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AND 간행물명 : 선사와 고대61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광주 곤지암리 유적 발굴조사 성과
이동성 , 김진영 , 김재은  한국고대학회, 선사와 고대 [2019] 제60권 167~181페이지(총15페이지)
한국 학계의 종족 고고학 연구현황과 과제
강봉원 ( Kang Bong-won )  한국고대학회, 선사와 고대 [2019] 제59권 5~43페이지(총39페이지)
본고에서 한국 학계 종족 고고학을 연구함에 있어서 ‘주민의 이주’와 ‘문화 전파’에 의한 설명에 반론을 제기하고 토착인들의 계기적인 진화와 발전에 초점을 맞추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한반도의 종족은 홍적세 이래 거주하고 있던 구석기인들이 중석기-신석기-청동기시대를 지나면서 독자적으로 형성 진화하였을 가능성이 높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과거 한국에는 ‘구석기시대’는 물론이고 ‘청동기시대’도 존재하지 않았으나 우리나라고고학의 성장과 발전에 의해 이제 이 학설들은 더 이상 수용되지 않는다. 현재까지 한반도에서 확인된 구석기시대 유적은 ‘1000’곳이 넘는다. 이렇게 많은 구석기 유적이 있었다는 것은 이미 한반도에 많은 구석기인들이 거주하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간 우리나라 신석기시대의 주민 구성을 논함에 있어서 ‘고 아시아족(Palaeo-Asiatics)’ ...
TAG 종족 고고학, 고 호모 사피엔스, Archaic Homo sapiens, 고 아시아족, Palaeo-Asiatics, 고조선, 예맥, 원시한족, 중석기시대, ethnicity in archaeology, Gojoseon, 古朝鮮, Yemaek, 濊貊, primitive Han(韓) ethnic group, Mesolithic
요서 지역 등대식양익형 청동 꺾창의 등장과 전개의 역사적 의미
이성재 ( Lee Seong-jai )  한국고대학회, 선사와 고대 [2019] 제59권 45~80페이지(총36페이지)
등대식양익형(약칭 양익형) 청동 꺾창은 등대·피홈·양익·짧은 슴베 등이 특징인 ‘ㅓ자형태의 독특한 요령 지역 토착 무기이다. 양익형 꺾창은 요서 지역에서 대략 서기전 4세기전반 초·중엽에 비파형동검문화의 전통을 계승하고 연의 호내식 꺾창의 영향을 받아 출현하여 서기전 3세기 초까지 사용되었으며 뒤에 연의 호내식에 오히려 영향을 주었다. 고대 중국의 전형적인 꺾창인 호내식은 전차 위에서 전차에 탑승한 적의 목을 베거나 자르는 데 편리하도록 고안된 무기이다. 이에 반하여 양익형은 예각인 착병 각도, 비교적 짧은 자루 길이, 등대의 존재를 통해 근접 전투 시 사용하기 위해 고안된 타격 병기임을 알 수 있다. 요서 지역의 동검은 길이가 짧아 자위적 성격이 강하고, 찌르는 창은 검보다 공격 범위가 넓고 살상력이 비교적 강하지만 방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TAG 꺾창, 청동 무기, 요서, 보병, 전쟁, 고조선, dagger-axe, bronze weapon, Liaoxi, infantry, war, Gojoseon
부여(夫餘)의 천하 중심의식 고찰(考察)
윤상열 ( Simon Yune )  한국고대학회, 선사와 고대 [2019] 제59권 81~104페이지(총24페이지)
고구려는 광개토왕릉비에도 보이듯이 천하관과 연계되는 일정한 중심의식이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고구려에 여러 방면으로 영향을 주었던 부여 역시 초기적인 중심의식을 갖추었으리라고 가정할 수 있다. 부여의 건국신화인 동명전승은 여러모로 해모수신화와 비슷한데 이는 양 신화가 공통적인 전승에서 갈라져 나와 각각 중국과 국내전승의 형태로 변형되었기 때문이다. 즉, 동명과 해모수는 같은 대상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점의 발생은 국내전승에서 중국 측 사료에 정착할 때 원래 신화의 신성성을 제거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므로 부여시조의 원래 신화 형태는 해모수 신화의 내용대로 하늘의 혈통을 받은 지상 최고의 중심존재를 형상화한 것이었다. 부여의 지배구조를 통해서는 강력한 왕권이 존재했고 비록 고조선처럼 분봉적 요소가 분명히 드러나지는 않지만 ‘사출도’의 예에서 보이듯이 지...
TAG 부여, 중심의식, 건국신화, 지배구조, 四出道, 天子, Buyeo, centrism, foundation myth, ruling system, Sachuldo, Chunja
세종시(世宗市) 백제(百濟) 운주산성(雲住山城)의 축조(築造)와 운용(運用)
정운용 ( Jung Woon-yong )  한국고대학회, 선사와 고대 [2019] 제59권 105~139페이지(총35페이지)
세종시를 포함하여, 세종시를 둘러싼 천안 목천이나 청주 문의 등은 土質이 좋은 곡창이다. 또 목천은 전근대사회에서 전략 자원이라 할 수 있는 鐵과 함께 牛馬가 많이 산출되던 곳이다. 그리고 조선시대 전의 지역의 토산으로 鐵을 언급하면서 鐵場이 있었다는 기록도 있다. 즉 전의 전동 지역은, 주변의 곡창과 함께, 철 소 말 등 생산과 군사 전략 자원이 풍부한 곳이었다. 아울러 전의 전동 지역은 공주 부여와 교통로 작전선 상에서 직접 연결되는 곳이다. 이러한 점이 운주산성의 입지와 축조 운용 문제를 검토할 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조선시대 여러 地理志를 검토한 결과, 조선 중기 신증동국여지승람 이 편찬될 당시 지금의 雲住山은 高山으로, 雲住山城은 高山山城으로 명명되었다. 그 후 18세기 후반의 여지도서 에서는 고산이 雲注山으로, 고산산성이 雲注山城으...
TAG 百濟, 雲注山, 雲住山, 金城山, 高山, 高山山城, 雲住山城, 全義·全東地域, Baekje, Unju Mountain, Geumseong Mountain, Go Mountain, Go Mountain Fortress, Unju Mountain Fortress, Jeonui ·Jeondong Area
초급중학교 중국역사 교과서(2016년 판)의 한국고대사 서술 내용과 특징 -구판(2014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양승훈 ( Yang Seung-hun ) , 박현숙 ( Park Hyun-sook )  한국고대학회, 선사와 고대 [2019] 제59권 141~169페이지(총29페이지)
중국의 역사교육은 문화대혁명 이후 기존의 계급투쟁 중심에서 벗어나 애국주의에 기초한 민족통합 기조 강화로 변화하였다. 이는 역사교과서에서의 자국사 중심 서술로 구현되었으며, 1990년대 통일적다민족국가론의 정립과 함께 더욱 체계화되었다. 동북공정 등 정부 주도의 역사공정은 외연 확장을 통한 자국사 중심의 역사 재해석의 정점이었고, 그 결과물은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었다. 2016년에 새로이 간행된 『의무교육교과서 중국역사』는 10년 만의 개정판으로서, 교과서 내용 역시 민족통합 논리와 자국사 중심 논리가 한층 구체적이고 체계화되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2014년 구판 교과서와의 비교 대조를 통해, 2016년 신판 교과서의 한국고대사관련 내용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신판 교과서는 정치사 위주의 편년식 서술에 스토리텔링 요소를 가미하여 여러...
TAG 중국역사 교과서, 통일적다민족국가론, 동북공정, 한국 고대사, 자국사 중심, Textbook Chinese History, Unificative Multiracial State, Northeast Asia Project, Korean Ancient History, The perspectives of China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발해사 서술 현황과 그 문제점
김종복 ( Kim Jong-bok )  한국고대학회, 선사와 고대 [2019] 제59권 171~193페이지(총23페이지)
현재 한국사학계에서는 당위로서의 남북국시대론과 현실로서의 통일신라론이 논쟁중이다. 물론 후자에서도 발해를 한국사의 일부로 인식하고 있지만 신라와 발해의 위상이 같지 않다고 보고 있다. 현행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들도 통일신라론에 의거하여 서술하고 있다. 그래서 통일 신라의 성립 이후에 발해의 건국과 발전을 배치함으로써 삼국에서 남북국으로의 전개 과정을 단절시키고 발해를 부수적인 존재로 드러내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발해사를 한국사로 인식하는 이상, 발해사를 한국사 속에서 부각시키는 구성 방식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현행 교과서들의 또다른 문제점은 통일 신라의 영역이 대동강~원산만이라고 규정한 것이다. 나당전쟁 직후 임진강에 그쳤던 신라의 서북 경계선이 대동강까지 진출할 수 있었던 것은 발해와 당의 충돌 때문이었지만, 이에 대한 서술이 없다. 또한 발해가 ...
TAG 남북국시대론, 통일신라론,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신라, 발해, the North-South States Period theory, the Unified Silla theory,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Silla, Balhae
『한국사』 교과서의 민족주의적 역사서술 분석 -고대사 부분의 서술내용을 중심으로-
정동준 ( Jeong Dong-jun )  한국고대학회, 선사와 고대 [2019] 제59권 195~220페이지(총26페이지)
이 글에서는 2009 교육과정에 의거한 2014년판 8종의 검인정 한국사 교과서를 검토하여 고대사 부분의 민족주의적 역사서술을 분석하였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8종 교과서 공통의 지적사항으로는 사실관계의 오류, 균형이 잡히지 않은 서술, 최신 성과의 누락 또는 미반영을 들 수 있었다. 사실관계의 오류로는 노비의 수공업 생산, 장보고의 사망연대, 균형이 잡히지 않은 서술로는 한민족의 형성, 백제의 역사 편찬, 발해 유민의 고려 귀부, 최신 성과의 누락 또는 미반영으로는 고대국가, 백제의 멸망 원인, 아프라시압벽화의 고구려 사신 등과 관련된 일련의 서술을 들 수 있었다. 이들 서술 중 상당수는 국정교과서 국사 의 서술을 그대로 계승한 것이라고 할 수 있었고, 일부는 심지어 국정교과서 국사 보다 후퇴한 측면도 보였다. 민족주의적 서술로는 단일민족...
TAG 한국사, 교과서, 고대사, 민족주의, 역사서술, 검인정 제도, Korean History, Textbook, Ancient History, Nationalism, Historical Narrative, Government-approval System
『만주원류고(滿洲源流考)』 와 건륭제
홍성구 ( Hong Sung-ku )  한국고대학회, 선사와 고대 [2018] 제58권 5~29페이지(총25페이지)
본고는 『滿洲源流考』의 편찬자가 만주 정체성 확립이라는 편찬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사료를 어떻게 해석하고 논증하였는가를 살펴 본 논문이다. 『만주원류고』는 중국의 역대 史書에서 숙신 부여 삼한 읍루 물길 백제 신라 말갈 발해 완안 건주에 관한 기사를 뽑아 내어 편찬 목적에 맞게 가공하여 인용하고, 거기에서 지리적 문화(풍속)적 공통성, 문명적 우수성, 음운학적 유사성 등을 추출하여 그것에 근거하여 사료를 해석하고 역사계승관계를 논증하였다. 특히 음운학적 유사성에 근거한 논증은 만주원류고 에서 사용한 가장 두드러진 논증 방식이었다. 이러한 논증 방식은 오랜 역사를 가진 중국의 韻學 전통을 계승한 것이고, 특히 고증학이 발전한 청대 학술의 특징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건륭제는 만주원류고 뿐만 아니라 다른 역사 편찬, 특히 요 금 원 등 유목적 전통을 ...
TAG 만주원류고, 만주 정체성, 청조 통치권의 정통성과 합법성, 고증학, 음운학, Researches on Manchu Origins(Manzhouyuanliukao), Manchu Identity, The legitimacy of the Qing Dynasty, Evidential Scholarship of Eighteenth Century China, Historical Chinese Phonology
『만주원류고(滿洲源流考)』의 전거자료와 발해 강역에 대한 서술태도
김진광 ( Kim Jin-kwang )  한국고대학회, 선사와 고대 [2018] 제58권 31~69페이지(총39페이지)
본고는 만주원류고(滿洲源流考) 에 담긴 전거자료를 분석하고 그 서술태도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만주원류고』의 편찬 배경과 인용 사료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발해 강역 및 지리 서술의 특징을 검토하여 만주원류고 의 사료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총 20권으로 구성된 『만주원류고』는 만주족(滿洲族)을 벼리로 삼아 그 역사의 유구함과 찬란함을 고증한 책으로, 79종의 사료를 인용하여 글의 대강(大綱)을 형성하였고, 약 1,800여개의 주석을 활용하여 본문의 중요 내용을 고증하였으며, 각 권의 중간 또는 끝에 50여 개의 사론을 붙여 그 내용을 정리하였다. 만주원류고 ‘부족(部族)’에서는 숙신(肅愼)으로부터 완안씨(完顔氏)에 이르기까지 동이(東夷)에 속한 민족을 다루었고, ‘강역(疆域)’과 ‘산천(山川)’에서는 이 민족들이 활동했던 지역을 고증하였...
TAG 만주원류고, 만주, 동이, 발해, 강역, 전거사료, 역사서술, Manchuwonryugo, 滿洲源流考, Manchuria, 滿洲, Dongyi, 東夷, Balhae, 渤海, Territory, 疆域, Historical sources, 典據史料, Description of history, 歷史敍述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