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윤리교육학회74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초등학생들의 인류 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인태 ( Lee In-tae ) , 박균열 ( Park Gyun-yeol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6권 281~306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도덕적 공동체 의식 중, ‘다양성 수용’이 작동하는 방식에 대하여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도덕적 공동체 의식을 체계적으로 형성하게 되는 초등학생들이 자신을 ‘인류’라는 사회적 범주로 정의하는 ‘인류 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이 다양성 수용의 결과로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했다. 연구 결과, ‘모든 인류 성원과의 동일시’(IWAH) 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 점수가 더 높았다. 또한 인류 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경험적 근거를 토대로 본 연구는 상위의 사회적 범주에 토대를 둔 재범주화, 종국적으로는 ‘인류’라는 최상위 사회적 범주로 자신을 정의하는 인류 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이 도덕적 공동체 의식의 ‘다양성 수용’의 측면을 설명하...
TAG 도덕과 교과 역량, 도덕적 공동체 의식, 모든 인류 성원과의 동일시, IWAH, 북한이탈주민, moral competency, moral consciousness of community, IWAH, Defectors from North Korea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과제
김국현 ( Kim Kuk-hyeon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5권 1~31페이지(총31페이지)
이 논문은 앞으로 도덕과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 고려할 몇 가지 사항을 논의한다. 첫째, 도덕과의 성격과 교과 지식 재구조화와 관련하여 배경 학문인 도덕철학, 도덕심리학 특히 뇌과학의 도덕심리학(neuroscientific moral psychology)의 지식을 내용 요소로 반영할 필요성과 가능성 및 방법이다. 둘째, 도덕과의 궁극적 목적인 도덕성 발달과 관련 학교급 및 과목 간에 도덕성에 대한 관점 불일치 해소이다. 셋째, 2015 도덕과 교육과정에 새로이 포함된 ‘도덕적 인간과 정의로운 시민’이라는 도덕과 교육을 받은 인간이 갖추어야 하는 역량을 윤리적 역량을 토대로 하여 도덕적 능력과 기술(skills)로 구체화하는 것이다.
TAG 도덕과 교육, 도덕과 교육과정, 도덕적 시민, 도덕심리학, 뇌과학, Moral Education, Moral Education Curriculum, Moral Citizen, Moral Psychology, Brain Science
가치와 덕목의 상호보완 관계에 기반한 도덕과 교육과정 개발
이병기 ( Lee Byoung-gi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5권 33~81페이지(총49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과 교육과정의 주요한 내용 요소인 가치와 덕목의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이들 간의 관계유형을 기반으로 한 도덕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있다. 도덕과 교육에서 가치와 덕목 간의 관계는 도덕원리를 매개로 하여 세 가지 유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중 상호보완적 관계유형은 도덕과 교육과정 개발시 교육과정의 설계 측면에서 교과 성격의 통합성, 목표의 계열성, 내용 체계의 연계성을 높이고, 실행 측면에서 도덕적 탐구와 성찰의 의미와 과정을 구체화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TAG 도덕적 핵심가치, 도덕적 덕목, 도덕적 탐구, 윤리적 성찰, 도덕과 교육과정, moral core values, moral virtues, moral inquiry and reflection, moral education curriculum
도덕성 발달에 관한 윤리교육이론 연구 동향과 과제
송선영 ( Song Sun-young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5권 83~107페이지(총25페이지)
이번 연구는 도덕윤리교육에서 도덕성 발달에 관한 콜버그의 이론의 주요 특징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도덕윤리교육의 과제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덕성 발달은 인간 삶의 전 영역에 걸쳐 있고, 인간다움을 실현을 위한 교육의 핵심과도 연결된다. 이에 따라 이번 연구에서는 도덕성이 무엇인지에 관한 논의보다는 도덕윤리교육이론 분야에서 도덕성 발달에 관한 주요 이론에 대한 이해와 연구 동향을 검토한다. 이러한 동향의 중심에는 콜버그의 정의(justice)에 관한 인지발달 이론이 자리 잡고 있고, 이에 대한 비판적 연구 동향을 통해 도덕성 발달과 도덕적 진보를 향한 우리의 도덕윤리교육에 대한 반성적 과제를 탐색한다.
TAG 도덕성 발달, 정의, 콜버그, 도덕공동체, 도덕적 진보, development of morality, justice, L. Kohlberg, moral community, moral advance
도덕과교육은 어떤 도덕성을 목표로 해야 하는가?
김상돈 ( Kim Sang-don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5권 109~137페이지(총29페이지)
도덕과교육은 학생들의 도덕성의 변화 내지 발달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도덕과교육의 목표로서 도덕성이 ‘어떤 도덕성’이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을 수 있다. 본 논문은 도덕과교육이 어떤 도덕성을 목표로 해야 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대표적인 도덕교육이론인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에서 논의되는 도덕성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의 도덕성에는 인지적 요소뿐만 아니라 정의적, 행동적 요소가 이미 통합되어 있음을 주장한다. 이를 토대로 도덕과교육의 목표로서 도덕성도 인지, 정의, 행동적 요소가 통합되어야 한다는 원론적 견해를 지지하면서도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교육론을 활용하여 발달 단계를 고려한 도덕과교육의 목표는 정의적, 행동적 요소가 더욱 강조된 도덕성이어야 함을 주장한다.
TAG 도덕과교육, 도덕성, 콜버그, 통합, 발달, 단계, 정의, 행동, moral subject education, morality, L. Kohlberg, integration, development, stages, emotion, behavior
초등 도덕과와의 연계를 통한 범교과 학습주제 현장적용 방안 연구
박영주 ( Park Yeong-joo ) , 노희정 ( Noh Hui-jeong ) , 정원영 ( Jeong Wan-ye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5권 139~163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범교과 학습 주제를 초등 도덕교과와 연계하여 초등학교 현장에 적합한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교과를 중심으로 편성ㆍ운영되고 있는 교육과정에서는 범교과 학습 주제를 다루기가 용이하지 않다. 그래서 7차 교육과정에 이르러 공식적인 명칭으로 도입되고 통용되고 있는 개념이 범교과 학습 주제이다. 하지만 지금까지도 범교과 학습 주제들의 의미 규정이나 구조화는 미흡한 실정이고 운영 프로그램조차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의무 시수를 이수하는 차원에서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범교과 학습 주제의 융합적 연계 운영 방안을 모색한다. 그리고 범교과 학습 주제가 대부분 도덕교과 내용에 부합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범교과 학습 주제와 초등 도덕교과 내용의 연계 모델로서 도덕과 중심 연계 모델과 도덕과 매개...
TAG 범교과 학습 주제, 도덕교과교육, 도덕교육, 인성교육, 교육과정, Cross-curricular themes, Moral subject education, Moral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Curriculum
사회정서학습과 도덕교육
이인재 ( Lee In-jae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5권 165~193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는 물론 미래 건전한 민주시민으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바람직한 도덕성(인성) 발달을 위해 학교 도덕(인성) 교육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에 대한 증거기반 이론과 실제의 근거를 찾고자 하는 시론적 접근이다. 이를 위해 오늘날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의 많은 나라에서 적용하고 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고 있는 사회정서적 학습(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에서 그 단초를 찾고자 하였다. 따라서 SEL의 등장 배경과 그 의미, SEL의 목표와 핵심 역량이 무엇이고, 어떤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그 효과가 무엇인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후, 향후 우리나라에서 증거기반 도덕(과) 교육을 하고자 할 때 주는 시사점을 탐구하였다.
TAG 사회정서적 학습, 자기 및 사회인식, 자기관리, 대인관계기술, 책임있는 의사결정, 증거기반 도덕(인성)교육,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SEL), Self and Social Awareness, Self-Management, Relationship Skills, Responsible Decision Making, Evidence Based Moral(Character) Education
전문성 개념, 유형과 도덕 전문성
김동창 ( Kim Dong-chang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5권 195~221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최근 도덕 심리학에서 논의가 시작된 도덕 전문성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인지과학과 의사결정 심리학 등의 분야에서 진행되어 온 전문성에 관한 연구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전문성, 전문가 개념과 유형, 특성들을 규명하고, 전문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랩슬리와 나바에츠가 제시하는 도덕 전문성을 반복적, 적응적 전문성의 관점에서 조망해 볼 것이다. 그리고 그들의 도덕 전문성에 관한 논의가 도덕 심리학의 합리주의와 직관주의, 도덕 교육의 인지발달적 접근과 인격교육적 접근의 통합을 지향하고 있다는 것을 밝힐 것이다.
TAG 전문성, 전문가, 반복적 전문성, 적응적 전문성, 도덕 전문성, 도덕 심리학, expertise, expert, routine expertise, adaptive expertise, moral expertise, moral psychology
증거 기반 도덕교육에 대한 고찰
박보람 ( Park Bo-ram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5권 223~248페이지(총26페이지)
증거 기반 교육은 기존의 교육이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일회성 자료, 전통적 관습과 속설, 개인의 단편적 경험 등에 의존하는 의견 기반 교육이었다는 반성에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교육 연구를 통해 교육적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증거를 충분히 누적하고, 현장 교육에 실천적 관련성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증거 기반 교육에서 증거는 단순히 특정한 학습 결과를 확보하는 도구적 효과성에 관한 증거가 아니라, 교육 목적에서의 일관성에 관한 증거여야 한다. 도덕교육에서 증거 기반 교육은 교사들이 자신의 교육 방법과 절차를 결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증거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조건을 기술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도덕교육 연구에서 증거는 도덕교육의 방법과 절차가 도덕교육의 목표와 윤리적으로 일치하는지와 관련된다. 절차적 가치와 원칙을 통해 도덕적이고 ...
TAG 증거 기반 교육, 도덕교육 연구, 도덕교육 목적, Richard Peters, 윤리적 일관성, Evidence-based education, moral education research, moral education purposes, ethical consistency
칸트의『도덕형이상학정초』에 대한 전기 듀이의 선이해
박찬영 ( Park Chan-young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5권 249~275페이지(총27페이지)
듀이는 『도덕형이상학정초』를 통해서 칸트에게 선은 의지에 있고, 행위 준칙은 의무에 부합하는 것이 아니라 의무로부터 나오는 것이며, 선의지는 법칙 그 자체에 대한 존경에서 나오고, 의지는 법칙에 복종할 뿐만 아니라 보편적인 법칙을 수립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일견 듀이의 『도덕형이상학정초』독법은 그렇게 치밀하지 않으며, 오해로도 읽힌다. 이는 칸트 윤리학이 형식주의이며 이론과 사실의 이원론을 벗어나지 못한다는, 전기 듀이의 선이해가 야기한 것이다. 이런 선이해는 도덕성이 활동이며, 도덕적 이론과 도덕적 실천이 떼려야 뗄 수 없는 것이라는 테제, 전기 듀이에서부터 강조된 ‘관심’과 ‘환경에 대한 적응’의 윤리가 뒷받침하고 있다. 칸트 『도덕형이상학정초』대한 전기 듀이의 선이해는 전기 듀이 윤리학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켜 줄뿐만 아니라, 이후 중기, ...
TAG 칸트 윤리학, 형식주의, 도덕형이상학정초, 전기 듀이 윤리학, 윤리학 비판 이론 개요, Kant’s moral philosophy, Outlines of a Critical Theory of Ethics, Dewey’s preunderstanding of Groundwork of the Metaphysics of Morals, ethical formalism, Dewey’s early, ethic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