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도시지리학회65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조선시대 한성부의 형성배경과 입지적 특성
이현군 ( Hyeon Goon Lee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05] 제8권 제1호, 29~39페이지(총11페이지)
한성부는 도시 형성 배경이 현재의 서울과 다르며 이 차이는 주요 시설물의 입지에 영향을 미쳤다. 한성부는 동아시아 도성 형성원리의 일반적 특성이 한양이라는 구체적 공간에 체현되는 과정에서 도시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주요 시설물의 위치는 성곽도시이며 왕조도시인 한성부에서의 의미와 기능에 따라 정해졌다. 한성부 주요 시설물의 입지 기준점이 된 것은 산과 하천(자연환경), 궁궐, 성곽이었으며 당시의 기능과 장소의 의미가 고려되었다. 동아시아 역사도시의 일반적 특성인 성곽 도시적 성격에 따라 도성 내부와 외부의 시설물 배치가 차별성을 보이며 왕조 도시적 성격에 외해 궁궐 중심의 배치가 이루어졌다. 도시구조는 도성 안팎의 분절적 통합 양상을 보이며 장소의 성격과 의미에 따라 한성부 지역 내에서 다층성과 위계성을 보인다. 앞으로 주례고공기와 함께 고려 개성부의 특징이...
TAG 역사도시(歷史都市), 한성부(漢城府), 도시구조(都市構造), 도성(都城), 입지(立地), historical city, Hansungbu, urban stricture, preindustrial capital-city, Location
옹호연합모형(ACF)을 활용한 정책변동 분석 -그린벨트정책을 중심으로-
양승일 ( Seung Il Yang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05] 제8권 제1호, 41~52페이지(총12페이지)
그린벨트는 1971년 지정된 이후 단 한번의 구역 재조정도 없었으나, 6.29 선언과 15대 대선을 거치면서 정책변동을 겪게 된다. 이러한 정책변동을 Sabatier의 옹호연합모형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정책하위체제에 영향을 주는 외적변수는 안정적인 변수에 도시화현실, 도시주변의 환경보존으로서 그린벨트, 권위주의적 정치 체제, 도시계획법 등이며, 역동적인 변수는 IMF 외환위기, 시민단체의 등장 및 성숙, 정권교체, 헌법재판소 그린벨트 헌법불합치 결정 등으로 나타난다. 이들은 그린벨트 정책하위체제에 제약 및 재원으로 작용하는데, 정책하위체제는 개발옹호연합, 보존옹호연합, 정책중개자로 구성된다. 특히 옹호연합은 자신들의 신념체계를 바탕으로 갈등구도를 형성하며 공청회 등의 정책지향적 학습을 불러온다. 이는 옹호연합의 신념체계를 수정하...
TAG 그린벨트, 정책변동, 옹호연합모형, Greenbelt, policy chang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세계지리 교과서에 나타난 도시의 빈도와 분포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손승호 ( Seung Ho Son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05] 제8권 제1호, 53~65페이지(총13페이지)
현대는 세계화의 흐름속에서 세계 각 지역에 대한 학습도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지역학습의 시작은 지명의 인지로부터 가능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세계의 지역학습과 관련하여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세계지리 교과서에 등장하는 세계 각 지역 도시의 총 등장빈도와 등장 도시 수, 그리고 그 분포를 분석하였다. 동북아시아 유럽연합·앵글로아메리카 등지의 도시는 빈도가 매우 높은 반면, 세계체제에서 핵심부에 자리하지 못한 서남아시아·동남아시아·아프리카·라틴아메리카 등지에 입지한 도시는 빈도가 낮게 형성되었다. 각 교과서별로 강조되는 도시가 상이하였지만. 전체적으로 세계도시 체계에서 최상위 그룹에 해당하는 뉴욕·런던·파리·도쿄 등지의 빈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각 교과서에 등장하는 주요 도시의 빈도가 큰 편차를 보였는데, 이는 일부 교과서에서 세계도시에 대...
TAG 세계지리, 교과서, 지명, 도시, 세계도시, world geography, textbook, place name, city, global city
개발제한구역 도시권역의 대기환경지표 산정에 관한 연구
김석철 ( Seog Cheol Kim ) , 변병설 ( Byung Seol Byun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05] 제8권 제1호, 67~81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대기질 환경영향을 기준으로 개발제한구역의 해제 혹은 조정의 적합성을 각 도시권별로 상호 비교할 수 있는 계량화된 평가지표를 산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주변의 개발제한구혁이 해제·조정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해당권역의 대기질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대기영향평가 방법을 모색하였다. 대기영향평가는 대기오염부하가 구체적으로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개발계획의 대기환경적 영향을 고려한다는 점에서 현재 일반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환경영향평가와는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제한구역 해제·조정 계획에 대한 환경영향을 평가하는 것으로, 각 도시권의 현재 대기질을 기준으로 그 지역에 허용할 수 있는 대기질 악화 한계를 설정한 후 이로부터 거꾸로 해당지역이 수용할 수 있는 오염물질 배출총량 혹은 오염부하증가를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각 도시권의 ...
TAG 대기환경지표, 환경용량, 개발제한구역, atmospheric environment index, environmental carrying capacity, Restricted Development Zone
서평 : 모던의 유혹, 모던의 눈물: 근대 한국을 거닐다 (노형석 지음, 생각의 나무, 서울, 2004년, 383쪽)
최원희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05] 제8권 제1호, 83~84페이지(총2페이지)
본 연구는 대기질 환경영향을 기준으로 개발제한구역의 해제 혹은 조정의 적합성을 각 도시권별로 상호 비교할 수 있는 계량화된 평가지표를 산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주변의 개발제한구혁이 해제·조정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해당권역의 대기질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대기영향평가 방법을 모색하였다. 대기영향평가는 대기오염부하가 구체적으로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개발계획의 대기환경적 영향을 고려한다는 점에서 현재 일반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환경영향평가와는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제한구역 해제·조정 계획에 대한 환경영향을 평가하는 것으로, 각 도시권의 현재 대기질을 기준으로 그 지역에 허용할 수 있는 대기질 악화 한계를 설정한 후 이로부터 거꾸로 해당지역이 수용할 수 있는 오염물질 배출총량 혹은 오염부하증가를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각 도시권의 ...
학회장 인사말
학회자료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05] 제8권 제1호, 1(총1페이지)
본 연구는 대기질 환경영향을 기준으로 개발제한구역의 해제 혹은 조정의 적합성을 각 도시권별로 상호 비교할 수 있는 계량화된 평가지표를 산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주변의 개발제한구혁이 해제·조정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해당권역의 대기질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대기영향평가 방법을 모색하였다. 대기영향평가는 대기오염부하가 구체적으로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개발계획의 대기환경적 영향을 고려한다는 점에서 현재 일반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환경영향평가와는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제한구역 해제·조정 계획에 대한 환경영향을 평가하는 것으로, 각 도시권의 현재 대기질을 기준으로 그 지역에 허용할 수 있는 대기질 악화 한계를 설정한 후 이로부터 거꾸로 해당지역이 수용할 수 있는 오염물질 배출총량 혹은 오염부하증가를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각 도시권의 ...
추도문 : 임길진 학장님을 추모함
주경식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05] 제8권 제1호, 3~4페이지(총2페이지)
본 연구는 대기질 환경영향을 기준으로 개발제한구역의 해제 혹은 조정의 적합성을 각 도시권별로 상호 비교할 수 있는 계량화된 평가지표를 산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주변의 개발제한구혁이 해제·조정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해당권역의 대기질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대기영향평가 방법을 모색하였다. 대기영향평가는 대기오염부하가 구체적으로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개발계획의 대기환경적 영향을 고려한다는 점에서 현재 일반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환경영향평가와는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제한구역 해제·조정 계획에 대한 환경영향을 평가하는 것으로, 각 도시권의 현재 대기질을 기준으로 그 지역에 허용할 수 있는 대기질 악화 한계를 설정한 후 이로부터 거꾸로 해당지역이 수용할 수 있는 오염물질 배출총량 혹은 오염부하증가를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각 도시권의 ...
수도권의 통행수단별 지역연결체계
남영우 ( Young Woo Nam ) , 한문희 ( Moon Hee Han ) , 우광석 ( Kwang Seok Woo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05] 제8권 제1호, 7~16페이지(총10페이지)
본고는 사람트립을 분석지표로 통행수단에 따른 수도권의 지역연결체계로 파악되는 지역구조의 파악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직접연결을 고려하는 원자료행렬과 직접연결과 간접연결까지 고려하는 인접행렬에 의한 통행수단별 연결체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원자료행렬과 인접행렬의 연결체계는 통행수단별로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즉 원자료행렬과 인접행렬에 의한 연결체계가 승용차통행에서는 각각 11개와 12개, 버스통행에서는 각각 17개와 12개, 지하철통행에서는 각각 3개와 1개, 그리고 총통행에서는 각각 13개와 9개로 추출되었다. 이러한 지역연결체계를 파악함에 있어 직접연결뿐만 아니라 간접연결까지 고려한 인접행렬에 의한 연결체계 분석이 직접연결법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AG 그래프이론, 원자료행렬, 인접행렬, 결절점, 결절류, 결절지역, graph theory, raw data matrix, adjacency matrix, node, nodal flow, nodal region
공업화시대와 세계화시대의 국토개발전략 변화: 신행정수도 건설과 관련하여
남영우 ( Young Woo Nam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04] 제7권 제2호, 1~13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정부가 수도권의 과밀화를 해소하고 지방도시의 육성을 도모하여 국가 및 국토균형발전을 이루겠다는 명분하에 추진되고 있는 수도이전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한 것이다. 한국경제의 고도성장을 견인해 온 지난 40년간의 국토개발전략은 성장거점전략에 기초한 집중투자로 지역격차가 발생하는 것은 필연이었다. 이 전략은 결과적으로 지역적 균열을 야기시켰고,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대두된 것이 공간통합정책이었다. 현재 한국 정부를 비롯한 개발도상국이 취하고 있는 공간통합은 등질공간화를 지향하는 공간통합인 것으로 간주된다. 세계화시대의 국토개발 패러다임은 균형적 공간의 지향으로부터 중층적 국토공간을 지향하는 정책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본고를 통하여 선진국에서 용도폐기된 등질적 공간보다 결절적 공간통함으로 전환할 것을 정부당국에 제안하였다.
TAG 신수도, 국토개발전략, 공업화시대, 세계화시대, 등질공간화, 결절공간화, spatial integration strategies, new capital relocation project, nodality, homogeneity, globalization, industrialization
기존 신행정수도 예정지역의 주변부 관리방안 및 주민이주대책 연구
최원회 ( Won Hoe Choi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04] 제7권 제2호, 15~29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공주-연기 일대의 기존 신행정수도 예정지역에서 신행정수도 건설이 재추진되거나 신행정 수도에 버금가는 대안도시가 건설될 것이라는 전제하에 기존 신행정수도 예정지역의 주변부 관리방안과 주민이 주대책에 대하여 그간 제시됐던 자료들을 중심으로 그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다음과 같은 대안을 제시했다. 첫째, 신행정수도 건설, 그 자체도 중요하지만, 신행정수도 예정지역의 주변부 관리와 주민이주대책 수립은 더욱 중요하다. 이러한 신행정수도 예정지역의 주변부 관리와 쿠민이주대책 수립은 신행정수도 건설 이전에 또는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신행정수도 예정지역의 주변부 관리와 주민이주대책의 수립에 실패하면, 신행정수도 건설, 자체가 난관에 봉착할 가능성이 있다. 둘째, 신행정수도 예정지역과 그 주변부의 상생적 발전을 위해서는 신행정수도를 건설하는...
TAG 기존 신행정수도 예정지역, 주변부 관리방안, 주민이주대책, 주민보상대책, previous new administration capital expected region, periphery management plan, inhabitants migration, compensation measures for inhabitants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