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54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휴대전화 메시지에 나타나는 한국어 모어 화자의 요청 화행 전략 양상
폴리롱 ( Polly Loong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8] 제41권 277~311페이지(총35페이지)
본고의 목적은 첫째, 휴대전화 메시지를 통해 한국어 모어 화자(이하 KS)의 요청 대화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요청 화행 전략의 사용 양상을 파악하는 데에 있다. 둘째, 실질적 언어 자료인 휴대전화 메시지가 KS에 관한 화행 연구와 한국어교육의 참고 자료로서 활용 가능한지를 검토하는 데에 있다. 우선 요청 화행 유형별로 비교하면 수집한 총 100개의 휴대전화 메시지에서 제안 상황과 부탁 상황의 빈도가 권유와 초대 상황에 비해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KS가 일상생활에서 주로 휴대전화 메시지로 식사 제안하거나 선행 약속을 취소하거나 변경하는 데에 사용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요청 화행 전략 분석 결과 KS가 가장 많이 사용한 주화행 전략은 제안하기 전략, 암시하기 전략, 요청 조건 확인하기 전략으로, 부가 전략의 경우 이모티콘, 관계...
TAG 요청 화행, 요청 화행 전략, 휴대전화 메시지, 한국어교육, request, request strategies, mobile instant messag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교과의 소통과 융합에서의 언어의 문제
김종철 ( Kim Jong-cheol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8] 제41권 313~341페이지(총29페이지)
교과의 소통과 융합은 상이한 지식과 그 언어 표상들의 만남이어서 이 교실은 필연적으로 다성(多聲)의 세계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교사와 학습자가 이 다성의 세계 속에서 소통과 융합의 목표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교과들 사이의 상호 전이(轉移) 가능성이 있는 정보를 지칭하는 언어적 표현 또는 기술(記述)로서의 소통어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 소통어를 매개로 교사와 학습자는 소통과 융합에 참여하는 교과들의 지식과 언어를 상호 번역하고 상호 전환할 수 있다. 이 상호 전환과 번역 과정에서 학습자는 복수의 교과 지식을 연결하거나 통합하는 새로운 인지 활동을 하게 되고, 그 인지 활동 과정을 표상하는 언어를 구사하게 된다. 그리고 이 때 학습자가 구사하는 용어는 소통과 융합의 대상 세계의 사물에 대한 정확한 지칭이나 소통과 융합으로 구축하는 지식을 추상적으로...
TAG 교과 소통, 교과 융합, 교실언어, 소통어, 근접 용어, Mutual Communication of Subjects, Convergence Education, Language in Classroom, Communication Terminology, Approximate Terminology
과학교과에서 본 국어교과와의 만남과 융합
이선경 ( Lee Sun-kyung ) , 김시정 ( Kim Si-jeong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8] 제41권 343~375페이지(총33페이지)
21세기 사회의 여러 문제는 과학, 기술, 문화, 환경, 정치, 경제 등 여러 영역과 긴밀히 연계되어 있어 고도의 복잡성과 맥락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과학교육은 미래 세대가 과학적 사고와 증거에 기반한 사고를 통해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과학 지식, 기능과 자신감을 증진시켜 점점 더 복잡해지는 과학기술의 세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 줄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과학교육이 접점을 모색해야 하는 중점 교과로서 국어교과를 인식하고 이를 좀 더 의미 있게 수행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과학교육과 국어교과와의 융합 양상을 ‘전통’과 ‘혁신’이라는 키워드로 대변하고 각각을 구체적 사례를 통해 확인하며,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과학교육과 국어교과와의 전통적인 만남은 과학글쓰기, 의사소통, 과학 논변 등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고...
TAG 과학교과, 국어교과, 융합, 융복합교육, 역량, 비판적 문해력, science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vergence, convergence education, competency, critical literacy
문학교육에서 장르 지식의 위상과 활용 방안-가사 장르를 중심으로-
고정희 ( Ko Jeong-hee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8] 제41권 377~415페이지(총39페이지)
이 글은 가사 장르에 주목하여, 문학교육에서 요구되는 장르 지식의 개념과 위상을 해명하고 ‘학습자의 문학 향유 능력’을 기르기 위해 장르 지식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장르는 언어사용의 반복적 패턴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기도 하지만, 텍스트가 독자에 대해 기대하는 바나, 텍스트에 대한 독자의 반응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장르 지식은 텍스트에 대해서 독자가 어떤 정서적 반응을 보여야 할 것인지, 그 텍스트를 읽는 동안 독자는 무엇을 경험하도록 기대되고 있는지를 알려준다. 가사에 대한 장르 지식은 학습자로 하여금 가사를 가사로서 경험하도록 안내할 수 있을 때 그 교육적 위상을 증명할 수 있다. 가사는 듣는 즐거움을 고려한 말하기 방식을 지닌 장르이다. 가사는 유한하고 바쁜 시간과, 우주적이고 영원한 시간이라는 모순된 시간 표현을 관습...
TAG 문학교육, 장르 지식, 가사 장르, 말하기 방식, 낭독, <면앙정가>, <관동별곡>, Literature education, Genre knowledge, Gasa genre, Speaking style, Reading aloud, Myunangjeong-ga, Gwandongbyulgok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지식 측정을 위한 문법성 판단 테스트 개발의 쟁점과 과제
김호정 ( Kim Ho-jung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8] 제41권 417~455페이지(총39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지식 측정을 위해 고안·사용되고 있는 문법성 판단 테스트(GJT) 개발의 쟁점과 과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旣) 개발된 한국어 문법성 판단 테스트 사례를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분석하고, 테스트 개발의 이론과 실제에 관련된 쟁점을 논의하였다. 문법성 판단 테스트는 학습자의 내재화된 문법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테스트 도구로서 제2언어 습득 연구에서도 널리 사용하는 연구 방법의 하나이다. 한국어문법교육 연구에서도 학습자의 문법 지식을 탐구하고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문법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작업의 일환으로 문법성 판단 테스트를 개발하고 활용해 왔다. 그러나 문법성 판단 테스트는 테스트의 목적 부합성과 신뢰도 및 타당도와 관련하여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시간 제약, 과...
TAG 한국어 학습자, 문법 지식, 문법 능력, 문법성 판단 테스트, 신뢰도, 타당도, Korean Learner, Grammar Knowledge, Grammar Competence,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Reliability, Validity
고전 속 도덕적 딜레마를 활용한 논술교육 연구 - 국어 교과와 도덕 교과의 통합의 한 방향 -
주재우 ( Joo Jaewoo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7] 제40권 219~252페이지(총34페이지)
이 연구는 고전에 담긴 도덕적 딜레마를 활용한 논술교육을 설계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논술이란 문제 해결의 글쓰기이며, 고전에는 인류가 지속적으로 품어 왔던 문제가 들어 있다. 그러한 문제 중에서 도덕적 딜레마를 택하여 논술교육을 계획하였다. 왜냐하면 도덕적 딜레마는 찬반 토론과 이를 통한 활발한 글쓰기 내용 생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도덕적 딜레마는 정답이 없고 결론에 이르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논술 글쓰기의 과제로 적합하다. 특히 도덕 교육에서는 도덕성 발달 정도를 진단하는 데 활용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실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소설 ‘죄와 벌’의 딜레마 상황을 해결하는 수집한 논술문 40편을 분석한 결과 가치 명제를 다루는 글쓰기의 논증 도식이 정책 명제를 다루는 도식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밝혔다. 정책 명제의 경우 정...
TAG 논술, 고전, 도덕적 딜레마, 교과 통합, 논증 도식, 도덕성 발달, Essay writing, Classic Works, Moral Dilemmas, Integrated Subjects, Argumentative schemes, Moral development
국어과 교육에서 플립러닝(거꾸로수업)의 실행 조건
최지현 ( Choi Ji Hyu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7] 제40권 253~281페이지(총29페이지)
이 연구는 대학 및 초중등학교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으며 현재는 주요 교수 학습 방법의 하나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플립러닝'의 실행 조건에 대해 재검토한 연구이다. 국내에서 플립러닝은 일반적으로 '거꾸로 수업'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존의 교실 중심 수업을 학습자의 사전 온라인 강의 수강과 수업 후 피드백으로 연결되는 학습자 중심 참여수업으로 바꾸는 방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플립러닝을 사용하는 교사들은 사전 수업을 위한 비디오 강의 준비와 개별 학습으로 인한 학습 격차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다고 보고하고 있기도 하다. 이 연구에서는 플립러닝에 대한 기존의 이론적, 실제적 논의들을 검토하면서 교육에 관한 전통적 관점이 플립러닝이 새롭게 정의하고 있는 '교육' 개념을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고 교육 플랫폼의 역할도 기술적인 측면으로만 제한하고 있다...
TAG 플립러닝, 거꾸로 수업, 사전 학습, 학습자 활동 중심 참여 수업, 사회적 접근, 상호학습 공간으로서 교실, 교육 기반, flipped learning, backward instruction, learner-centered class, pre-class, social approach, classroom as a mutual learning space, educational platform system
한국어 교육을 위한 주제와 초점의 이론적 고찰-‘은/는’과 ‘이/가’를 중심으로-
김경은 ( Kim Kyung-eun ) , 이선웅 ( Yi Seon-ung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7] 제40권 49~81페이지(총33페이지)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 주제와 초점의 발현 양상을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법연구에 적합한 형태로 이론화하는 데 있다. 그간 대부분의 주제와 초점에 대한 논의는 ‘은/는’과 ‘이/가’라는 형태의 의미기능을 고찰하는 해석론적 접근법을 바탕으로 진행되었으나 본고는 표현론적 접근법의 타당성을 근거로 주제와 초점의 표현 방식을 다대다 대응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본고의 논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는 기본적으로 화자가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대상이라는 점에서 기존 논의와 같으나, 통사구조상 주어로서 기능하는 절주제와 화자가 어떤 담화·화용 상황에서 특정하게 표현하는 정보구조상의 담화주제로 나누었다. 둘째, 주제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은/는’의 의미기능을 규정하는 것에만 한정하여 해석론적 접근법으로만 기술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 셋째, 본고의 초점은...
TAG 주제, 초점, 절주제, 담화주제, 대조주제, 결합관계 초점, 계열관계 초점, 은/는, 이/가, topic, focus, clausal topic, discourse topic, contrastive topic, syntagmatic focus, paradigmatic focus
소설과 과학, 그 융합 교육의 가능성
김지혜 ( Kim Ji- Hye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7] 제40권 189~217페이지(총29페이지)
본 논문은 과학적 담론들을 담고 있는 현대소설을 활용하여 문학과 과학의 융합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1세기는 근대사회에서 견고하게 분화되었던 각 영역들이 다시 통섭 및 융합을 꾀하는 시대로, 이러한 융합의 추세는 학교 교육 현장에서도 적극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시행을 앞두고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인문·사회·과학기술에 대한 기초 소양을 함양하여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 창조력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문학교육에서의 융합 교육에 대한 논의는 주로 과학소설을 통한 융합 교육 방안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Latour의 우회(detour)를 통한 번역(traduction) 이론, 현대소설에 나타난 과학 담론의 의미화를 바탕으로 과학소설의 범주를 넘어선 현대소...
TAG 소설과 과학, 융합 교육, 과학 담론, 과학소설, 창의·융합형 인재, novel and science, convergence education, scientific discourse, science fiction, creative convergence- type talent
단어 형성법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연구 - 유사 접사의 활용을 중심으로 -
구본관 ( Koo Bon-kwa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7] 제40권 1~47페이지(총47페이지)
이 논문은 한국어 어휘를 교육에 단어 형성법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 어휘의 특성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특수성을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한국어 어휘의 특성을 어휘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국어는 합성이나 파생과 같은 다양한 단어 형성법으로 만들어지며 이런 특성에 대한 이해는 외국인 학습자에게 한국어 어휘를 교수-학습하는 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때 한국어 단어 형성 규칙뿐만 아니라 규칙의 제약도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또한 한국어 어휘 교육의 대상이 외국인 학습자라는 점에서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와 한국어의 단어 형성법의 비교도 어휘 교육에 활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이 논문에서 특히 주목한 것은 유사 접사를 어휘 교육에 활용하는 것이었다. 본고에서는 이런 유사 접사는 ...
TAG 한국어 교육, 어휘 교육, 단어 형성법, 파생 접사, 유사 접사, 합성, 파생, 규칙,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education, word formation, affix, similar affix, compounding, derivation, rul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