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120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마이크로 워터 그리드에서 다중수원 연계·연속 활용 성능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채수권 ( Soo-kwon Chae ) , 이상훈 ( Sang-hoon Lee ) , 안홍규 ( Hong-kyu Ahn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9] 제28권 제6호, 556~567페이지(총12페이지)
세계적으로 그린빌딩, 스마트빌딩 등과 같은 마이크로 워터 그리드 단위의 초고층 빌딩이 증가되는 추세로 수자원과 에너지의 수요증대 등과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그린빌딩 인증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 워터 그리드 단위의 그린빌딩 인증제도 내에서 전력과 에너지 분야는 활발한 연구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반면 수자원의 연계·연속 활용을 통해서 물의 재이용, 물 절약 등과 같은 지속가능한 수자원의 활용에 대한 연구는 다소 미흡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린빌딩 인증제도에서 다중수원의 연계연속 활용을 위해 수자원 부문에 대한 특성과 한계점을 분석하고, 마이크로 워터 그리드 단위의 그린빌딩이나 스마트빌딩 및 복합단지 내외에서 상수, 자연 및 대체수자원 등과 같은 각종 수자원이 연계연속 활용할 수 있는 평가방법과 성능평가기준을 제시하고자 한...
TAG 마이크로 워터 그리드, 다중수원, 수자원 연계연속활용, 성능평가, 그린빌딩 인증제도, Micro Water Grid, Multiple water resources, Performance Evaluation, Green Building Standards and Certification Systems
서울시 월별 미세먼지 농도와 주변 토지피복의 관계 분석
최태영 ( Tae-young Choi ) , 강다인 ( Da-in Kang ) , 차재규 ( Jae-gyu Cha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9] 제28권 제6호, 568~579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시대기 측정망의 월별 미세먼지 농도와 측정소 주변 버퍼별, 토지피복 유형별 비율의 관계를 분석하여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토지피복의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분류 토지피복 유형과 미세먼지 농도의 월별 상관분석 결과 버퍼 3km에서, PM2.5보다 PM10에서 상관성이 잘 나타났고, 산림과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 초지와 시가지는 PM10과, 나지와 시가지는 PM2.5와 일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버퍼 3km 내 중분류 및 세분류 우세 피복유형의 월별 상관분석 결과 PM10은 활엽수림과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도로와 일부 양의 상관이 우세한 편이었다. PM2.5는 활엽수림과 일부 ...
TAG PM10, PM2.5, 상관분석, 회귀분석,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공간 군집지역 탐색방법에 따른 로드킬 다발구간 분석
송의근 ( Euigeun Song ) , 서현진 ( Hyunjin Seo ) , 김경민 ( Kyungmin Kim ) , 우동걸 ( Donggul Woo ) , 박태진 ( Taejin Park ) , 최태영 ( Taeyoung Choi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9] 제28권 제6호, 580~591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로드킬 다발구간을 선정하기 위한 공간 군집지역 탐색방법을 비교하기 위하여 영주시, 문경시, 안동시, 청송군 로드킬 핫스팟 분석을 수행하였다. 국지적 공간 자기상관 지수인 Getis-Ord Gi* 통계량은 분석 단위를 달리하여 산출하였으며, 전체 도로면적 기준으로 300m에서 9%, 1km에서 14%의 핫스팟 지역을 도출하였다. 1km 단위 핫스팟 지역의 Z-score를 5개로 등급화한 결과, 예천군과 영주시 경계에 있는 28번 국도 구간의 Z-score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커널 밀도 방법은 일반 커널 밀도 추정과 네트워크 커널 밀도 추정 분석을 수행하였다. 두 방법 모두 구역 단위의 분석보다 로드킬 다발구간의 시각적 확인이 용이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우선순위를 산정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군집 분석방...
TAG 로드킬, 군집 분석, 국지적 공간 자기상관성, 커널밀도추정, 네트워크 커널밀도추정, Roadkill, Clustering Analysis, Local Spatial Autocorrelation, KDE, Network KDE
사전감지기술 및 송풍량 자동제어를 기반으로 한 저에너지 하수관리기술에 관한 연구
이승명 ( Seungmyoung Lee ) , 김한래 ( Hanlae Kim ) , 기경서 ( Kyoungseo Ki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9] 제28권 제6호, 592~603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하수처리시 가장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는 송풍기의 효과적인 제어를 통한 저에너지 하수관리기술 구현에 관한 것으로, 미생물에 필요한 산소의 양을 산정함에 있어 생물반응조내 운전지표나 방류수의 원격수질감시체계(Tele-Monitoring System, TMS) 데이터를 활용하는 기존방식과 달리 하수처리시설로 유입되는 하수의 CODcr, NH4+-N 농도변화를 유입단에서 미리 감지하여 송풍에너지를 절감하고자 하였다. 사용된 사전감지기술은 기존 상용화된 제품과 비교 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전감지기술과 연계하여 송풍기를 자동제어한 결과 인력에 의한 수동제어방식에 비해 평균 9.9%의 송풍에너지를 줄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처럼, 유입단에서 유입하수를 사전감지할 경우 실시간으로 유입수질의 변동...
TAG 유입하수 농도, 사전 모니터링, 송풍기 제어, 에너지 절감, 온실가스 절감, Sewage Concentration, Pre-Sensing, Blower Control, Energy Saving, Greenhouse Gas Emissions Reduction
조류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토양개량제의 퇴비화 과정에 따른 영양성분 특성
안창혁 ( Chang-hyuk Ahn ) , 이새로미 ( Saeromi Lee ) , 박재로 ( Jae-roh Park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9] 제28권 제6호, 604~615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폐기되는 조류 바이오매스를 재활용하여 퇴비화 과정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조류토양개량제(algae soil conditioner, ASC)로 제조하고 영양성분에 대한 특성을 평가하였다. ASCs는 응집부상공법을 통해 수집된 조류 바이오매스를 주원료로 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다양한 보조 원료(톱밥, 펄라이트, 깻묵 등)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ASCs는 투입된 조류 바이오매스 질량 비율에 따라 각각 blank 0%, ASC1 11.7%, ASC2 21.6%, ASC3 37.6%, ASC4 59.5%로 구분하여 총 127일간 부숙하였다. ASCs는 호기성 미생물 반응에 의해 온도 증감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6∼7회의 크고 작은 온도 피크가 관찰되었다. 이화학 분석결과 유기물이 무기화(mineralization) 되면서 macro...
TAG 조류토양개량제, 조류 바이오매스, 퇴비화 과정, 영양성분, 미생물, Algae soil conditioner (ASC), algae biomass, composting process, nutritional ingredients, microorganism
산업단지 계획 시 유해대기오염물질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사례 연구
김상목 ( Sang-mok Kim ) , 손은성 ( Eun-seong Son ) , 서영교 ( Young-kyo Seo ) , 백성옥 ( Sung-ok Baek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9] 제28권 제6호, 616~625페이지(총10페이지)
건강영향평가는 개발사업 시행에 따른 사람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여 건강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환경영향평가 내에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건강영향평가 시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에 대한 일관성 부족으로 건강영향평가 매뉴얼 개선이 필요하나, 아직 개정은 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실제 산업단지 개발 사례 및 기 수행된 건강영향평가를 중심으로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시 매뉴얼에 제시된 원단위 산정 방법을 다르게 적용한 4가지 사례를 선정하여 각각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각 산정된 배출량을 토대로 CALPUFF 모델을 이용한 확산농도 예측 후, 노출농도를 기준으로 위해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위해성 평가 결과, 배출량 산정 방법별 위해도 수준의 차이가 비교적 크게 나타남에 따라, 배출량 산정시 원단위 적용에 대한 매뉴얼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TAG 건강영향평가, 유해대기오염물질, 환경영향평가, 위해성평가, CALPUFF, Health Impact Assessment (HIA), Hazardous Air Pollutants (HAP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Risk assessment
도시개발에 따른 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 연구: 부산 에코델타시티 사업을 대상으로
최지영 ( Jiyoung Choi ) , 이영수 ( Youngsoo Lee ) , 이상돈 ( Sangdon Lee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9] 제28권 제5호, 427~439페이지(총13페이지)
현재 국내 환경영향평가의 자연환경생태분야는 정량적 평가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발계획에 따른 생태계서비스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부산 에코델타시티 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사업 전과 후에 대해 평가하였다. 기후변화 적응의 일환인 탄소고정량 변화량 측정과 생물다양성 지표인 서식처질에 대해 InVEST 모델을 활용하여 중첩평가를 하였고, 토지이용계획에 따른 3개의 대안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2000년의 탄소고정량은 216,674.48 Mg of C, 2015년에는 203,474.25 Mg of C로 약 6.1% 감소된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2030년에는 2015년 대비 약 40%가 감소하여 120,490.84 Mg of C로 예측되었다. 3개의 대안평가에서 대안 3이 6,811.31 Mg of C로 탄소고정량이 가장 보존되는 대안으로 도출되었다. 그...
TAG 탄소고정량, 기후변화 적응, Integrated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and Tradeoffs (InVEST), 환경영향평가, Carbon Fixation, Climate change Adaptation, EIA
미세먼지로 인한 자전거 이용객의 야외활동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사회네트워크분석을 중심으로
김보미 ( Bomi Kim ) , 이동근 ( Dong Kun Lee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9] 제28권 제5호, 440~456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미세먼지에 대한 야외활동의 위험인식의 논란에 따른 미세먼지 우려의 본질을 파악해 보고자 미세먼지의 노출로 건강에 영향을 많이 받는 자전거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카페글과 댓글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정부에서 주도한 미세먼지 정책은 매 시기별로 견고해지고, 세분화되고 있었지만 자전거 커뮤니티 내에서의 미세먼지 위험인식은 시간흐름에 따라 논의가 활성화되고, 심각해지고 있었다. 둘째, 미세먼지 우려로 인한 야외활동 인식변화를 분석한 결과 자전거 커뮤니티 회원들은 날씨 변수보다 미세먼지 등급에 따라 야외활동 여부가 달라지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국내 미세먼지 수치나 마스크 성능에 대한 불신과 맞물리면서 일상생활과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주는 공포의 대상으로 변화되고 있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미세먼지 위험인식은 주로 야외에서 즐겼던 자전거활동 ...
TAG 온라인 커뮤니티, 댓글, 동향, PM10, PM2.5, Online community, Comments, Time trend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해역의 해양 환경 특성
서진성 ( Jinsung Seo ) , 맹준호 ( Junho Maeng ) , 임은표 ( Eunpyo Lim ) , 진승주 ( Seungjoo Jin ) , 김현민 ( Hyunmin Kim ) , 김태윤 ( Taeyun Kim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9] 제28권 제5호, 457~470페이지(총14페이지)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해역을 중심으로 구축된 모니터링 자료를 분석하여 해양물리, 해양수질, 해저퇴적물의 환경 특성을 파악하고 현황을 제시하였다. 파고와 부유사 농도, 유속과 부유사 농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연구 해역 토사의 부유 특성을 고찰하였다. 춘계 시(1 개월) 파고와 부유사 농도 사이에는 상관계수 0.61~0.69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1 m 이상의 높은 파고가 발생하면 75 mg/L 이상의 부유사 농도가 관측되었다. 수질평가지수 산정 시 필요한 항목을 중심으로 수질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대부분의 정점에서 1등급(매우 좋음)을 보이고 있었다. 클로로필-a의 변동폭이 다른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수질평가지수에 영향을 주는 중요 인자로 파악되었다. 해저퇴적물 내 중금속 현황은 모든 항목의 평균값이 해양환경 주의기준 이하로 검출되었으며 ...
TAG 해상풍력단지, 해양환경, 부유사, 수질환경지수, 퇴적물 환경 기준, Offshore wind farm, Marine environment, Suspended solid, Water Quality Index (WQI), Sediment Quality
바이오스톤 볼 수처리 시스템에 의한 오염물질 저감 및 저수지의 수질개선효과 산정
최선화 ( Sunhwa Choi ) , 김흥섭 ( Heungseop Kim ) , 정세웅 ( Sewoong Chu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9] 제28권 제5호, 471~482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유기성 오염도가 높은 국내 하천 및 호소의 수질정화를 위해 바이오스톤 볼 담체를 이용한 수처리 기술을 개발하였다. 바이오스톤 볼 수처리기술의 오염물질 제거효율 및 저수지 수질개선효과 등을 평가하기 위하여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한 매화저수지에 실증플랜트를 설치하였다. 바이오스톤 볼 수처리시스템의 오염물질 제거효율은 BOD 70.3%(47.2~97.4%), COD 45.3%(26.1~64.7%), TOC 19.2%(8.5~50.0%), SS 82.8%(73.1~92.7%), Chl-a 80.4%(57.2~91.8%), TN 23.2%(6.4~39.5%), TP 51.8%(-1.1~80.1%)로 나타나 BOD, SS, Chl-a에서 평균 70~80% 이상의 매우 높은 정화효율을 나타내었다. 바이오스톤 볼 수처리시스템을 저수지 평시 유입량 설계기준으로 ...
TAG 바이오스톤 볼, 유기성 오염물질, 수질오염, 수질개선시스템, Bio-stone ball (BSB), Organic pollutants, Water quality, Water treatment system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