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키틴키토산학회107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키토산이 첨가된 상어부산물 기반 조직 접착제의 제조 및 평가
김진 ( Jin Kim ) , 이창문 ( Chang-moon Lee ) , 이숙영 ( Sook Young Lee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2019] 제24권 제3호, 173~178페이지(총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상어 부산물 추출물을 이용한 SB-glue 접착제를 제조하여 의료용 접착제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항균성과 접착력을 향상 시킨 키토산이 첨가된 SB-glue (SB-Chi-glue)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접착력 평가 결과 소가죽과 돼지 귀 조직에서 SB-Chi-glue 접착제의 접착력이 SB-glue 보다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SB-glue와 SB-Chi-glue의 세포독성 평가 결과 세포 생존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세포이동성을 향상시켰다. 동물실험에서 조직 봉합과 재생능을 육안적으로 관찰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SB-glue와 SB-Chi-glue 접착제는 부작용을 가지지 않는 천연소재 조성의 접착제로 바이오 분야에 산업적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TAG Shark byproduct, Tissue adhesive, Chitosan, Wound, Glue
Cellulase 생산균주 단리 및 Bacillus subtilis PFB-1 유래 cellulase 특성 규명
김영수 ( Young Su Kim ) , 유상미 ( Sang-mi Yu ) , 박창수 ( Chang-su Park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2019] 제24권 제3호, 179~185페이지(총7페이지)
경상북도 경산시에 소재하는 삼림토양을 시료로 이용하여 cellulase를 생산하는 미생물 screening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Carboxymethylcellulose (CM-cellulose)를 기질로 첨가한 고체배지상에서 명확한 활성환을 형성하는 총 6종류의 cellulase 생산균주를 단리하였으며, 단리한 균주 유래16S rRNA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Bacillus subtilis 3종류, Bacillus sp. 2종류, 그리고, Bacillus amyloliquefaciens 1종류로 동정 되었다. 단리한 균주들을 액체배양하여 조효소액으로서 회수한 배양 상층액의 cellulase활성을 검토한 결과 가장 높은 cellulase 활성을 보인 1 균주를 선택하였다. 본 연구에서 단리한 균주는 ...
TAG Bacillus subtilis, Cellulase, Characterization, Environmental soil, Screening
마우스 귀 부종 동물모델에서 진피 추출물의 항염증 효능 평가
박수연 ( Soo Yeon Park ) , 한의정 ( Eui Jeong Han ) , 김민주 ( Min Ju Kim ) , 안창범 ( Chan-bum Ahn ) , 정경숙 ( Kyungsook Jung ) , 안긴내 ( Ginnae Ahn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2019] 제24권 제3호, 186~191페이지(총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TPA로 유도한 마우스 귀 부종 모델에서 CP로부터 제조한 물 추출물(WCP)의 항염증 활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WCP는 TPA로 유도된 마우스 귀 부종 모델에서 진피와 표피의 두께를 감소시켜, 전 염증성 cytokine인 IL-1β, IL-6 및 TNF-α의 발현을 감소시켰고, 마우스 귀 두께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뿐만 아니라, WCP는 귀 조직 내의 염증 단백질인 iNOS와 COX-2의 발현량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 터 WCP는 천연의 항염증 소재로서 그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TAG Citru unshiu Macrow peels, Anti-inflammatory activity, Mouse ear edema model
Ultraviolet B로 조사한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괭생이 모자반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보호 효과
김민주 ( Min Ju Kim ) , 한의정 ( Eui Jeong Han ) , 김현수 ( Hyun-soo Kim ) , 이경훈 ( Kyounghoon Lee ) , 안긴내 ( Ginnae Ahn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2019] 제24권 제3호, 192~198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괭생이 모자반으로부터 획득한 SHMC가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UVB 조사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해 보호 효과를 가지는 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SHMC는 UVB를 조사한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세포 내 ROS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세포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SHMC는 NFκB 및 apoptosis 신호전달경로 조절을 통해 apoptotic body 및 sub-G1 DNA 함량을 감소시켜 apoptosis를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SHMC가 UVB에 노출된 피부 질환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천연 유래 성분의 잠재적인 자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AG Sargassum horneri, Ultraviolet B, Oxidative stress, Keratinocytes
GABA 유산균 발효물에서의 항산화 활성
유승진 ( Seung Jin Yoo ) , 진종언 ( Jong-eon Chin ) , 오성훈 ( Sung Hoon Oh ) , 류민정 ( Min Jung Ryu ) , 황권택 ( Kwontack Hwang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2019] 제24권 제3호, 199~204페이지(총6페이지)
신경전달물질로 알려진 γ-aminobutyricacid(GABA)는 중풍과 치매 예방, 기억력 증진, 혈압강하작용, 우울증 완화 등에 효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성장 호르몬의 분비 조절, 통증완화 등 여러 생리작용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GABA유산균을 이용한 요구르트 발효물에서 항산화 기능성을 알아보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 대조군은 26.71%로 가장 낮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0.5% 첨가군은 50.56%, 1% 첨가군은 65.44%, 2% 첨가군의 라디칼소거능은 73.55%로 가장 높았고, GABA유산균 배양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았다.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는 대조군과 GABA유산균 배양 추출물 0.5, 1, 2% 첨가군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
TAG GABA, Lactic acid bacteria, Antioxidant, Functionality, Fermentation
진세노사이드 Rh4를 처리한 HaCaT 세포의 유전체 분석을 통한 면역반응 작용기전
이진희 ( Jin Hui Rhee ) , 김정민 ( Jung Min Kim ) , 방인석 ( In Seok Bang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2019] 제24권 제2호, 75~83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사람유래 피부각질세포인 HaCaT에 인삼(P. ginseng C. A. Meyer)의 배당체 진세노사이드 Rh4를 처리하여 진세노사이드 Rh4의 활성, 유전자 발현 양상, 그리고 작용기전 등을 확인하였다. 진세노사이드 Rh4의 처리로 HaCaT 세포의 독성 및 증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진세노사이드 Rh4를 처리한 HaCaT 세포의 microarray 분석에서 2배 이상 발현이 증가된 유전자들은 세포분열, DNA 수선, 세포주기, DNA 손상 자극에 대한 세포반응, GTPase 활성의 양성 조절, 그리고 면역반응 등의 작용기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배 이상 발현이 감소된 유전자들은 염증반응의 음성조절, 세포이동 조절, cAMP에 대한 세포반응, 그리고 오토파지 조절 등의 유전자들로 나타...
TAG DNA microarray, Ginsenoside Rh4, Immune response, HaCaT cells
Protective Effects of Polysaccharide fraction Extracted from Turmeric Leaveson Intestinal Epithelial Barrier integrity
( Sera Kim ) , ( Mijin Oh ) , ( Ho-young Park ) , ( Sang-keun Ha ) , ( Yong-gon Park ) , ( Sang-hoon Lee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2019] 제24권 제2호, 84~89페이지(총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사람유래 피부각질세포인 HaCaT에 인삼(P. ginseng C. A. Meyer)의 배당체 진세노사이드 Rh4를 처리하여 진세노사이드 Rh4의 활성, 유전자 발현 양상, 그리고 작용기전 등을 확인하였다. 진세노사이드 Rh4의 처리로 HaCaT 세포의 독성 및 증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진세노사이드 Rh4를 처리한 HaCaT 세포의 microarray 분석에서 2배 이상 발현이 증가된 유전자들은 세포분열, DNA 수선, 세포주기, DNA 손상 자극에 대한 세포반응, GTPase 활성의 양성 조절, 그리고 면역반응 등의 작용기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배 이상 발현이 감소된 유전자들은 염증반응의 음성조절, 세포이동 조절, cAMP에 대한 세포반응, 그리고 오토파지 조절 등의 유전자들로 나타...
TAG Intestinal epithelial barrier integrity, Prebiotic activity, Polysaccharide fraction, Tight junctions, Turmeric leaves
글루텐으로 자극한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참모자반 열수 추출물의 염증 및산화적 손상 억제 효과
신은지 ( Eun-ji Shin ) , 한의정 ( Eui Jeong Han ) , 김민주 ( Min Ju Kim ) , 정재규 ( Jaekyu Jung ) , 박준용 ( Junyoung Park ) , 안긴내 ( Ginnae Ahn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2019] 제24권 제2호, 90~98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SF로부터 제조한 열수 추출물이 피부각질 형성세포에 대한 항염증 활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글루텐으로 자극된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SFH는 세포 독성 없이 ROS 및 NO의 생성량 뿐만 아니라 PCR 실험을 통해 염증성 cytokine (IL-1b, IL-4, IL-5, IL-6, IL-8 및 IL-13)의 mRNA 발현을 억제하였고, 염증 관련 단백질의 발현 역시 감소시키는 것을 Western blot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SFH는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NF-κB와 MAPK 신호전달경로를 통하여 염증성 cytokine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활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SFH는 부작용을 가지지 않은 천연 소재로서 이용가치가 있는 것을 제시한다.
TAG Sargassum Fulvellum, Gluten, Anti-inflammation, Oxidative stress, HaCaT cells
비만세포 및 수동 피부 아나필락시스 동물모델에서 모로우 붉은실 추출물의 항알러지 효능
한의정 ( Eui Jeong Han ) , 신은지 ( Eun-ji Shin ) , 김민주 ( Min Ju Kim ) , 허수진 ( Soo-jin Heo ) , 김은아 ( Eun-a Kim ) , 안긴내 ( Ginnae Ahn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2019] 제24권 제2호, 99~104페이지(총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모로우 붉은실로부터 제조한 추출물(PHM) 이 비만세포에서 항알러지 활성을 가지는 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IgE/BSA로 활성화시킨 비만세포에서 PHM은 세포 독성 없이 비만세포의 탈과립 지표로 사용되는 β-hexosaminidase의 분비뿐만 아니라 알러지 유발성 사이토카인(IL-4, IL-6, IL-10 및 TNF-α)의 mRNA 발현을 억제하였다. 또한, PHM은 IgE가 매개한 수동 피부 아나필락시스 마우스 모델에서 효과적으로 알러지 반응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이 모든 결과로부터, PHM은 IgE가 매개한 알러지 반응에 대한 항알러지 효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는 PHM이 부작용을 가지지 않는 천연소재로 서 이용가치가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TAG Polysiphonia marrowii Harvey, Anti-allergic effect, BMCMCs, PCA mice model
Glycol chitosan과 Phycocyanin의 이온결합에 의한 미세입자 형성과singlet oxygen 생성 효과
김민아 ( Min Ah Kim ) , 김진 ( Jin Kim ) , 이창문 ( Chang-moon Lee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2019] 제24권 제2호, 105~109페이지(총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광역학치료를 위해 사용 가능한 C-phycocyanin (CPC)을 glycol chitosan(GC)과의 이온결합을 통해 미세입자 형태로 제조하였다. GC-CPC 미세입자의 평균입자 크기는 360.2 ± 4.1 nm였으며 구형의 형태를 보였다. DPBF 분석을 통해 레이저 조사 후 GC-CPC 미세입자는 일중항산소를 생성함을 알 수 있었고, 이온복합체 형성 후에도 광역학적 특징을 잃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GC-CPC 이온복합체는 CPC의 광역학적 특징을 유지하면서도 미세입자의 형태를 가짐으로써 광역학치료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AG Glycol chitosan, C-phycocyanin, Photodynamic therapy, Ionic complex, Microp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