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연극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연극학76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한국 셰익스피어 르네상스 Part II (2012~2018)
이현우  한국연극학회, 한국연극학 [2019] 제72권 99~127페이지(총29페이지)
필자는 지난 2015년에 『한국 셰익스피어 르네상스』라는 저서를 통해 1990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에서 이루어진 433편(한국 극단의 셰익스피어 공연은 395편)의 셰익스피어 공연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소개한 바 있다. 그런데 한국의 셰익스피어 르네상스는 이 후에도 여전히 진행 중이다. 특히 2014년 셰익스피어 탄생 450주년과 2016년 셰익스피어 탄생 400주년은 국내의 셰익스피어 붐에 새로운 엔진을 장착해 준 셈이었다. 2012년부터 2018년까지 8년간 284편의 한국 셰익스피어 공연물이 제작되었다. 1990년부터 2011년까지 22년 동안 395편의 한국 셰익스피어 공연물이 제작된 것과 비교해 보면 가파른 증가세가 확연히 눈에 들어온다. 본고는 또 한 번의 도약을 이룬 2012년부터 2018년까지의 한국 셰익스피...
TAG 셰익스피어, 『한국 셰익스피어 르네상스』, 한국화, 실험적, 한류
이머시브 연극, 관객의 체험을 확장하기
전강희  한국연극학회, 한국연극학 [2019] 제72권 129~139페이지(총11페이지)
이머시브 연극이 의미하는 몰입은 기본적으로 공간 속 스토리에 몰입하기이다. 관객이 자신의 감각을 공간과 배우에게 집중시키면서 이야기에 몰입하게 되는데, 이때 일어나는 사적인 감각적 체험을 쌓아가면서, 자신만의 내러티브를 만들어 내는 것이 이머시브 연극의 특징이다. 이글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모티브를 가져온 ‘써드레일 프로젝트(Third Rail Projects)’의 < 덴 쉬 펠(Then She Fell) >, 셰익스피어의 <맥베스>를 재해석한 ‘펀치드렁크(Punchdrunk)’의 < 슬립 노 모어(Sleep No More) >, 『오즈의 마법사』에서 이야기를 가져온 ‘어컴플리스 더 쇼(Accomplice the Show)’의 < 어컴플리스 더 빌리지(Accomplice the Village) >, 미국 역사의 한부분을 배경은 삼고 있는 ‘링크트 댄...
TAG 이머시브 연극, 써드레일 프로젝트, 펀치드렁크, 링크트 댄스 씨어터, 어컴플리스 더 쇼
‘다중언어극’을 통한 감각 실험 - 성기웅 각색·연출의 <남쪽 나라로>
전영지  한국연극학회, 한국연극학 [2019] 제72권 141~154페이지(총14페이지)
본고는 일본 작가 히라타 오리자의 작품 <남쪽으로(南へ)>(1990)를 근 미래 한국인의 이야기로 재창작한 작품, <남쪽 나라로>(성기웅 각색 연출)의 ‘다중언어극’ 형식에 주목하여, 이 작품이 다양한 언어를 포함하는 다양한 질감의 소리를 활용하여 관객의 감각을 어떻게 자극하는지를 검토한다. 이 작품 속 다양한 소리들은 관객의 귀를 자극하며, 이를 통해 관객으로 하여금 ‘본다는 행위’를 의심하게 함으로써 시각이 인간의 인식탐구에서 가졌던 오랜 특권적 위치에서 물러날 때 타인과 세상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 어떻게 변화할 수 있을 것인가를 질문케 한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은 ‘감각 실험’을 통해 이주·난민의 문제를 전경화함으로써, 인종적·민족적 타자를 마주하는 문제는 바로 감각의 문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각을 인지과정에 가장 중요한 방식으로 놓고 ...
TAG 감각 실험, 난민, <남쪽 나라로>, 다중언어극, 성기웅
<천마도>와 <꿈 속의 꿈>에 나타난 설화의 희곡적 변용 연구
김미도 ( Kim Mido )  한국연극학회, 한국연극학 [2019] 제71권 5~32페이지(총28페이지)
『삼국사기』와 『삼국사기』에는 김유신과 관련된 기이한 설화들이 다수 전해진다. 이 논문에서는 김유신과 관련된 설화들이 희곡화된 대표적 작품들을 분석함으로써 설화를 창조적으로 재해석하고 재의미화하는 과정을 면밀히 규명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인 홍원기 작 <천마도>와 장성희 작 <꿈 속의 꿈>은 김유신 관련 설화 소재 희곡들로서는 공연의 성과가 매우 뛰어났던 작품들이다. 홍원기는 <천마도>를 통해 김유신이 천관녀에게 강력히 끌렸던 이유를 가야의 유민이라는 동족의식으로 규정한다. 그러나 신라의 진골 출신으로 가야 왕족의 후예와 결혼했던 유신의 어머니는 아들의 출세를 위해 아들 주변에 맴도는 가야의 인물들을 철저히 거세하고자 했다. 어머니의 뜻을 받든 유신의 결의는 습관적으로 천관녀의 집을 향해간 말 모가지를 베어버리는 상징적인 행위로 웅변된다. 홍원기는 김유신...
TAG <천마도>, <꿈 속의 꿈>, 『삼국사기』, 『삼국유사』, 설화, Heavenly Horse Painting, Dream within Dream, Samguksagi, Samgukyusa, Folktale
연출가 이해랑의 사실주의 연극 인식에 관한 일고찰
남지수 ( Nam Jisoo )  한국연극학회, 한국연극학 [2019] 제71권 33~63페이지(총31페이지)
한국 근대극 일백 년의 역사는 사실주의(realism)와 고군분투했던 시기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세기 초 일본을 통해 서구 사실주의를 유입했지만, 그것이 정확히 무엇인지 오랫동안 개념적 오해를 쌓아왔기 때문이다. 서양에서는 19세기 후반 인간의 유전적 측면과 환경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췄던 복제적 사실주의(facsimile realism)가 20세기로 접어들며 작품의 내적 리얼리티를 강조하는 심리적 사실주의(psychological realism)로 이어졌고, 1940년대 이후에는 등장인물의 주관적 환상과 꿈이 가미된 수정 사실주의(modified realism) 등으로 그 개념이 유연하게 진화해 가며 사실주의 담론을 확장시켜 갔던 반면, 1920년대부터 1950년대 초까지 대부분 일본을 통해 서양연극을 간접수용해 왔던 우리는 사실주의의 ...
TAG 사실주의, 이해랑, 근대 연극,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 수용, 행동선, realism, Lee Hae-rang, modern theatre, accepting Stanislavski system, blocking
연기의 근본―몸의 자연성
박재완 ( Park Jae Wan )  한국연극학회, 한국연극학 [2019] 제71권 65~113페이지(총49페이지)
인공지능을 부착한 기계가 배우를 대신하는 날이 올까? 휘몰아치는 4차 산업혁명의 강풍은 연기(acting)영역마저 집어삼키는 것은 혹 아닐지 심히 불안하다. 예전에 없던 두려움이다. 인간소외를 부추기는 이와 같은 생태계의 급변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이 물음은 다음의 역설(paradox)을 함축한다. 즉, 기계의 시대에 역설적이게도 인간은 인간자신에게 인간존재의 근원을 더 깊이 파헤치고 그 속에서 ‘인간만이 할 수 있는 것’을 해낼 것을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히 요구한다는 것이다. 이 요구 앞에서 필자는 묻는다. 인간성을 먹고 사는 연기가 인간의 존재론적 근본에 관심을 뒀던 적이 있었던가? 또 그 근본은 곧 연기의 근본이 됨을 확인한 적이 있었던가? 행여, ‘실재하는’ ‘나’란 존재야 이미 알고 있고 그래서 당연하다며 치부하고 ‘허구’인 ...
TAG ‘나’, 넛지, 의식의 외출, 몸의 자연성, ‘나’의 타자화, ‘I’, outside of consciousness, ‘nudge’, natural body, otherness of me
공동체의 소통도구로서 연극의 역할에 대한 연구 - 드라마 <자전거>를 응용한 대학 교양수업 모델 탐색
양세라 ( Yang Sei Ra )  한국연극학회, 한국연극학 [2019] 제71권 115~148페이지(총34페이지)
이 논문은 대표적인 우리주변의 공동체 사회인 대학에서 소통의 모델이자 매개형식으로 연극을 응용하여, 교양강좌를 운영한 사례를 토대로 한 연구과정을 근거로 기술했다. 이 연구를 실행한 동기는 사회로 진출하기 직전 상황에서 성장과 자기모색과 뒷걸음질 그 사이에 있는 대학생들의 현실에서 찾았다. 자기 역할을 확장하거나 성취하는 사회화 과정에서 연극은 자신의 삶을 실현하는데 중요한 동기와 계기를 부여해 주는 도구로 응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대학의 교양강좌에서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강생들이 연극을 사회화 모델 형식으로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은 수동적인 지위를 지닌 존재로서 관객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대화를 생산하는 존재여야 한다는 연극의 본질적인 인식을 공유하는 이 수업의 중요한 학습내용이자 목표다. 이 학습내용은 넓은 의미에서 연극의 ...
TAG 대학 공동체, 응용연극, 플레이백 씨어터, 소통도구로서 연극, 드라마 <자전거>, University Community, applied theatre, playback theater, Play as communication, Drama Bicycle
이주 작가, 와즈디 무아와드의 분신적 인물 양상 연구 - 작품 <연안지대>, <화염>을 중심으로
임재일 ( Lim Jaeil )  한국연극학회, 한국연극학 [2019] 제71권 149~173페이지(총25페이지)
레바논 출신의 퀘벡 연극인 와즈디 무아와드는 현재 프랑스 콜린 국립극장 예술 감독으로서 프랑스어권 연극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연출가이다. 그는 1975년에 발발한 레바논 내전으로 인해 가족과 함께 프랑스와 캐나다를 떠돌며 망명생활을 해야 했는데, 15년 동안 지속된 이 내전은 무아와드뿐만 아니라 모든 레바논인들에게 깊은 상처를 남겼다. 이러한 상흔은 <연안지대>(1999), <화염>(2003) 등 그의 주요 작품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무아와드는 윌프리드, 시몽 등 자신의 마음을 대변하는 분신과 같은 인물들을 통해 레바논으로의 기나긴 여정에 우리를 이끌고 있다. 윌프리드나 시몽 등은 무아와드와 마찬가지로 정치적 망명으로 인해 자신들과 그들의 가족이 고국에서 어떠한 삶을 살았는지에 대해 망각하고 있다. 이들은 부모의 죽음을 계기로 레바논에 발을 들여놓는데 ...
TAG 와즈디 무아와드, 이주 작가, 레바논 내전, 트라우마, 분신적 인물, Wajdi Mouawad, Immigrant Writer, Lebanese War, Trauma, Aspect of Alter ego
포스트소비에트(Post-Soviet)와 다큐멘터리 극장의 등장 - 극장 Doc의 ‘증언의 연극’을 중심으로
전정옥 ( Jun Jung Ok )  한국연극학회, 한국연극학 [2019] 제71권 175~229페이지(총55페이지)
소련연방 해체를 전후로 연극의 다양한 실험과 혁신의 과정에 몸담았던 극작가이자 연출가인 미하일 우가로프(М. Угаров)가 젊은 동시대 극작가들과 함께 발기한 다큐멘터리희곡극장(극장 Doc)은 소비에트의 종막과 함께 연극에 도래한 위기의식을 스스로의 문제로 끌어안으며 반상업적이고 독립적인 공동창작프로젝트를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이들은 모든 종교적이고 정치적인 시스템을 거부하며 탈연극적 연극을 선언하였으며, 다큐멘터리 연극의 한 양식으로서의 버바텀(Verbatim)을 창작 방법론으로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혼란기 포스트소비에트 사회에서 벌어진 상상할 수 없을 만큼의 충격적인 실제의 사건들을 무대로 차출해 연극이 사회에 이바지하는 새로운 방식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포스트소비에트 사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극장 Doc의 역사적 출범 상황을 확인하...
TAG 포스트소비에트, 다큐멘터리 연극, 버바텀, 극장 Doc, 증언의 연극, Post-Soviet, Documentary Theater, Verbatim Theater, The Play of Testimony, Theater doc
한일 합작 연극 <가모메カルメギ>의 한국 초연 회고와 일본 공연 보고
성기웅  한국연극학회, 한국연극학 [2019] 제71권 231~269페이지(총39페이지)
<가모메 カルメギ>는 안톤 체호프의 희곡 <갈매기>를 일제강점기 한반도 배경의 이야기로 번안하여 재창작한 한일 합작 연극이다. 성기웅이 대본을 썼고 일본인 연출가 타다 준노스케가 연출을 맡았으며, 한국과 일본 두 나라의 스태프와 배우들이 협업했다. 성기웅은 고증적, 재현적인 감각으로 원작 희곡 <갈매기>를 1930년 후반 황해도 연안 지역의 이야기로 치환하는 작업을 했고, 타다 준노스케는 그렇게 쓰인 대본을 공연적인 현재를 강조하는 ‘현전화(現前化)’의 연출 방법론으로 재구성하였다. 2013년 10월에 한국 서울의 두산아트센터 스페이스111에서 초연한 <가모메 カルメギ>는 동아연극상 3개 부문 수상을 하는 등 호평을 받은 한편으로, 일제강점기 역사를 다루는 관점과 해석과 관한 문제제기를 받기도 했다. 일본군이 되어 출병하는 조선 소년을 일본인 여자 ...
TAG <가모메>, <갈매기>, 성기웅, 타다 준노스케, 한일 합작연극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