) , 김현우 ( Hyun-woo Kim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309(총1페이지)
미세조류 활용산업은 폐수 처리 분야, 바이오 연료, 바이오 부산물 생산 등 응용처가 다양하여 유망한 기술임이 증명되었다. 그러나 현재 미세조류 활용기술은 종합적 경제성을 제고를 위한 R&D가 진행 중이며 아직 상용화는 어려운 실정이다. 미세조류 배양 시 소요비용이 가장 큰 부분은 성장에 필수적인 영양물질 투입비용이다. 혐기성 소화액을 미세조류 배지로 사용한다면, 영양물질의 농도가 높고 무기탄소를 다량 함유하여 매우 유망하지만 잠재적 유해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를 처리하는 실험실규모 혐기성소화조 유출액이 미세조류 배양을 위한 배지로 활용가능한지 그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사용된 미세조류는 Chlorella vulgaris였고, 다양한 희석배수(50배, 10배)의 소화액에서 온도와 빛을 25℃ 및 120 ㎛ol/m2...
TAG 미세조류 배양, 영양염류, 혐기성 소화, 소화액
다중 폐수원의 접종을 사용한 생화학적 메탄 잠재력(BMP test)
올티즈헤라르도 ( Gerardo Ortiz ) , 김현우 ( Hyun-woo Kim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310(총1페이지)
미세조류 활용산업은 폐수 처리 분야, 바이오 연료, 바이오 부산물 생산 등 응용처가 다양하여 유망한 기술임이 증명되었다. 그러나 현재 미세조류 활용기술은 종합적 경제성을 제고를 위한 R&D가 진행 중이며 아직 상용화는 어려운 실정이다. 미세조류 배양 시 소요비용이 가장 큰 부분은 성장에 필수적인 영양물질 투입비용이다. 혐기성 소화액을 미세조류 배지로 사용한다면, 영양물질의 농도가 높고 무기탄소를 다량 함유하여 매우 유망하지만 잠재적 유해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를 처리하는 실험실규모 혐기성소화조 유출액이 미세조류 배양을 위한 배지로 활용가능한지 그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사용된 미세조류는 Chlorella vulgaris였고, 다양한 희석배수(50배, 10배)의 소화액에서 온도와 빛을 25℃ 및 120 ㎛ol/m2...
TAG Renewable energy, Anaerobic digestion, BMP test, biogas, methane production
잔류의약물질 제거를 위한 생물막 반응조와 저온 플라즈마의 융합
오승빈 ( Sengbin Oh ) , 김정민 ( Jeong-min Kim ) , 안현민 ( Hyeon-min An ) , 김현우 ( Hyun-woo Kim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311(총1페이지)
인구의 증가, 산업의 발달, 축산업의 대규모화 진행에 따라 인간과 동물의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의약물질의 양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의약 물질은 부적절한 폐기, 병원 폐수 등을 통해 환경으로 유입된다. 잔류의약물질에 의한 생체 내 영향은 잘 알려져 있지 않고 노출된 의약 물질의 양이 매우 적을 수 있지만, 지속적인 노출은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의 출현, 내분비 교란 등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널리 활용되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는 잔류의약물질 처리에 한계를 보여 왔지만, 여전히 이러한 의약 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CP(Cold Plasma)와 MBR(Membrane Bioreactor)을 융합한 폐수 처리 공정을 제안하고 흔하게 사용되는 의약 물질(Diclofenac sodi...
TAG 저온 플라즈마, 생물막 반응조, 잔류 의약물질, 폐수처리
비소오염토양의 재활용을 위한 선광기술 연구
최준현 ( Junhuyn Choi ) , 김완태 ( Wantae Kim ) , 김상배 ( Sangbae Kim ) , 배인국 ( Inkook Bae ) , 서주범 ( Joobeom Seo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315(총1페이지)
인구의 증가, 산업의 발달, 축산업의 대규모화 진행에 따라 인간과 동물의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의약물질의 양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의약 물질은 부적절한 폐기, 병원 폐수 등을 통해 환경으로 유입된다. 잔류의약물질에 의한 생체 내 영향은 잘 알려져 있지 않고 노출된 의약 물질의 양이 매우 적을 수 있지만, 지속적인 노출은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의 출현, 내분비 교란 등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널리 활용되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는 잔류의약물질 처리에 한계를 보여 왔지만, 여전히 이러한 의약 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CP(Cold Plasma)와 MBR(Membrane Bioreactor)을 융합한 폐수 처리 공정을 제안하고 흔하게 사용되는 의약 물질(Diclofenac sodi...
TAG Arsenic removal, Recycling, Mineral processing techology
폐기물매립지 배출경로별 매립가스 배출특성 사례 연구
유재관 ( Jaikwan Ryou ) , 이영민 ( Young Min Lee ) , 이경호 ( Kyeong Ho Lee ) , 이정희 ( Jeong Hui Lee ) , 김대영 ( Dae Young Kim ) , 김문정 ( Moon Jeong Kim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316(총1페이지)
폐기물매립지에서 매립된 폐기물의 혐기성분해과정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는 주요 성분인 메탄(CH4), 이산화탄소(CO2)와 수분, 황화수소(H2S) 등의 미량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매립가스 중 메탄은 신재생에너지로서 활용가치가 높은 반면, 이산화탄소와 더불어 온실가스로서 관리해야 하는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매립가스 중 황화수소는 매립지 주요 악취물질로 적절한 매립가스 제어를 통한 매립장 환경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매립가스는 복토재료, 복토두께, 가스포집정 설치 형태, 기상조건, 매립된 폐기물의 종류 및 양 등의 인자에 의해 다양한 배출특성을 가진다. 매립장 환경관리 및 매립가스 자원화 사업을 위해 합리적인 매립가스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매립지 현장에서의...
TAG 매립가스, LFG, 배출경로, 배출특성, 매립지, 폐기물
바이오리액터 매립지에서 폐기물의 분해와 매립가스 생성의 상관관계
최용 ( Yong Choi ) , 이승희 ( Seung-whee Rh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317(총1페이지)
국내외에서는 폐기물 매립지로부터 매립가스 회수의 극대화와 조기 안정화를 위한 방안으로써 바이오리액터 매립공법의 개발과 적용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이에 바이오리액터 매립지의 설계 및 운영을 위하여 모형 매립조 또는 일부의 현장 연구가 수행되었고,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시간경과에 따른 매립가스의 발생량과 성상, 침출수의 성상 등을 검토하였다. 그러나 바이오리액터 매립지에서 조기 안정화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로써 매립폐기물의 분해정도에 대한 검토는 매우 중요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현장에서의 시료채취의 어려움, 불균일성 등의 한계로 인하여 매립폐기물의 분해정도에 대한 평가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고, 폐기물의 분해정도가 매립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토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현장 규모의 바이오리액터 매립지에서의 폐기물의 분해정도...
TAG 바이오리액터 매립지, 폐기물 분해정도, 매립가스
폐자원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의 안정화/고형화
이진주 ( Jin Ju Lee ) , 조우리 ( Woo Ri Cho ) , 센자야 ( Sharav Sainzaya ) , 김장영 ( Jang Yeong Kim ) , 이재영 ( Jai-young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318(총1페이지)
국내 휴·폐광산 및 산업시설의 주변 토양에서 비소 및 중금속의 오염상태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중금속의 동·식물 및 인체 등 생태계에 미치는 악영향이 알려지며 중금속으로 오염된 환경문제 및 오염복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안정화/고형화 공법적용을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단일 중금속을 대상으로 안정화제의 효율을 평가하는 실험이 주로 진행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으로 복합오염토양을 제조하여 중금속의 안정화 효율을 평가하고자 한다. 오염물질은 폐광산 및 산업단지에서 많이 발생될 수 있는 중금속인 비소(Arsenic), 납(Lead), 크롬(Chromium)으로 선정하였으며, 안정화제는 폐자원(달걀껍질, 동물뼈, 제강슬래그)을 사용하여 중금속의 안정화 효율 및 자원의 재...
TAG 폐자원, 중금속, 오염토양, 안정화
ICT 기반 깊이 가변형 더블팩커 장치 및 VOCs 모니터링 시스템 적용 방안
손봉호 ( Bongho Son ) , 박성민 ( Sungmin Park ) , 김대현 ( Deahyun Kim ) , 최희경 ( Heekyoung Choi ) , 전병훈 ( Byonghun Jeon ) , 김도현 ( Dohyeon Kim ) , 권주혁 ( Juhyeok Kwon ) , 김희만 ( Heeman Kim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319(총1페이지)
본 기술은 주입관정과 추출관정을 오염된 토양 심도에 맞추어 불균질하거나 세립토 내의 오염 물질을 선택적으로 제거 할 수 있고, 모니터링 결과를 IT기술과 결합한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기반의 시스템으로 원격 제어가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유류로 오염된 지중 오염물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VOCs센서를 이용하고 있다. 본 기술을 적용할 실증부지의 토양 내 주요 오염물질은 주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인 석유계총탄화수소(TPH, Total Petroleum Hydrocarbon, 최대농도 9,660mg/kg)와 BTEX(Benzene, Toluene, Ethylbenzene, Xylene; xylene 최대농도 ...
TAG ICT, VOCs, In-situ, Monitoring System, Variable Double Packer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