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896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식재밀도가 느티나무 조림목의 초기 생육에 미치는 영향
노남진 ( Nam Jin Noh ) , 권보람 ( Boram Kwon ) , 양아람 ( A-ram Yang ) , 조민석 ( Min Seok Cho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3호, 281~290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식재밀도가 느티나무 조림목의 초기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지는 경북 경산과 전북 순창이며, 2015년 3월 말 느티나무 노지묘(1-0)를 4처리 밀도(3천, 5천, 7천, 10천본 ha-1)로 식재하였다. 2019년까지 매년 9월에 조림목의 근원경과 수고를 측정하였고, H/D율과 수간 재적을 계산하였다. 모든 조사지에서 식재밀도가 증가할수록 근원경 및 수고 생장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간 재적은 10천본 ha-1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생존율과 H/D율은 식재밀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식재후 5년차에, 경산 지역에서의 근원경, 수고, 수간 재적은 순창 지역에서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입지 환경이 다른 두 조사지 모...
TAG early growth, planting density, planting practice, stem volume, Zelkova serrata
소나무와 굴참나무 임분의 시비에 따른 토양 CO2 방출 동태
백경원 ( Gyeongwon Baek ) , 김춘식 ( Choonsig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3호, 271~280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유사한 입지에서 생육한 소나무와 굴참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시비에 따른 토양 CO2 방출량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성숙한 소나무와 굴참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시비처리 전 캘리브레이션 기간(2015년 3월~2016년 2월)을 가진 후, 2016년 3월에 복합비료를 표면 시비하였다. 토양 CO2 방출량은 2015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2년 동안 매월측정하였다. 토양 CO2 방출량의 월별 변동은 굴참나무와 소나무 임분 모두 시비 전(2015~2016년)과 시비 후(2016~2017년) 유사하였다. 연평균 토양 CO2 방출량의 경우 소나무 임분의 시비구는 2015~2016년 1.620 μmol m-2 s
TAG carbon dioxide, fertilization, forest soil, greenhouse gas, soil property, soil respiration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 고사발생 특성 분석 및 위험지역 평가
김은숙 ( Eun-sook Kim ) , 이보라 ( Bora Lee ) , 김재범 ( Jaebeom Kim ) , 조낭현 ( Nanghyun Cho ) , 임종환 ( Jong-hwan L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3호, 259~270페이지(총12페이지)
최근 20년 동안 고온, 건조 등 이상기상 현상이 빈발해지면서 병해충으로 인한 피해가 아닌 생리적 스트레스로 인한 소나무 피해 사례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2014년도에는 울진 소광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내에 금강소나무(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의 집단고사가 발견되어 이에 대한 원인 구명과 산림관리방안 마련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2008~2015년 항공사진에서 발견된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 고사 피해 발생 지역의 지형 및 임분 특성을 파악하여 고사 발생의 영향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체 지역의 고사피해 발생 위험지역을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소나무 고사발생 지점 정보와 해발고도, 경사 등의 지형정보, 영급, 경급 등의 임분 정보 등 총 14개의 설명변수를 이용...
TAG pinus densiflora, climate change, dieback, machine learning, adaptation
백두대간 바람재일대 식생유형 및 천이경향
김지동 ( Ji-dong Kim ) , 이준우 ( Jun-woo Lee ) , 박병주 ( Byeong-joo Park ) , 이혜정 ( Hye Jung Lee ) , 이동혁 ( Dong-hyuk Lee ) , 허태임 ( Tae-im Heo ) , 변준기 ( Jun-gi Byeon ) , 안지홍 ( Ji Hong Ah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3호, 249~258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바람재일대의 산림생태계복원 이후 식생유형에 따른 천이경향에 대한 산림의 변화 상태를 분석하였다. 바람재일대의 식생유형 분류를 위해 2019년 5월부터 10월까지 식생조사법에 따라 총 81개소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식생유형분류체계는 소나무군락군으로 구분되었다. 군락단위에서 신갈나무군락, 소나무전형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군단위에서 떡갈나무전형소군, 버드나무소군, 신갈나무전형소군으로 구분되었다. 중요치 분석 결과, 식생단위 1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식생단위 2는 신갈나무, 떡갈나무, 식생단위 3은 소나무, 그리고 식생단위 4는 버드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천이계열에 따라 층위별 이입 종의 우점도 차이를 보였다. 식생유형분류체계를 바탕으로 천이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DCA)를 분석...
TAG phytosociology, succession, vegetation composition
거접법을 이용한 호두나무 유경접목
박효원 ( Hyo-won Park ) , 이욱 ( Uk Lee ) , 오성일 ( Sung-il Oh ) , 조용성 ( Yong-sung Jo ) , 김철우 ( Chul-woo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2호, 243~247페이지(총5페이지)
본 연구는 기존의 양접법(field grafting) 기반 유경접목법과 개선된 거접법(bench grafting) 기반 유경접목법의 묘목 활착률 및 각각 생산된 묘목의 등급(상ㆍ중ㆍ하품) 비율과 묘목 생산 시 단순 수익률을 비교·분석하여 효율적인 접목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2년 간 평균 접목활착률은 각각 기존 유경접목법 30.3%, 개선 유경접목법 77.1%로 나타나 개선방법의 묘목활착률이 2배 이상 높았다. 생산된 묘목 등급은 기존 유경접목법의 경우, 상ㆍ중ㆍ하품의 비율이 2:3:5, 개선 유경접목법은 3:4:3으로 나타나 개선방법의 ‘상품’ 및 ‘중품’ 묘목 비율이 20% 가량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투입비용 대비 판매수익으로 효율성을 계산한 결과, 기존 유경접목법 1.08, 개선 유경접목법 1.59로 개선방법의...
TAG Juglans sinensis, walnut tree, epicotyl grafting, bench grafting, field grafting, survival percent
산림여가활동 유형별 특성 및 활동선택에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영향 요인 분석
장윤선 ( Youn-sun Jang ) , 유리화 ( Rhee-hwa Yoo ) , 이정희 ( Jeong-hee Lee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2호, 231~242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국민 산림휴양ㆍ복지활동 실태조사(N=6,191)」 자료를 토대로 산림여가활동을 유형화하고 특성을 파악하였고, 산림여가활동 유형의 인구통계학적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방문목적을 기준으로 산림여가활동을 유형화한 결과, 4가지 유형(건강증진형, 교육학습형, 휴식ㆍ휴양형, 레포츠형)으로 분류되었다. 휴식ㆍ휴양형의 경우 참여자들은 다양한 계절에 방문하는 반면, 레포츠형의 경우, 여름에 주로 다양한 즐길거리를 고려하여 방문지를 선택한다는 점과 소요비용이 가장 높고 당일형/숙박형 활동일수가 가장 적다는 것이 특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산림여가활동 유형의 인구통계학적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령, 성별, 자녀유무, 가계소득이 유형별 산림여가활동을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 연령이 가장 큰 영향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TAG age, forest leisure activity, preference, type, visit purpose
삼각협력을 활용한 중앙아시아 산림부문 협력 전략
최은호 ( Eunho Choi ) , 임수정 ( Soojeong Lim ) , 김은희 ( Eunhee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2호, 223~230페이지(총8페이지)
우리나라의 ODA 사업 규모 확대와 다변화 전략에 따라 성장잠재력이 매우 큰 중앙아시아가 주목받고 있다. 또한 산림분야의 경우 우리나라의 성공적인 녹화경험에 관심을 표하며 협력을 요청하고 있다. 특히 중앙아시아가 직면한 환경이슈인 아랄해 고갈과 광범위한 황폐화의 해결은 지역협력이 전제되어야 하며 다자협력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기존 양자협력의 한계, 특히 남남협력의 한계를 신흥 공여국이나 다자협력기구가 참여하여 보완하면서 삼각협력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데, 삼각협력의 기본 개념을 적용하는 데 있어 중앙아시아는 매우 적합한 것으로 연구되었다. 우리나라는 신흥공여국인 카자흐스탄, 제2차 중점협력국인 우즈베키스탄과의 우호적인 파트너십을 활용하여 이들 국가와 함께 상호보완적인 지역협력이 가능하다. 기본적인 삼각협력의 개념을 재해석하여 중앙아시아 지역의 지역협력 ...
TAG central asia, forest, international cooperation, regional partnership strategy, triangular cooperation
최근 국유림경영계획에서 산림기능별 면적구분과 생태계서비스 개념의 반영에 관한 분석
고기연 ( Kiyeon Ko ) , 최재용 ( Jaeyong Choi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2호, 211~222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산림의 기능구분에서 시간에 따라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생태계서비스 개념이 현재 국유림 관리계획에서 고려되는 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료는 98개 국유림의 경영계획구의 현재와 직전 기간의 경영계획서를 활용하였다, 경영계획서상 전, 현차기의 경영계획구별 산림기능별 면적의 구성 비율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전차기, 현차기의 2개 그룹의 평균이 정규분포를 따르는지 우선 검정하였다. 그 결과, 정규분포를 따르면 모수적 t-검정, 그렇지 않은 경우 비모수적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정규분포를 따르는 것은 목재생산림 경우가 해당되고, 나머지 5가지 기능: 수원함양림, 산지재해방지림, 자연환경보전림, 산림휴양림, 생활환경보전림은 정규분포하지 않는다. t-검정 또는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
TAG forest functions, national forest management plan, ecosystem services
임분 안정성을 고려한 일본잎갈나무 임분밀도 관리의 적정 수준
박준형 ( Joon Hyung Park ) , 정상훈 ( Sang Hoon Chung ) , 김선희 ( Sun Hee Kim ) , 이상태 ( Sang Tae Lee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2호, 202~210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일본잎갈나무 임분의 안정성을 고려한 임분밀도 관리의 적정 수준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조사 표본점 259개소의 자료를 통해 임분밀도관리도를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상대수확량지수(Relative yield index: Ry)와 형상비(Height-to-diameter ratio: H/D)간의 관계 구명을 통해 임분밀도 관리의 적정 수준을 찾고자 하였다. 추정된 임분밀도관리도의 설명력(R2)은 0.600으로 나타났다. 상대수확량지수와 세장목의 출현비율의 관계 분석 결과, 일정 임분밀도 이상에 도달할 경우 세장목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해당 곡선에서의 상대수확량지수(Ry)의 임계값은 0.63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풍해, 설해와 같은 자연적인 피해를...
TAG thinning, full density curve, stand density management, H, D ratio
숲가꾸기를 위한 풀베기와 칡덩굴제거작업의 근골격계 부담 분석
이은재 ( Eunjai Lee ) , 백승안 ( Seung-an Baek ) , 조구현 ( Koo-hyun Cho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2호, 195~201페이지(총7페이지)
산림작업은 비정형화된 작업 환경(날씨, 지형)에서 신체의 반복적인 동작 등으로 인하여 근골격계 질환에 취약하다. 특히, 조림목의 원활한 생장을 위해 실행하는 풀베기와 칡덩굴제거 작업은 여전히 많은 인력이 투입되고 있으며, 이 작업자세에 대한 인간공학적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WAS (Ovako Working Posture Analysis System)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예초기를 이용한 풀베기 작업과 낫ㆍ손톱을 이용한 칡덩굴제거 작업의 신체부담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작업자세 위험도 지수(Postural risk index: PRI)를 통하여 산림작업의 위험 정도를 분석하였다. 풀베기와 칡덩굴제거 작업원에 대한 작업자세를 분석한 결과, 칡덩굴제거작업의 작업자세 위험성이 풀베기작업에 비해 통계적으로 더 높은 수준을 보였...
TAG forest operation, mosculoskeletal disorders, postural assessment, OWAS analysis, postural risk index, PRI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