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아동교육학회151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유아수학 관련교육현황 및 유아수학활동운영실태 비교분석
박기문 ( Bo¸ Qiwen ) , 김지현 ( Kim¸ Ji-hyun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20] 제29권 제2호, 91~111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유아수학 관련교육현황 및 유아수학활동운영실태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유아교사 150명과 중국 산동성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유아교사 150명, 총 3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학교육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김지현(2013), 김지현, 김정민(2013)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문항을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유아교사가 중국 유아교사보다 양성과정에서 유아수학 관련 과목을 이수하는 경우가 적었고, 현직과정 중에 유아수학교육과 관련된 교육을 연수하는 경우도 적었고 연수하는 회수도 ...
TAG 유아교사의 유아수학 관련교육현황, 유아수학활동운영실태, 한국, 중국, 유아교사, Early Childhood Teachers’ Mathematics-Related Education Status, Practice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Activities, Korea, China, Early Childhood Teachers
창의성 관련 fMRI 연구의 메타분석
박수인 ( Park¸ Su-in ) , 마서민 ( Ma¸ Rui-min ) , 왕동평 ( Wang¸ Dong-ping ) , 박병기 ( Bak¸ Byung-gee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20] 제29권 제2호, 113~138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fun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연구의 메타분석을 통해 창의성과 관련된 뇌 영역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창의성 관련 fMRI 메타분석에는 건강한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2000년부터 2018년까지의 fMRI 뇌 영상 연구로서, Talairach나 MNI 표준 좌표계에 보고된 97편의 연구가 포함되었다. 메타분석은 GingerALE 2.3.6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되었고, 창의성 관련 두뇌 영역을 시각화하기 위해 Mango 4.0.1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전반적인 창의성 관련하여 최대 활성화를 나타낸 두뇌 영역은 대뇌 좌반구 두정엽(parietal lobe)에 위치한 하두정소엽(inferior pari...
TAG 창의성, fMRI 메타분석, 뇌기반교육, creativity, fMRI meta-analysis, brain-based education
만 3-5세 유아의 초기적응 양상 -초기적응과 연령별, 성별, 적응영역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성희 ( Seo¸ Seong-hee ) , 박병기 ( Bak¸ Byung-gee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20] 제29권 제2호, 139~159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만 3-5세 유아의 초기적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연령별, 성별, 적응영역별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유아 교육기관 4곳의 유아 244명이다. 유아의 초기적응 행동은 입소부터 20주 동안 「초기적응 행동목록 관찰기록표」에 기록되어 생존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유아의 초기적응 양상을 나타낸 생존함수는 생존율의 변화에서 입소 후 12주까지는 큰 폭으로 적응의 변화를 보이다가 13주∼20주 동안은 완만한 변화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6주가 지나야 50%의 유아가 적응을 하였다. 약 30%(75명)의 유아는 9주까지도 부적응으로 나타났고, 약 10%의 유아는 14주까지도 적응이 안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비교로는 만5세, 만4세, 만 3세 순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빠른 시일 내에 적응을 하는...
TAG 초기적응, 연령별, 성별, 적응영역, 생존분석, Early adaptation, age, gender, adaptation area, survival analysis
어린이집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유경숙 ( Yoo¸ Kyeong-sook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20] 제29권 제2호, 161~175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어린이집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정신건강의 양상을 알아보고 그 관계성과 영향력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교사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총 236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다소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매우 높게, 정신건강의 문제는 낮게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정적 상관을, 정신건강 문제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어린이집교사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TAG 사회적지지, 교사-유아상호작용, 정신건강, Social support,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Mental health
초등학교 6학년이 지각한 부모의 방임과 학대가 휴대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유계환 ( Yoo¸ Kae-hwan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20] 제29권 제2호, 177~194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이 느끼는 부모의 방임, 학대와 휴대폰 의존 사이에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YCPS)의 초4 패널 자료 중에서 3차년도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임은 휴대폰 의존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우울에는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방임의 영향을 받은 우울은 휴대폰 의존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이를 통하여 우울은 방임과 휴대폰 의존의 사이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대는 휴대폰 의존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우울에도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학대의 영향을 받은 우울은 휴대폰 의존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이를 통해 우울은 학대와 휴대폰 의존의 사이에서 부분...
TAG 부모의 방임, 학대, 우울, 휴대폰 의존, 매개효과, Neglect of parents, Abuse, Depression, Cell phone dependency, Mediating effect
유아의 또래애착 분산요인과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및 행복감의 관계: 사회관계모형의 적용
유여름 ( Ryu¸ Yeo-reum ) , 조한익 ( Cho¸ Han-ik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20] 제29권 제2호, 195~214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는 사회관계모형을 적용하여 유아의 또래애착 분산요인을 행위자, 상대자, 관계성 요인으로 분해하고 또래애착 분산요인과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행복감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18개 학급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아는 187명, 여아는 125명이다. 또래애착은 옥정의 척도를 검토한 후 한 문항으로 개발하였으며, 유아의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은 정영미와 조한익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행복감은 이은주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또래애착의 분산요인은 행위자, 상대자, 관계성 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남아와 여아는 이러한 요인들에서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또래애착의 행위자 요인은 사회적 숙달목표지향성, 사회적 수행목표지향성, 사회적 회피목표지향성과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애...
TAG 유아, 또래애착 분산요인,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행복감, 사회관계분석, Preschool children, Peer attachment variance factors, Social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ppiness, Social relations analysis
유아의 성별 및 형제특성에 따른 부모자녀관계와 또래관계 간의 관계분석
이지영 ( Lee¸ Ji-young ) , 이정미 ( Lee¸ Jung-mi ) , 이상희 ( Lee¸ Sang-hee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20] 제29권 제2호, 215~230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5세 유아 207명과 그들의 어머니와 아버지를 대상으로 유아의 성별, 형제특성에 따라 부모가 인식한 부모자녀관계 수준 차이와 부모자녀관계와 또래관계 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째, 자녀의 성별이 남아인 경우 아버지와 어머니가 인식한 부모자녀관계 인식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반면, 자녀가 여아인 경우 아버지는 어머니보다 부모역할 만족이 높고, 부모참여도가 낮으며, 훈육에 대한 어려움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녀가 외동이거나 첫째인 경우는 아버지와 어머니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고, 둘째이하 자녀에 대해서는 부모참여와 훈육의 어려움에서 인식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와 아버지가 인식한 부모자녀관계 수준은 자녀의 성별 및 형제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래관계는 여아가 남...
TAG 또래관계, 부모자녀관계, 형제특성, 유아, peer relationship, parent-child relationship, sibling structure, children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이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력
최미숙 ( Choi¸ Mi-sook ) , 문인정 ( Moon¸ In-jo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20] 제29권 제2호, 231~247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이 학교준비도와 어떠한 관계와 영향력이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으로 A지역 국 공립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5세 유아 140명을 선정하여,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 학교준비도에 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유아의 놀이성과 학교준비도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놀이성이 학교준비도를 예측하는 의미 있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회복탄력성과 학교준비도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이 학교준비도를 예측하는 의미 있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의 발달과정에 있어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이 학교준비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학교준비도 향...
TAG 학교준비도, 놀이성, 회복탄력성, school readiness, playfulness, resilience
유아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유경숙 ( Yoo Kyeong-sook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20] 제29권 제1호, 5~20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지각한 사회적지지, 직무만족 및 소진 양상을 알아보고 그 관계성과 영향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교사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총 463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 및 표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다소 긍정적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와 소진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는 정적인 상관, 소진은 부적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에 대한 지각은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지지가 가장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
TAG 사회적지지, 직무만족도, 소진,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Exhaustion
유아교사의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이 과학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과학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정은 ( Lee Jeong-eun ) , 김경숙 ( Kim Kyung-sook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20] 제29권 제1호, 21~40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인식한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이 과학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과학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밝혀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G시에 소재한 유아교육 기관의 만3-5세 담임교사 222명을 대상으로 과학교과교육학지식, 과학수업전문성, 그리고 과학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 그리고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유아교사가 인식한 과학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는 과학수업전문성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이었으며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은 과학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매개로 과학수업전문성에 정적 방향으로 ...
TAG 과학교과교육학지식, 과학수업전문성, 반성적 사고,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eflective thinking, professionality in science teaching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