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120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철원 민간인통제지역 해제 이후 인공시설물 증가에 따른 두루미류 분포변화
유승화 ( Seunghwa Yoo ) , 주성배 ( Sungbae Joo ) , 이기섭 ( Kisup Lee ) , 김수호 ( Suho Kim ) , 김동원 ( Dongwon Kim ) , 김화정 ( Hwajung Kim ) , 김진한 ( Jinhan Kim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0] 제29권 제1호, 1~7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는 철원에서 민간인통제지역 해제 이후 시공된 인공시설물이 두루미류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연구 장소는 2012년에 민간인통제지역에서 해제되었고 2017년부터는 축사가 만들어진 장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두루미의 평균 서식 개체수는 민간인통제지역 해제 전(2009년-2012년)에는 9.3±4.3 개체 이었으며, 해제 이후 3.5±0.5 개체가 되어 1/3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재두루미는 민간인통제지역 해제 전과 후에 각각 63.3±24.6 개체, 6.0±6.0 개체로 조사되어 90% 가량이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민간인통제지역의 해제 이후 비닐하우스, 축사의 건립이 전반적으로 두루미의 서식개체수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두루미의 경우 축사가 건립된 지역으로부터 핵심지역이 멀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하지만 연구지역은...
TAG 멸종위기종, 환경영향평가, 생태영향, 서식이용 밀도, 인공구조물의 영향, Endangered Specie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cological Impact Assessment, Habitat Use Density, Influence of Anthropogenic Structure
시화산업단지 도로축적퇴적물의 입도분포 및 중금속 오염영향 평가
이지현 ( Jihyun Lee ) , 정혜령 ( Hyeryeong Jeong ) , 나공태 ( Kongtae Ra ) , 최진영 ( Jin Young Choi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0] 제29권 제1호, 8~25페이지(총18페이지)
산업화는 도로축적퇴적물(road-deposited sediment, RDS)의 발생과 중금속 오염을 증가시켰고, 이는 비점오염을 통해 주변 수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RDS의 오염과 입자 크기와의 관계는 오염관리를 위해 중요하나, 이에 대한 정보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화호 및 주변 하천의 주요한 비점오염원으로 판단되는 시화산업단지 내 25개 정점에서 수거된 RDS 시료의 입도에 따른 중금속 분포특성과 환경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농집지수(Igeo)는 RDS가 주로 Zn, Cu, Pb, Sb에 의해 오염되었음을 보여주었고, 이들의 농도범위는 Zn, Cu, Pb, Sb이 각각 633-3605, 130-1483, 120-1997, 5.5-50 mg/kg이었다. 이는 국내외 다른 도시...
TAG 도로축적퇴적물, 입도분포, 중금속, 시화산업단지, 비점오염, road-deposited sediments (RDS), grain-size distribution, heavy metals, non-point source pollution
기후변화 적응정책 관련 생태계 지식정보 수요와 활용도 증진 방향 - 생태계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및 적응대책을 중심으로 -
여인애 ( Inae Yeo ) , 홍승범 ( Seungbum Ho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0] 제29권 제1호, 26~43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생태계 적응 연구 및 지식현황을 진단하고, 국가의 기초생태정보가 생태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지식 및 근거기반으로 기능하는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생태계분야 기후변화 지식과 생태정보 발전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생태계 관련 국가기관 및 17개 광역지자체 출연연구원에서 생태계 분야 적응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를 대상으로, “생태계 분야 기후적응 지식기반 진단 및 정보수요”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기후변화 적응정책 수립 연구 수행을 위한 생태정보 활용현황, 생태계 분야 적응지식 향상을 위한 정보 수요, 생태정보 활용도 증진방안을 도출하였다. 설문응답자의 대다수(90.7%)는 생태정보가 적응 연구수행과 연관성이 크다고 응답하였지만, 현행 생태정보가 적응 연구 수...
TAG 생태계,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리스크 평가, 적응대책, 근거기반, 생태정보, Ecosystem, Climate change, Biodiversity, Risk assessment, Adaptation strategy, Evidence-base, Ecological information
Chlorophyll-a의 히스토그램 분석을 통한 녹조발생 우심지역 분류
이새로미 ( Saeromi Lee ) , 안창혁 ( Chang Hyuk Ahn ) , 박재로 ( Jae Roh Park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0] 제29권 제1호, 37~54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Chlorophyll-a (Chl-a)값을 빈도분석인 히스토그램(histogram)을 통해 녹조관리가 필요한 지점을 분류 하고자 하였다. 누적도수분포곡선(ogive curve)에 따라 지점별 녹조발생정도를 분석하였고, 히스토그램의 형태에 따라 관리지점을 3단계로 분류하였다. 4대강 중 한강에서 저농도의 Chla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금강과 영산강 지점에서 높은 농도의 Chl-a가 빈번하게 나타났다. 히스토그램의 패턴에 따라 녹조의 관리 정도를 분류 할 수 있었는데, 한강의 경우 집중관리가 필요한 지점이 나타나지 않았고, 금강과 영산강은 대부분의 지점에서 녹조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낙동강은 중류 및 하류 지점부터 녹조관리가 필요한 지점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빈도분석이 녹조발...
TAG 녹조, 히스토그램, 엽록소-a, 수질측정망, 녹조우심지역, Algal bloom, Histogram, Chlorophyll-a, Water quality measuring system, Algal apprehensive area
토지환경 및 자연생태환경을 고려한 환경영향평가 협의결정 개선방안
이종호 ( Jong Ho Lee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0] 제29권 제1호, 45~60페이지(총16페이지)
과거에는 대기오염, 수질오염, 폐기물 등이 환경영향평가에서 주요한 평가항목이었는데 최근에는 토지환경(토지이용, 지형), 자연생태환경(동·식물상, 자연환경자산), 사회·경제 환경 등이 주요한 평가항목으로 다뤄지고 있다. 2012년 이후 전략환경영향평가와 소규모환경영향평가의 협의결과를 보면, 90 %이상이 조건부동의였다. 그러나 환경영향평가의 협의결과는 2012년∼2016년 기간 거의 대부분(94.1 %) 동의였으나, 환경정책기조가 바뀌는 2017년 이후부터 대부분(87.4 %) 조건부동의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세 종류 환경영향평가의 부동의 비율이 2013년∼2016년 기간 0.3∼0.6 % 밖에 되지 않았는데, 2017년∼2019년 기간 1.3∼3.1 %로 급증하였다. 그 사이 협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만한 제도나 분석기법의 변화가 없었다면, 협의결과...
TAG 환경영향평가, 전략환경영향평가, 소규모환경영향평가, 부동의 협의, 토지이용, 자연생태환경,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SEA), Small scale EIA, Nonagreement Consultation, Land Use, Natural & Ecological Environment
낙동강수계 물환경측정망 자료를 이용한 비모수적 수질 경향 비교 및 분석
김정민 ( Jungmin Kim ) , 정현기 ( Hyungi Jeong ) , 김혜란 ( Hyeran Kim ) , 김용석 ( Yongseok Kim ) , 양득석 ( Deukseok Ya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0] 제29권 제1호, 61~77페이지(총17페이지)
현재 국내 주요 공공수역은 국가차원 아래 체계적인 물환경 관리가 되어왔고, 특히 하천, 호소 등 생태계의 실태파악 및 대응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가 이루어져 왔다. 그 중, 수질측정망은 수질측정 주기가 8일에서 한 달 주기로 조사되는 반면, 자동측정망의 경우, 실시간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일 데이터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측정망 자료를 활용하여 동일한 수질항목에 대해 추세변화를 분석하고 통계적 방법을 통해 비교하였다. Mann-kendall test 결과 Water Temperature (WT)와 DO는 모든 지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TOC에서는 4개 지점, TN은 2개 지점, TP는 3개지점, Water Temperature (WT)는 7개 지점, pH는 2개 지점, EC는 5개 지점, DO는 6개 지...
TAG 자동측정망, Mann-Kendall 분석, LOWESS 분석, 상관관계 분석, Automatic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Mann-Kendall test, LOWES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유량 조절과 인 부하 변동에 따른 강정고령보 조류저감 효과 수치 모의
박대연 ( Dae-yeon Park ) , 김성진 ( Sung-jin Kim ) , 박형석 ( Hyung-seok Park ) , 정세웅 ( Se-woong Chu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9] 제28권 제6호, 507~524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낙동강 내에 위치한 강정고령보 구간을 대상으로 EFDC 모델을 검정하고, 보 구간의 유량에 따른 체류시간과 유입수 인 농도 변화가 수질 및 조류 그룹별(규조류, 녹조류, 남조류) 생체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데 있다. 2018년 실험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을 검정한 결과, 보 구간의 수위와 수온의 수직 분포, DO, 유기물, 질소, 인 계열의 시계열 변화를 적절히 모의하였다. 조류 그룹별 생체량 예측에 있어서는 계절별 변동 특성은 적절히 재현하였으나, 일부기간에 실측값과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보의 관리수위와 유량을 조절하는 시나리오 모의결과, 보의 운영 수위를 낮출수록 유량을 증가시킬수록 수온성층이 완화 또는 해소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강정고령보에서 수온성층이 해소된 유속은 약 0.1 m/s였으며, 이는 금강의 백제보에서 연...
TAG 강정고령보, 낙동강, 인 부하, 유량 조절, 조류 제어, Gangjeong Goryong Weir, Nakdong River, Phosphate Loading, Algae Control
야생동물 이용빈도 및 종다양도를 활용한 생태통로 효율성 평가
우동걸 ( Donggul Woo ) , 서현진 ( Hyunjin Seo ) , 박태진 ( Taejin Park ) , 송의근 ( Euigeun Song ) , 김경민 ( Kyungmin Kim ) , 최태영 ( Taeyoung Choi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9] 제28권 제6호, 525~535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백두대간 등 주요 생태축에 위치한 생태통로 49개소를 대상으로 야생동물 일평균 이용빈도 지표와 주변 서식지와 출현종의 수를 비교한 종다양도 지표를 활용하여 생태통로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생태통로 일평균 이용빈도는 1.4회였으며, 평균을 상회하는 생태통로는 17개로 전체의 34.7%로 확인되었다. 주변 서식종의 수와 출현종의 수가 동일한 종다양도 1.0 이상인 생태통로는 18개로 전체의 36.7%으로 나타났다. 일평균 이용빈도와 종다양도 모두 양호한 생태통로는 10개로 전체의 20.4%로 분석되었다. 효율성이 양호한 생태통로 중 4개소의 생태통로 지침 준수율 등에 대한 현장조사 결과를 검토한 결과, 위치선정·규격·식재 및 토양·유도울타리 등에서 덕산재 육교형 생태통로의 지침 준수율이 가장 양호했다. 본 연구결과는 신규 ...
TAG 생태통로, 효율성 평가, 이용빈도 지수, 종다양도, Wildlife Crossing Structure, Effectiveness Assessment, Frequency Index, Diversity Index
부하지속곡선을 이용한 삽교천 유역의 오염총량관리제도 시행효과 분석
이은정 ( Eunjeong Lee ) , 김태근 ( Taegeun Kim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9] 제28권 제6호, 536~548페이지(총13페이지)
기타 수계 중 삽교천 유역에 새롭게 수립된 오염총량관리제도의 시행에 따른 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해 2015년을 기준으로 유역유출모형인 HSPF 모형을 구축한 후, 최종 목표연도인 2030년의 부하량을 입력하여 각 단위유역 말단에 설정된 목표수질 달성여부를 평가하였으며, 미시행지역인 무한천과 삽교천 유역을 포함하여 유량구간별 수질(BOD, T-P)을 예측하였다. 보정 및 검증이 완료된 모형에 2030년의 부하량을 입력하여 재구동한 후, 모의결과로부터 부하지속곡선을 작성함으로써 기준년도 부하량을 입력하여 구동한 모의 수질과 목표연도 부하량을 입력하여 모의한 예측 수질을 유량구간별로 도식화한 결과, 평수량 구간(40~60%)에서 3개의 단위유역 모두 BOD 목표수질에 근접하게 모의되었으며, 목표수질 달성율도 높게 산정되었다. T-P의 경우, 천안A 46%...
TAG 오염총량관리제, 유역모형, 부하지속곡선, Total Load Management System, Watershed model, Load Duration Curves
기능성 여재를 활용한 부영양화 영양물질 제거의 최적 운전조건 연구
이종준 ( Jong-jun Lee ) , 오종민 ( Jong-min Oh ) , 최승종 ( Seung-jong Choi ) , 김기중 ( Ki-jung Kim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9] 제28권 제6호, 549~555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기능성 여재를 활용하여 부영양화의 원인 물질인 인(P)과 질소(N)의 제거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최적의 운전 조건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기능성 여재의 주성분이 Si, Al, 및 Fe 이고, 석영(SiO2), 정장석(KAlSiO3O8), 할로이사이트(Al2O3 ·2SiO2), 카올린(H3Al2Si2O9), 자철석(Fe3O4), 버미큐라이트 등이 함유되어 있다. 여과공정의 최대 효율성을 파악하기 위해 흐름방식, 선속도, 여재...
TAG 기능성 여재, 부영양화, 인(P), 질소(N), 운전조건, Functional Media, Eutrophication, Phosphorus (P), Nitrogen (N), Operating Condition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