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AND 간행물명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58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모바일 기반 한자어 교육에 대한 연구
이영희 ( Lee Young Hee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20] 제57권 119~139페이지(총21페이지)
TAG 모바일 기반 어휘 학습, Mobile Assisted Vocabulary Learning, MAVL, 모바일 학습 앱, Mobile Learning App, 한자어, Sino-Korean Vocabulary, 어휘 형성 원리, Principle of Word Formation, ARCS 동기 유발 모델, ARCS Motivation Model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육 원리 연구 -중국인 학습자들의 미디어 텍스트 반응 양상을 사례로-
장청원 ( Zhang Qingyuan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20] 제57권 141~174페이지(총34페이지)
TAG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 Critical Media Literacy, 문학작품, Literary Works, 윤동주의 시와 관련된 미디어 텍스트, Media Texts of Yoon Dong-Ju’s Poems, 윤리적 태도, Ethical Attitude, 한국어 교육, Korean Language Education
전래동화를 통한 다중문식성 기반의 문화간 의사소통학습
( Angela Lee-smith ) , ( Mijeong Kim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20] 제57권 175~217페이지(총43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언어 학습자들의 문식성 향상을 위한 한 방안으로서, 다중문식성과 표준 외국어 학습 목표를 교수법적 토대로 하여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화간 소통 학습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래동화는 그동안 본격적인 한국어문화 학습교재로서 널리 채택되어 오지는 않았으나, 효과적인 어문화학습 항목으로서 목표 문화적 산물이며, 학습자들에게는 목표어문화의 구성원들 간의 보편적인 문화적 현상과 사고의 관점을 접할 수 있게 한다. 이렇듯 전래동화를 어문화 학습자료로 활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은 언어학습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적 측면에 대해 알게 되고 비교와 분석, 해석, 감상과정을 통해 문화간 의사소통능력과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전래동화 텍스트를 단순한 읽기 자료로서 제시하는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다중문식성적 접근을 통해 비판적 사고 능력은 물론 상황...
TAG multiliteracies, 다중문식성, folktales, 전래동화, intercultural communication, 문화간 소통, standards, 표준외국어학습목표, curriculum, 교과과정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변인에 따른 한국어 학습 전략 분석 연구
( Saw Shin Ngwe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20] 제57권 219~250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언어 학습자들의 문식성 향상을 위한 한 방안으로서, 다중문식성과 표준 외국어 학습 목표를 교수법적 토대로 하여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화간 소통 학습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래동화는 그동안 본격적인 한국어문화 학습교재로서 널리 채택되어 오지는 않았으나, 효과적인 어문화학습 항목으로서 목표 문화적 산물이며, 학습자들에게는 목표어문화의 구성원들 간의 보편적인 문화적 현상과 사고의 관점을 접할 수 있게 한다. 이렇듯 전래동화를 어문화 학습자료로 활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은 언어학습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적 측면에 대해 알게 되고 비교와 분석, 해석, 감상과정을 통해 문화간 의사소통능력과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전래동화 텍스트를 단순한 읽기 자료로서 제시하는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다중문식성적 접근을 통해 비판적 사고 능력은 물론 상황...
TAG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 Myanmar Korean Learner, 한국어 학습전략, Korean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학습자 변인, Learner Variables, 언어 학습 전략 측정 도구, Strategies Inventory for Language Learning, SILL, 정량적인 조사 방법,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한국어교육 60년을 통해 본 한국어 학습자의 변천
강승혜 ( Kang, Seung Hae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20] 제56권 1~26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국내 한국어교육의 60년 역사 동안 한국어 학습자들의 변화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우선, 한국어 학습자들의 학습 목적의 측면에서 1950년대 말 이후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학습자 변인 즉, 학습자들의 지역, 성별, 연령, 숙달도 등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살펴본다. 끝으로 2016년 이후 한국어 학습자들의 특징 및 한국어교육의 향후 과제 등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1960년대 초-70년대 말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어만 아니라 한국 문화를 학습하는 데에 힘을 쏟으며 복음을 전하고자 했던 선교사들이 중심이 되었다. 그 이후 70년대를 지나 80년대 말까지는 전문직 혹은 언론 분야 직업의 일본인 학습자들과 같은 특수목적 학습자들이 주를 이루었다. 90년대 말 이후 한국...
TAG 한국어교육, 한국어 학습자, 학습 목적, 학습자 변천, 한국어교육 역사,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learners, learning purposes, changes of learners,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 교육용 어휘 선정을 위한 기초 연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어휘의 양적 분석을 중심으로-
김한근 ( Kim, Han-geun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20] 제56권 27~50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에 제시된 어휘 목록을 비교하여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 대상의 교육 어휘 선정을 위한 기초 연구를 목표로 한다. 학문 목적의 한국어 교재와 숙달도별 어휘에 대한 양적 분석 ​​결과 233 개의 어휘가“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목록과 일치하지 않고 해당 어휘를 숙달도별 주제로 재분류하였다. 그 결과 중급 어휘는 59개였으며 주제에 따라 '건강', '학교 생활', '컴퓨터 및 인터넷'과 관련된 어휘가 많이 포함되었다. 또한 고급 어휘는 174개였으며 주제별로는 '교육', '경제 및 관리'에 많은 어휘가 포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구축된 자료는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 대상의 교육용 어휘를 선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구축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AG 한국어교육,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어휘 선정,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양적 분석, Korean education, Korean for academic purpose, selecting educational vocabularies, academic purposes Korean textbooks, quantitative analysis
소리 내어 읽기와 묵독이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
김현진 ( Kim, Hyunjin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20] 제56권 51~78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초급 학습자들이 음독(oral reading)이나 묵독(silent reading)을 할 때 독해력(reading comprehension)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래서 사전 읽기 시험 평균이 동질한 음독 그룹 15명, 묵독 그룹 15명을 대상으로 이야기체 글 (narrative text) 3개를 읽게 하고 그 텍스트의 사실적 정보 이해 능력과 추론적 이해 능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사전 읽기 시험 결과와 음독 또는 묵독을 한 후 독해력 점수 차이가 유의미한지도 알아보았다. 먼저 사전 읽기 시험 결과와 음독 또는 묵독 후 결과가 음독 그룹이 50점 만점에 0.56점 높았고 묵독 그룹은 2.39점 낮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
TAG 소리 내어 읽기, 묵독, 독해력, 추론적 이해, 사실적 정보, oral reading, silent reading, reading comprehension, inference comprehension, literal information comprehension
예술 분야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교육용 어휘 선정 -미술계열 학습자 대상 학술적 글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남신혜 ( Nam, Sin-hye ) , 홍윤혜 ( Hong, Yun Hye ) , 신영지 ( Shin, Youngji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20] 제56권 79~104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미술계열 대학원의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학술적 글쓰기 수업에서 활용하기 위한 교육용 어휘를 선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어휘 선정은 말뭉치를 활용한 계량적 분석과 전문가 평정의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선정된 어휘 목록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선정 절차를 설계하였다. 그 결과 467개의 명사와 용언을 교육용 어휘로서 선정하였으며 이 어휘들을 각 영역 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어휘와 특정 영역에서만 특성화되어 나타나는 어휘들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선정된 어휘들은 미술계열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수업 계획과 수업 내용 설계에 이용되어 보다 전문적인 전공 글쓰기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AG 학문목적 한국어, 학술적 글쓰기, 어휘 선정, 미술계열 학습자, 말뭉치 분석, KAP: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cademic writing, vocabulary selection, students in Fine Arts, corpus analysis
확장 의미 단위(EUM) 기반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 탐구
동뢰 ( Dong Lei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20] 제56권 105~132페이지(총28페이지)
본고는 확장 의미 단위(EUM) 기반 한국어 어휘 교육의 효율성을 재확인하면서 효과적인 EUM 기반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한국어 실력이 중급 수준에 해당된 학생 28명을 연구 참여자로 택해 대조반과 실험반으로 나누어 한 학기 동안의 한국어 어휘 교육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조반에서는 교사의 교수와 사전이나 교과서에 의한 전통적인 교육법을 사용하는 반면 실험반에서는 EUM 기반 어휘 교육법으로 사용하였다. 사전과 사후 테스트 결과에 대한 분석 및 실험반 학습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다음 네 가지의 실험 결과를 얻었다. 첫째, EUM 기반 한국어 어휘 학습법은 한국어 실력이 고급뿐만 아니라 중급 수준의 학생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 둘째는 EUM 기반 한국어 어휘 교육법은 교사의 교수 및 사전이나...
TAG 어휘 교육, 확장된 의미 단위, 연접범주, 의미적 선호, 의미적 운율, vocabulary education, extended units of meaning, colligation, semantic preference, semantic prosody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설명적 텍스트 구조 표현 교육 연구
박소연 ( Park, So-yeon ) , 박금영 ( Bak, Geum-yeong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20] 제56권 134~174페이지(총41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 진학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명적 텍스트에 대한 읽기·쓰기 통합 교수-학습의 수업 모형과 도식화된 이미지를 활용한 효과적인 텍스트 쓰기 방안을 제안하고 그에 대한 실효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본고에서 진행한 설명적 텍스트 구조별 글쓰기 수업 모형이 학술적 글쓰기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제로 [사전 사후 평가]에서 학습자들의 텍스트 결과물을 바탕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와, 텍스트 평가의 세부 항목을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사전·사후 설문]을 비교한 결과, 학습자가 작성한 텍스트 구조별 표현이 사전에 비해 사후에서 점차 학술적 글쓰기에 적합한 형태로 변화하고, 오류도 상당 부분 감소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진행한 텍스트 구조별 글쓰기 ...
TAG 설명적 텍스트, 학술적 글쓰기, 읽기·쓰기 통합, 도식화된 이미지, 텍스트 구조 표현, descriptive text, academic writing, reading and writing integration, schematic images, text structure express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