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농림기상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71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한국형 SPAR(Soil-Plant-Atmosphere-Research) 시스템에서 대용량 관측 자료의 처리 및 품질관리
상완규 ( Wan-gyu Sang ) , 김준환 ( Jun-hwan Kim ) , 신평 ( Pyong Shin ) , 백재경 ( Jae-kyeong Baek ) , 서명철 ( Myung-chul Seo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20] 제22권 제4호, 340~345페이지(총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첨단 옥외환경조절시설인 SPAR 시스템의 작물 및 환경 관측 자료의 품질 관리와 보증방법을 최초로 제시하였다. 특히 실시간 군락 CO2플럭스의 경우에는 수집되는 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상치의 제거와 보정이 병행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자료 처리 방법들은 향후 SPAR 자료를 통한 작물 생육 모형 개선에 매우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PAR 내 작물과 환경 관련 10분 평균 자료는 국립식량과학원 내 작물 연구 통합 정보시스템(Crop Research Information System, CRIS) 웹사이트(www2.nics.go.kr/cris)에서 이용 가능하다.
TAG Quality control, CO2 flux, SPAR system
기상청 동네예보의 영농활용도 증진을 위한 방안: 복잡지형의 낮 기온 상세화 기법
윤은정 ( Eun-jeong Yun ) , 김수옥 ( Soo-ock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9] 제21권 제4호, 221~228페이지(총8페이지)
일출 이후부터 일몰 전까지 매시 간격으로 태양 일사로 인한 지표부근 기온상승 효과와 풍속이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고자, 동향사면과 서향사면 간 대표 기상관측지점에 대하여 매시 일사량 편차에 따른 관측기온의 편차(기온변화량)을 풍속별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일사편차 1 MJ/m2 당 기온변화량으로 일사효과를 표현하여 풍속과의 경험식을 구하고, 이것을 토대로 2018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농산촌의 복잡지형에 위치한 기상관측지점 25곳에 대해 주간(06:00∼19:00) 매시 기온을 추정한 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추정값과 관측값의 평균 ME는 -0.98∼0.67℃, 평균 RMSE는 0.95∼2.04℃ 나타났다. 오후 3시 기준의 한낮기온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기존 모형과 추정신뢰도를 대조하였는데, 기존 모형의 추정오차...
TAG Hourly temperature, Daytime temperature estimation, Solar radiation, Wind speed, Complex terrain
남한지역의 논 농업기후지대에 대한 기상자료 기반의 기준 증발산량 추정
정명표 ( Myung-pyo Jung ) , 허지나 ( Jina Hur ) , 심교문 ( Kyo-moon Shim ) , 김용석 ( Yongseok Kim ) , 강기경 ( Kee-kyung Kang ) , 최순군 ( Soon-kun Choi ) , 이병태 ( Byeong-tae Lee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9] 제21권 제4호, 229~237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1980년부터 2015년까지 논 농업기후지대에 대한 연 기준 증발산량(annual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ET0)을 추정하고 분석하였다. 기상청에서 수집한 61개 지점의 기상자료에 Penman-Monteith 방법을 적용하여 일별 기준 증발산량을 계산하였다. 1980년부터 2015년 동안의 연 기준 증발산량은 평균 1334.1±33.89 mm 이였으며, 해안 지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준 증발산량은 전체 지대에 대해서 약 2.81 mm/yr의 추세로 증가하였다. 하지만 변화율은 농업기후지대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중부지대와 동부 해안 지대에서 연 기준 증발산량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상관계수 분석에 의하면, 연 기준증발산...
TAG Agro-climatic zones, Penman-Monteith method,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우리나라 기준증발산량 추정을 위한 Hargreaves 공식의 계수 보정
황선아 ( Seon-ah Hwang ) , 한경화 ( Kyung-hwa Han ) , 장용선 ( Yong-seon Zhang ) , 조희래 ( Hee-rae Cho ) , 옥정훈 ( Jung-hun Ok ) , 김동진 ( Dong-jin Kim ) , 김기선 ( Gi-sun Kim ) , 정강호 ( Kang-ho Jung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9] 제21권 제4호, 238~249페이지(총12페이지)
기준증발산량은 기온, 풍속, 습도 등 기상요소를 바탕으로 추정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며, Hargreaves공식은 기온자료를 이용하여 기준증발산량을 산정할 수 있는 간단한 경험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Hargreaves 공식은 풍속이 3 m s-1 이상인 지역에서는 과소평가 되고, 상대습도가 높은 지역은 과대평가 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Hargreaves 공식을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위해 보다 정확한 기준증발산량 추정이 가능하도록 계수 산정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리나라 종관기상관측지점(ASOS,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의 최근 11 년(2008-2018) 동안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Panman-Monteith 공식으로 기준증발산량을 추정하였고, 이 값을...
TAG Evapotranspiration, Hargreaves equation, Penman-Monteith equation,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Modified coefficient
온도구배터널 내 상승온도에 의한 난지형 마늘(Allium sativum L.)의 광합성 및 생육 특성의 변화
오서영 ( Seo-young Oh ) , 문경환 ( Kyung Hwan Moon ) , 송은영 ( Eun Young Song ) , 신민지 ( Minji Shin ) , 고석찬 ( Seok Chan Koh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9] 제21권 제4호, 250~260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마늘을 온도구배터널에서 재배하면서 생육기간 동안 인편의 발아, 지상부 생육과 광합성 특성, 인경 발달 등을 조사함으로써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마늘 생육 전반에 미치는 기온상승의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터널 중앙부 온도(Tamb+3°C)와 후미부 온도(Tamb+6°C)는 입구의 대기온도(Tamb)를 기준으로 각각 3.2°C, 5.8°C가 높게 유지되었다. 인편의 발아는 터널 입구보다 중앙부와 후미부에서 더 늦었다. 그러나 추대기간과 개체당 최대 엽수에 도달하는 기간이 터널 입구에서 보다 중앙부와 후미부에서 짧게 나타났다. 지상부의 생장은 터널 입구에서 생육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높고 중앙부와 후미부에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인...
TAG Allium sativum L., Bulb development, Emergence, Photosynthetic rate, Temperature gradient tunnel system, Vegetative growth
기후변화 조건에서 콩 한발스트레스에 대한 광화학 반사 지수 반응 평가
상완규 ( Wan-gyu Sang ) , 김준환 ( Jun-hwan Kim ) , 신평 ( Pyeong Shin ) , 백재경 ( Jae-kyeong Baek ) , 이윤호 ( Yun-ho Lee ) , 조정일 ( Jung-il Cho ) , 서명철 ( Myung-chul Seo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9] 제21권 제4호, 261~268페이지(총8페이지)
한발 발생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작물의 생리생화학적 기작과 광합성능을 효율적으로 진단 및 평가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를 통해 광화학 반사 지수인 PRI가 콩의 한발 스트레스에 대하여 고온과 고CO2 등 미래 기후변화 환경에서도 유의미한 생육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RI와 대표적 한발 생육지표들(군락광이용효율, 건물중 변동율, 엽록소 형광, 기공전도도)과의 밀접한 관계를 통해 한발 스트레스 하에서 콩의 광합성 활성과 생장량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할수 있는 진단 모델 개발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다만 향후 고온, 고CO2 등 기후변화 조건에서 PRI의 성능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와 함께 민감도 향상을 위한 광학지표 개발 및 모델 개선 연구가 ...
TAG Climate change, Photochemical Reflection Index, Photosynthesis
한발 기간에 따른 콩의 생육 특성과 수량 분배 양상
이윤호 ( Yun-ho Lee ) , 상완규 ( Wan-gyu Sang ) , 조정일 ( Jung-il Cho ) , 서명철 ( Myung-chul Seo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9] 제21권 제4호, 269~276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콩 생육기간 중 한발 기간에 따른 생육 특성과 수량 구성요소 변화에 대한 연구 결과로서 대조구에 비하여 VS와 FS는 수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한발은 잎의 노화를 가속하여 LAI, 잎 질소 농도 및 잎 건물중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 품종과 한발 기간이 LAI, 잎 질소 농도 및 잎 건물중이 고도로 유의하였다. 최종 수확에서 전체 협수는 대조구에 비하여 VS와 FS가 각각 33.6%와 40.5%가 감소였고, 100립 중은 대조구에 비하여 VS 와 FS가 각각 16.1%와 10.1%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 종실 수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VS와 FS가 각각 39.8%와 45.1%가 감소하였다. 한발 기간에 따라 대원콩과 해원콩이 수량 감소 폭이 큰 반면에 소연콩은 크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한발 기간...
TAG Drought stress, Soybean, Pod number, 100 seed weight, Seed yield
미지형과 바람이 덕유산 가문비나무(Picea jezoensis)의 수관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아름 ( Ah Reum Han ) , 정종빈 ( Jong Bin Jung ) , 박필선 ( Pil Sun Park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9] 제21권 제4호, 277~285페이지(총9페이지)
아고산 지역에서 지형은 바람과 일사, 토양수분함량 등에 영향을 주며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아고산 지역에서 바람막이 지형이 가문비나무의 수관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서식지를 사면과 미지형에 따라 구분하고, 수고와 수관생장을 조사하였다. 아고산 지역의 가문비 나무는 서식지 내 바람의 영향과 미지형에 따라 수고 생장과 수관 생장이 다르게 나타났다. 바람맞이 사면에서 수고 생장과 수관생장률이 낮았고, 바람맞이 사면의 홀로 돋아져 바람과 같은 외부 환경에 노출된 미지형에서 자라는 나무는 바람의지 사면의 주변식생과 함께 자라는 나무보다 수관 생장이 절반 수준으로 낮았다. 바람의 영향이 강한 곳에서는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수관 생장이 억제되어 수관이 깃발형으로 발달하였다. 바람맞이 사면에서도 바람에 노출된 미지형 1 유형은 바람...
TAG Windward, Leeward, Crown growth, Subalpine conifer, Wind barrier
토양 및 기후정보 통합 최대저해인자법에 의한 복숭아와 포도의 적지 평가
김호정 ( Hojung Kim ) , 구경아 ( Kyung-ah Koo ) , 심교문 ( Kyo-moon Shim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9] 제21권 제4호, 286~296페이지(총11페이지)
본 논문에서는 남한지역을 대상으로 토양학적 그리고 기후학적 적지 기준을 통합하여 최대저해인자 방법으로 과수 2종(복숭아와 포도)에 대해서 재배적지를 구분하였다. 복숭아는 최적지 2.21%, 적지 19.21%, 가능지(저위생산지 포함) 12.07%, 부적지 66.52%로 구분되었고, 포도는 최적지 3.65%, 적지 17.98%, 가능지(저위생산지 포함) 11.85%, 부적지 66.52%로 구분되었다. 토양과 기후 조건의 통합에 의해 구분한 복숭아와 포도의 적지는 토양 조건만으로 구분한 적지와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토양 조건에 의한 구분한 적지(최적지 포함) 면적이 기후 조건에 의해 구분한 면적보다 적은 것으로 분석되어서 토양 조건이 적지구분의 저해인자로 확인되었다. 어떤 행정구역(도)에서 적지(최적지 포함)로 구분된 ...
TAG Land suitability assessment, Maximum limiting characteristic method, Peach, Grape, Soil and climate information
토양수분관측망을 활용한 토양수분의 실측값과 추정값 상관성 평가
옥정훈 ( Jung-hun Ok ) , 김동진 ( Dong-jin Kim ) , 한경화 ( Kyung-hwa Han ) , 정강호 ( Kang-ho Jung ) , 이경도 ( Kyung-do Lee ) , 장용선 ( Yong-seon Zhang ) , 조희래 ( Hee-rae Cho ) , 황선아 ( Seon-ah Hwang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9] 제21권 제4호, 297~306페이지(총10페이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토양수분 관리는 중요한 과제이며, 최적의 토양수분 함량을 예측할 수 있다면 대단위 토양수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장용수량 및 위조점의 실측값과 추정값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토양특성 인자와 토양수분 간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선정된 토양수분관측망 지점은 76 개이며, 모래함량이 높은 사토, 양질사토, 사양토가 77%를 차지하였으며, 유기물은 0.03∼3.50%, 용적밀도는 1.01∼1.69 Mg m-3 범위로 조사되었다. 포장용수량 및 위조점의 추정값은 실측값과 상관계수가 낮고 실측값보다 과소 평가되었으나 추정값과 실측값 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정의상관관계(p<0.01)가 나타났다. 토양수분(포장용수량 및 위조점)은 미사, 점토, 유기물과는 고도로 유의한 정의상관(p<0.01)이었으며, 모래와...
TAG Field capacity, Wilting point, Soil water, Predicting equation, Soil characteristic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