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190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Effect of Copper on Marine Microalga Tetraselmis suecica and its Influence on Intra- and Extracellular Iron and Zinc Content
( K. Suresh Kumar ) , ( Kyung-hoon Shin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7] 제50권 제1호, 16~28페이지(총13페이지)
TAG copper, growth, intra-extracellular, Tetraselmis suecica
남·북한강과 경안천 합류 수역 팔당호의 수질 변동성에 대한 기상·수문학적 영향
황순진 ( Hwang Soon-jin ) , 김건희 ( Keonhee Kim ) , 박채홍 ( Chaehong Park ) , 서완범 ( Wanbum Seo ) , 최봉근 ( Bong-geun Choi ) , 엄현수 ( Hyun Soo Eum ) , 박명환 ( Myung-hwan Park ) , 노혜란 ( Hye Ran Noh ) , 심연보 ( Yeon Bo Sim ) , 신재기 ( Jae-ki Shin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4호, 354~374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2012년 5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북한강과 남한강의 유입부를 포함하는 팔당호의 5개 지점에서 시공간적 수질 변동성을 강우·수문학과 비교 고찰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기초 수질요인들의 변동은 계절적 영향이 컸다. 특히, 수온성층은 수심이 깊은 댐 부근에서 형성되었고, 연도에 따라 빈산소 장기화도 관찰되었다. 질소 (N) 계열 영양염의 증가는 유량이 빈약할 때 나타났고, 이때 NH4는 하수 처리수의 영향을 크게 받아 NO3와 상반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인 (P)의 증가는 유량이 크거나 극심한 가뭄이 지속될 때이었고, P 영양염 결핍도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Chl-a의 증감은 유량 변동과 역상관 관계를 보였고, 그 값이 높을 때 AGP 값은 낮았다. 팔당호의 수질 변동성은 유역으로부터 하수 처리...
TAG water quality, variability, hydro-meteorology, P-free wastewater treatment, Paldang Reservoir
금강 중류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이해(2014~2015)
한사랑 ( Han Sa Rang ) , 조기철 ( Kichul Cho ) , 윤조희 ( Jo-hee Yoon ) , 이재정 ( Jay-jung Lee ) , 유순애 ( Soon-ae Yoo ) , 최인찬 ( In-chan Choi ) , 주현지 ( Hyun-ji Joo ) , 천세억 ( Se-uk Cheon ) , 임병진 ( Byung-jin Lim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4호, 375~384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2012년 5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북한강과 남한강의 유입부를 포함하는 팔당호의 5개 지점에서 시공간적 수질 변동성을 강우·수문학과 비교 고찰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기초 수질요인들의 변동은 계절적 영향이 컸다. 특히, 수온성층은 수심이 깊은 댐 부근에서 형성되었고, 연도에 따라 빈산소 장기화도 관찰되었다. 질소 (N) 계열 영양염의 증가는 유량이 빈약할 때 나타났고, 이때 NH4는 하수 처리수의 영향을 크게 받아 NO3와 상반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인 (P)의 증가는 유량이 크거나 극심한 가뭄이 지속될 때이었고, P 영양염 결핍도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Chl-a의 증감은 유량 변동과 역상관 관계를 보였고, 그 값이 높을 때 AGP 값은 낮았다. 팔당호의 수질 변동성은 유역으로부터 하수 처리...
TAG dominant species, Geum River, midstream, phytoplankton community
일본잎벌레(Galerucella nipponensis Laboissiere)의 분포와 먹이원 분석
최종윤 ( Choi Jong-yun ) , 김성기 ( Seong-ki Kim ) , 권용수 ( Yong-su Kwon ) , 김남신 ( Nam-sin Kim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4호, 334~342페이지(총9페이지)
국내 일본잎벌레의 분포와 생태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낙동강 중하류권에 위치한 38개의 습지 및 하천에서 일본잎벌레와 수생식물, 환경요인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지역 중 총 32개소에서 일본잎벌레의 출현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의 분포는 마름의 생물량에 영향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2.173, r2=0.013, p<0.05). 일본잎벌레의 공간분포뿐만 아니라 계절분포를 연구하기 위해 조사지역 중 개체수가 가장 많은 습지 (번개늪)를 선정하여 3년간 추가적인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일본잎벌레는 초봄(15~17℃, 4월)부터 성장하기 시작하여 여름철 (7~8월)에 최대성장에 이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알이나 유생 등은 성체와 달리 초봄 (4~5월)에만 주로 관찰되었다. 강우량은 일본잎벌레의 계절분포에 강하...
TAG Galerucella nipponensis, Trapa japonica, Rainfall, Stable isotope analysis
국내 주요 상수원지에서 독성 및 비독성 Microcystis의 분포 특성
이경락 ( Lee Kyung-lak ) , 신유나 ( Yuna Shin ) , 이재안 ( Jaean Lee ) , 이재관 ( Jae-kwan Lee ) , 김한순 ( Han Soon Kim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4호, 393~399페이지(총7페이지)
국내 주요 상수원지 (영천호, 안계호, 가창호)에서 분리한 6종의 Microcystis (M. aeruginosa, M. ichthyoblabe, M. flos-aquae, M. novacekii, M. viridis 및 M. wesenbergii)를 대상으로 microcystin 생성유전자 (mcy gene) 함유률 및 생성률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에서 M. aeruginosa는 80%(55개 균주)가 mcy gene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M. ichthyoblabe는 45% (10개 균주)의 함유율을 나타내었다. 그 외에 M. flos-aquae와 M. wesenbergii는 각각 11%(4개 균주)와 33% (1개 ...
TAG Microcystis, ELISA, mcy gene, microcystin
하천 탄소의 유출량과 생지화학적 특성
오능환 ( Oh Neung-hwan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4호, 245~257페이지(총13페이지)
하천이 차지하는 면적은 전체 육지 면적의 약 0.5%에 불과하지만, 하천수의 조성은 유역 환경의 생지화학적 변화를 집약적으로 반영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하천 탄소의 농도는 수질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고, 또한, 하천을 통해 바다로 유출되는 탄소량을 순 생태계 생산량 (NEP)에서 빼주지 않으면 생태계 내 저장될 수 있는 탄소량이 과다 산정될 수 있기 때문에 하천의 탄소 유출량을 정확히 추정하려는 연구가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하천을 통해 바다로 유출되는 총 탄소량은 약 0.8~1.5 Pg yr-1, 수체로부터 대기로 빠져나가는 양이 약 0.62~2.1 Pg yr-1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의 하천 탄소에 대한 연구는 주로 수질과 관련된 유기탄소에 집중된 편이며, 농도, δ13
TAG river, DIC, DOC, POC, carbon cycle
소옥천 하류(추소리)에서 녹조현상 경감기술의 현장 시험 적용 및 효과 비교
신재기 ( Shin Jae-ki ) , 김영성 ( Youngsung Kim ) , 노준우 ( Joonwoo Noh ) , 김종명 ( Jong-myung Kim ) , 황순진 ( Soon-jin Hwang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4호, 258~270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2014년 6월 27일부터 8월 24일까지 대청호의 소옥천 (추소리) 하류에서 녹조현상 경감기술을 시험하기 위하여 중점 수행되었다. 그리고 그 효과는 테스트베드 구간뿐만 아니라 조류경보제 관찰 지점의 주간 모니터링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테스트베드에서 녹조현상은 상류에서부터 시작하였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수문학적 요인에 의해 하류로 이송 및 확산되었다. 녹조 제거 장치의 시험 적용 동안, 조류를 제거한 총량은 33,920 kg이었고, 이것을 자연중력에 의해 탈수시킨 고형물은 8,480 kg이었다. 또한, Chlorophyll-a 함량은 2.83 kg이었고, 남조류의 세포수로 환산하면 78.6×1014 cells에 해당하였다. 조류경보제 관찰지점의 결과와 비교할 때, 대발생 수역에서 사전 집중제거는 녹조현상 완화의 가...
TAG Daecheong Reservoir, water-bloom, green-tide, algae removal, algae alert system, mitigation, mobile device technique
메소코즘을 이용한 지각류, 요각류 및 패충류의 섭식 성향 분 석;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비의 믹싱모델(R package SIAR)을 이용한 정량 분석
장광현 ( Chang Kwang-hyeon ) , 서동일 ( Dong-il Seo ) , 고순미 ( Soon-mi Go ) , ( Masaki Sakamoto ) , 남귀숙 ( Gui-sook Nam ) , 최종윤 ( Jong-yun Choi ) , 김민섭 ( Min-seob Kim ) , 정광석 ( Kwang-seok Jeong ) , 나긍환 ( Geung-hwan La ) , 김현우 ( Hyun-woo Kim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4호, 279~288페이지(총10페이지)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비를 이용한 먹이망 구조 해석 기법은 수생태계 연구에서 폭 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먹이원의 정량적 기여율을 분석하는 믹싱모델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Bayesian 모델을 이용한 믹싱모델의 적용이 가능한 통계 패키지 (R, SIAR package)의 사용방법을 제시하고, 사용 예로 저수지 및 메소코즘 배양조에서의 동물플랑크톤과 먹이원의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비를 이용한 섭식 성향 분석 방법 및 결과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저수지 및 대형하천 등에서 주로 우점하는 Daphnia galeata는 소형의 POM (< 50 μm)을 주로 섭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부영양화된 환경에서 녹조 발생시 먹이로의 활용이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 생태계 등에서 빈번히 출현하는 패충류의 경우 D. g...
TAG mixing model, food web, selective grazing, Simocephalus vetulus
물리적인 교란(여름 강우)에 대한 동물플랑크톤 서식처로서 수생식물의 중요성
최종윤 ( Choi Jong-yun ) , 김성기 ( Seong-ki Kim ) , 김동환 ( Dong-hwan Kim ) , 주기재 ( Gea-jae Joo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4호, 308~319페이지(총12페이지)
물리적인 교란 (강우 발생)에 대한 동물플랑크톤의 피난처로서 수생식물의 역할을 평가하기 위해, 경상남도에 위치한 17개 습지의 수변부와 개방수역에서 환경 요인, 수생식물, 동물플랑크톤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51종의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으며, Polyarthra sp. 및 Diaphanosoma brachyurum 등의 부유성 성향을 가진 종이 주로 우점하였다. 습지의 수변부에서는 털물참새피, 마름, 붕어마름 등 10종 정도의 수생식물이 출현하였으며, 습지에 따라 종조성이나 생체량 등이 상이하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개방수역에서는 수생식물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습지에서 개방수역보다 수변부에서 더 높은 동물플랑크톤 밀도가 관찰되었으며, 특히 1번, 8번, 9번, 10번, 11번, 16번 습지...
TAG summer rainfall, habitat heterogeneity, submerged plant, biodiversity
수생 지렁이를 이용한 생태 독성 평가 연구에 대한 고찰
강혜진 ( Kang Hye-jin ) , 배미정 ( Mi-jung Bae ) , 박영석 ( Young-seuk Park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4호, 343~353페이지(총11페이지)
물리적인 교란 (강우 발생)에 대한 동물플랑크톤의 피난처로서 수생식물의 역할을 평가하기 위해, 경상남도에 위치한 17개 습지의 수변부와 개방수역에서 환경 요인, 수생식물, 동물플랑크톤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51종의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으며, Polyarthra sp. 및 Diaphanosoma brachyurum 등의 부유성 성향을 가진 종이 주로 우점하였다. 습지의 수변부에서는 털물참새피, 마름, 붕어마름 등 10종 정도의 수생식물이 출현하였으며, 습지에 따라 종조성이나 생체량 등이 상이하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개방수역에서는 수생식물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습지에서 개방수역보다 수변부에서 더 높은 동물플랑크톤 밀도가 관찰되었으며, 특히 1번, 8번, 9번, 10번, 11번, 16번 습지...
TAG aquatic oligochaetes, ecotoxicology, biological respons, toxic chemicals, biological monitoring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