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AND 간행물명 : 과학교육연구지70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An Exploratory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Motivation in Science: Comparing a STEM Education Program in Korea and the USA
( Hyonyong Lee ) , ( Max L. Longhurst ) , ( Michael K. Freeman ) , ( Hyundong Lee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9] 제43권 제1호, 1~16페이지(총16페이지)
TAG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international comparison, motivation in science, STEM, MESA program
수학·정보 융합교육을 위한 코딩과 연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신기철 ( Gicheol Shin ) , 서보억 ( Boeuk Suh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9] 제43권 제1호, 17~42페이지(총26페이지)
이 연구는 수학과 정보교과의 융합교육을 위한 시도로, 최근 강조되고 있는 코딩교육을 수학교육에 접목한 교수학습자료의 개발연구이다. 코딩교육을 위한 수학주제로 전자서명을 선택하였고, 코딩을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SageMath이다. 본 연구에서 전자서명의 다양한 방법 중 타원곡선 전자서명 알고리즘에서 이용되는 수학을 조명하고, 이를 소재로 정보와 수학교과의 융합 교수·학습 자료를 코딩기반으로 개발하였다. 최근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진 비트코인의 거래에서 실제로 활용되는 타원곡선 전자서명 알고리즘은 수학이 응용되는 실례로서 학생들에게 보여주기 좋은 소재이고, 코딩으로 구현하기에도 최적의 환경을 제공해 주고 있다. 따라서 이를 소재로 한 수업은 수학중심의 융합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 연구에서 제시...
TAG 수학적 모델링, 융합교육, 수학과 정보, 코딩교육, 수학교수-학습자료, 전자서명, mathematical modeling, convergence education, mathematics and information subject, coding education, mathematics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digital signatures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Ⅱ 교과서의 탐구활동 유형 분석
정수연 ( Soo Yeon Jeong ) , 장정호 ( Jeong Ho Cha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9] 제43권 제1호, 43~63페이지(총21페이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생명과학Ⅱ 교과서에 수록된 탐구활동 유형을 추출하여 6개의 대단원과 5종의 출판사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탐구활동 유형 중 조사 토의 및 발표(IP)의 수가 많이 늘어난 것과 표현하기(EX)가 각 단원마다 수록되어 있다는 것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교실 수업을 학생중심 활동으로 전환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험 관찰, 모의 활동, 조사 토의 및 발표 등의 학생중심 활동 영역의 탐구활동 유형이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약 27% 정도를 차지한 것보다 증가한 약 41% 정도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자료 해석 유형이 가장 많기 때문에 앞으로 교과서 개발이 필요할 때 학생들의 창의성과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자료 해석의 유형을 줄이고 모의 활동이나 표현하기의 유형이 더 늘어나도록 ...
TAG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탐구활동, 탐구활동 유형, 생명과학Ⅱ 교과서,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inquiry activity, types of inquiry activity, life science Ⅱ textbook
2015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과목 편성ㆍ운영 실태 분석
신영준 ( Youngjoon Shin ) , 곽영순 ( Youngsun Kwak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9] 제43권 제1호, 64~78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2015개정 교육과정의 신설과목인 통합과학을 처음 실행한 2018년 한해 동안 통합과학 과목이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총 258명의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제 학교현장에서 통합과학이 어떻게 편성ㆍ운영되고 있는지, 통합과학 교수·학습 및 평가 실태는 어떠한지, 교사공동체 운영 현황과 통합과학 교육과정 실행을 위해 필요한 지원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통합과학을 8단위로 편성하는 학교와 6단위로 편성하는 학교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며, 한 학급의 통합과학 수업을 복수의 교사가 담당하는 경우가 2/3 정도에 이르고 있고, 아직도 강의형 통합과학수업 방식이 대세를 있으며, 과학교사들은 경력에 따라 비전공영역 이해 부족이나 통합적 수업설계에 ...
TAG 통합과학, 편성운영, 실행된 교육과정, 과학교사 자격증, 교사 학습공동체,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enacted curriculum, science teacher certification, teacher learning community
과학교육론 교재에서 나타나는 귀납, 연역, 가설연역, 귀추의 의미 혼선
정용욱 ( Yong Wook Cheo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9] 제43권 제1호, 79~93페이지(총15페이지)
귀납, 연역, 가설연역, 귀추는 과학의 방법, 혹은 그것의 토대를 이루는 논리로서 과학교육에서 주목받아왔다. 그런데 가설연역과 귀추가 갖는 논리적 유사성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이들 용어들의 구분이 항상 명확한 것은 아니다. 본 연구는 귀납, 연역, 가설연역, 귀추에 대한 과학교육론 교재들의 서술을 조사하여 과학의 방법으로서, 혹은 과학 탐구의 맥락에서 이들 용어들이 사용되는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7종의 과학교육학 교재들에서 관련된 서술을 추출하였고, 용어의 정의, 사용된 예시, 다른 용어들과의 관계를 검토하여 용어가 갖는 의미의 일관성과 용어간의 구별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교재의 서술에서 용어가 갖는 의미가 일관성을 갖지 못하며, 관련 용어사이의 의미구별을 어렵게 하는 여러 논의들이 발견된다는 문제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혼선...
TAG scientific inquiry, induction, deduction, abduction, hypothetical deductive method
과학교과 역량의 다면적 이해와 쟁점의 탐색: 일반 핵심역량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이경건 ( Gyeong-geon Lee ) , 박정우 ( Jeongwoo Park ) , 이선경 ( Sun-kyung Lee ) , 홍훈기 ( Hun-gi Hong ) , 심한수 ( Han Su Shim ) , 신명경 ( Myeong-kyeong Shi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9] 제43권 제1호, 94~118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담론의 동향으로부터 과학과 핵심역량의 다면적 이해를 위한 쟁점을 탐색하고, 일반적 핵심역량과 과학 교과역량 간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먼저는 행동주의, 인문주의, 그 포괄적 종합을 중심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후 OECD의 역량 관련 프로젝트(DeSeCo; OECD Education 2030), 미국의 차세대 과학 표준(NGSS), 한국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국내외에서 핵심역량 및 교과역량에 관하여 작성된 주요 문헌 15건이 제시하는 105개의 일반역량 및 45개의 과학역량을 정리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역량의 정의 및 범주화를 위한 쟁점에 관하여, 일관된 체계 내에서 제시되는 역량들이 일종의 포괄성을 지닌다고...
TAG 역량기반 교육과정, 핵심역량, 과학교과역량, creative-experience activity program, science club, attitudes related to science, non-formal education
초임 과학교사를 위한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멘토교사와 멘티교사의 갈등 요소 분석
정도준 ( Dojun Jung ) , 이임일 ( Imil Lee ) , 남정희 ( Jeonghee Na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9] 제43권 제1호, 119~135페이지(총17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초임 과학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교사와 멘티교사의 갈등 요소 및 변화 과정을 분석하고 갈등의 원인을 고찰하였다. 협력적 멘토링 연수에 참가한 30명의 교사 중 멘토교사의 효능감 검사지 및 멘티교사의 만족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갈등이 있었다고 응답한 3팀(6명)을 연구의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멘토교사와 멘티교사가 실시한 5차례의 일대일 멘토링 대화 녹음본과 전사본을 추가로 분석하였다. 멘토링 대화에서 나타나는 갈등의 요소를 살펴보면 교수방법에 대한 지식 중 수업 전략에 관한 갈등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학생들의 이해에 대한 지식 요소 중 학생특성에 적합한 교과내용 지식 측면과 교과내용지식 요소 중 과학개념에 대한 지식 측면에서 갈등이 나타났다. 또한 멘토교사의 효능감 검사지와 멘티교...
TAG 협력적 멘토링, 교사 교육, collaborative mentoring, teacher education
STEAM 프로그램이 예비 과학교사의 의사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STEAM 교육에 대한 경험과 성찰
김선영 ( Sun Young Kim ) , 전재형 ( Jae Hyeong Jeo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9] 제43권 제1호, 136~156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예비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STEAM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한 후 의사소통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예비 과학교사들이 STEAM 프로그램을 경험한 후 그들의 경험에 대해 어떠한 성찰을 하는지 면밀히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단일그룹 사전-사후 검사 설계로 양적자료와 질적자료 모두를 활용한 혼합 연구이다. STEAM 프로그램은 STEAM에 대한 이론적 배경 소개(4차시), 과학기반 4가지 주제의 STEAM 활동에의 참여(16차시), 그리고 STEAM 프로그램에 대한 성찰(2차시)로 구성되었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STEAM 프로그램 후 의사소통역량이 향상되었다. 특히 예비 과학교사들은 의사소통역량의 하위요소 중 정보수집과 경청으로 이루어진 해석능력, 자기제시능력, 타인관점이해 능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예비 과학교사들은 STEAM...
TAG 예비 과학교사, 의사소통역량, 반성적 성찰, STEAM, preservice science teacher, communication competency, reflection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 수행에서 대상의 수가 공통성 지식 생성과 뇌 활성에 미치는 영향
김용성 ( Yong-seong Kim ) , 정진수 ( Jin-su Jeo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9] 제43권 제1호, 157~172페이지(총16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난이도가 다른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뇌 활성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35명의 예비 생명과학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이 연구는 뇌파 기록을 위한 블록디자인으로 설계되었다. 피험자들이 공통성 발견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뇌파가 수집되었다. sLORETA 분석 방법과 상대파워스펙트럼 분석 방법은 2개의 소재로 구성된 쉬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와 5개의 소재로 구성된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 뇌 활성 차이를 분석하는 데에 이용되었다. 그리고 공통성 발견 과제의 난이도에 따라 활성화된 대뇌 피질과 피질하 영역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결과, 세타파의 경우, 쉬운 난이도 과제와 비교하여 어려운 난이도 과제 수행 시 세파타의 활성은 전두엽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후두엽에서는 증가하였다...
TAG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 난이도, 뇌파, 상대파워스펙트럼, Life Science Commonness Discovery, Task Difficulty, EEG, Relative Power Spectrum, sLORETA
Learning from an Expert Teacher: Feynman’s Teaching of Gravitation as an Examplar
( Jiyun Park ) , ( Gyoungho Lee ) , ( Jiwon Kim ) , ( David F. Treagust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9] 제43권 제1호, 173~193페이지(총21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난이도가 다른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뇌 활성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35명의 예비 생명과학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이 연구는 뇌파 기록을 위한 블록디자인으로 설계되었다. 피험자들이 공통성 발견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뇌파가 수집되었다. sLORETA 분석 방법과 상대파워스펙트럼 분석 방법은 2개의 소재로 구성된 쉬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와 5개의 소재로 구성된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 뇌 활성 차이를 분석하는 데에 이용되었다. 그리고 공통성 발견 과제의 난이도에 따라 활성화된 대뇌 피질과 피질하 영역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결과, 세타파의 경우, 쉬운 난이도 과제와 비교하여 어려운 난이도 과제 수행 시 세파타의 활성은 전두엽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후두엽에서는 증가하였다...
TAG Feynman, gravitation, framework of knowledge & belief, teaching physic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