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AND 간행물명 : 기초조형학연구436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자율주행 자동차와 거주 공간의 결합에 의한 사용성 확장에 관한 연구
허현우 ( Hur Hyun Woo ) , 조택연 ( Cho Taig Youn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2호, 739~752페이지(총14페이지)
현재 사회의 거주 방식은 삶의 방식에 따라 변하기 시작하였다. 주거공간의 높은 비용과 도시의 밀집, 사회적 인식 등으로 인해 자신의 주거공간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이 대부분이다. 또한 자동차의 이동이 많아지면서 운전만이 아닌 여가 시간의 활용을 필요로 한다. 이 연구는 현재 과학 기술 및 근 미래의 기술인 자율주행 자동차와 거주 공간의 결합을 통해 이동이 가능한 거주 공간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다양한 공간의 사용성 확장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발표된 문헌 자료와 자동차 회사들의 자율주행 자동차 개념을 조사하기 위해 자동차 회사 인터넷 사이트들을 참고하였다. 자동차 회사들은 자율주행 자동차의 운전 외의 행위들을 연구하고 있으며 장거리 이동을 위한 콘셉트들을 선보이고 있고, 이들은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내 변화를 통해 ...
TAG 자율주행 자동차, 거주 공간, 융합, 움직이는 공간, autonomous vehicle, living space, convergence, moving space
한·중의 사인시스템 디자인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체계적 논문고찰-
왕문염 ( Wang¸ Wen Yan ) , 신윤진 ( Shin¸ Yoon Jhin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1호, 225~238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인 시스템 디자인에 관한 한국과 중국의 논문을 고찰하고, 양국의 연구 추세를 비교 분석해 향후 보완해야 할 부분을 파악하는 것으로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2000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한국과 중국의 박사논문, 학술지논문으로, ‘사인’, ‘사인 시스템 디자인’을 키워드로 검색한 14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추세에 대한 분석은 논문편수, 연구주제, 연구범위, 연구대상, 연구방법으로 분류하였으며, 분석대상을 포괄적으로 연구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중국의 논문 수는 한국보다 많지만, 깊이 있고 체계적인 박사 논문연구는 중국보다 풍부한 것으로 드러났다. 2) 한· 중 양국의 사인 시스템 디자인 연구 분야는 모두 다 학제적인 연구를 포함하고 있었다. 3) 한· 중 양국의...
TAG 사인, 사인시스템 디자인, 연구경향, 비교분석, sign, sign system design, research trend, comparison analysis
한국 ‘단색화’론에 제시된 ‘한국성’과 이의 자연 과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
원영태 ( Won¸ Yung Tae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1호, 239~258페이지(총20페이지)
이 논문은 한국 단색화론에서 제시된 기존의 ‘한국성’에 관련된 논의를 역사적, 문화적 문맥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현대 양자역학의 기본원리와 비교 검토하여, ‘범 동아시아적 미학’이라는 새로운 논의의 틀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이를 조선시대의 미학과 연관 지은 통시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아울러 ‘애상의 미’, ‘비애의 미’라 일컬어지는 식민지 미학을 근대 일본문화의 맥락에서 파악하여 비교 분석한다. 이를 통해 단색화가 “식민지 미학의 현대적 현현”과 ‘타자성’을 가졌다는 비판을 검증하고, 이에 대한 연구자의 대안을 제시한다. 연구자는 우선, ‘한국성’이 가지는 소박함의 원천을 조선 성리학의 정점인 퇴계 이황의 ‘졸박(拙樸)’에서 찾았다. 이는 고유섭의 ‘무기교의 기교’, ‘무계획의 계획’, 그리고 이일의 ‘범 자연주의적 세계관’...
TAG 단색화, 한국성, 졸박, 회사후소, 비애의 미, 범 자연적 세계관, 범 동아시아적 미학, 양자역학, Dansaekhwa, Koreanness, Jol Bahk, 拙撲, Hoisahuso, 繪事後素, beauty of sadness, pan-east Asian, world-view, quantum physics
조형원리를 기반으로 한 꽃의 조형요소에 관한 연구 -꽃의 구조에 따른 조형 분류를 중심으로-
이미향 ( Lee¸ Mi Hyang ) , 김흥렬 ( Kim¸ Heung Ryeol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1호, 259~278페이지(총20페이지)
꽃은 일상 및 예술을 비롯한 인류 문화의 모든 영역에서 미의 영감의 원천이 되어왔다. 화예디자인은 꽃과 식물의 생명력을 표현하는 조형예술 분야로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지만 객관적 미학의 대상으로 서 꽃의 심미성에 관한 탐구는 아직 미약하다. 따라서 꽃의 아름다움에 대한 체계적인 탐구는 꽃에 대 한 새로운 해석과 함께 미학의 또 다른 분야를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꽃의 아름다움을 객관화하기 위해 정량적 방법으로 꽃의 조형요소를 체계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과정은 디자인에 서의 조형성 유형을 선행연구로, 식물학적 꽃부리 분류체계의 고찰을 통한 꽃의 분류체계 범위 내에서 꽃의 형상적 조형요소를 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식물학적 분류 체계에 따라 다소 범위의 차 이가 있는 것을 감안하여 관련 서적과 인터넷 자료를 토대로 6개의 분류 방식에...
TAG 화예디자인, 꽃의 조형요소, 꽃부리, 조형적 꽃부리, floral art, design, form and structure of flower, corollar, formative corolla
대학 상징체계 개발 사례 연구
이승미 ( Lee¸ Seung Mee ) , 권민성 ( Kwon¸ Min S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1호, 279~292페이지(총14페이지)
대학 상징체계(University Identity System, UIS)는 대학이 가지고 있는 정통성과 역사성을 기반으로 교육 이념, 가치, 철학 및 미래 비전을 시각적으로 상징화하는 이미지체계 개발을 의미한다. 세계 명문 대학들과의 무한 경쟁 속에서 경쟁력 있는 대학 브랜딩(University Branding)을 구축하기 위해 타 대학들과 차별화되는 해당 대학만의 학문적 고유성과 문화적 정체성을 담는 UIS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고려대학교 상징체계 개발 사례 연구로 디자인 개발 기획과 절차를 거쳐 22개 단과대학과 28개 일반 / 특수 / 전문대학원의 상징 이미지 산출과정을 통해 대학 구성원들에게 통일된 시각적 상징체계를 공유케 함으로써 대학의 교육 이념과 문화를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대학 상징체계 ...
TAG 상징체계, 디자인 언어, 디자인 프로세스, 대학 상징, 브랜딩 전략, identity system, design language, design process, university identity, branding strategy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바라본 종이 조형 사례 연구
이주연 ( Lee¸ Ju-youn ) , 차영순 ( Cha¸ Young-s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1호, 293~306페이지(총14페이지)
이 연구는 종이 조형물을 조형적 관점만이 아닌 지속가능성을 위한 노력이라는 관점에서도 바라보고 그 관점의 기준에 적합한 작품들에 관해 조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은 문헌과 자료조사 진행 후, 종이 조형 사례를 찾는 것이다. 자료와 문헌 조사를 통해서 미술사 속 위치와 친환경성을 알 수 있고, 1960~70년대 미국을 중심으로 한 환경운동과 미술사적 사건들을 통해 조형 작가들이 종이를 매체로 자신들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게 된 배경을 알 수 있다. 조형 사례 연구에서 는 지속가능성을 위해 필요한 세 가지 측면을 근거로 제작과정에서의 환경적 노력, 자원의 경제적 노력, 사회 반영적 노력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선별된 작가와 작품은 국내외에서는 이미 조형성과 예술적 가치가 높게 평가된 작가와 작품들이다. 이들 작품을 다음의 세 단계...
TAG 종이 조형, 조형성, 지속가능성, 재활용, 독창성, paper artwork, formative, sustainability, recycle, originality
이노우에 유이치의 초험적 경험과 문자 추상
정경숙 ( Jung¸ Kyoung Sook ) , 안병학 ( Ahn¸ Byung Hak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1호, 307~318페이지(총12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정신세계 속 무의식을 ‘추상’으로 형상화할 수 있는 근거와 방법에 대한 규명으로 연구 방법은 이노우에 유이치의 생애, 그의 문자 추상 작업, 그리고 그가 활동했던 보쿠진 카이(墨人會, Bokujin-kai) 정신으로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술가의 초험(超驗)적 경험과 그것이 발현된 예술로서 문자 추상의 감응 관계를 탐구한다. 인간 무의식에 의미를 부여하는 추상 예술의 핵심은 대상의 재현이 아니라 대상에 대한 작가의 불명료하고 모호한 감각적 감응과 그 감응이 대상에 반영된 대기이다. 예술가는 자신이 현실에서 겪는 경험을 감각의 변화를 통해 초험으로 전환하여 표상 안에서 투영함으로써 현실과는 또 다른 세계를 창안한다. 이와 같이 예술가의 창작 동기는 자신의 현 실 경험이 초험화 되는 과정에서 반영된 무의식이다. 예술...
TAG 문자 추상, 서체 추상, 초험적 경험, 전위서, 이노우에 유이치, character abstraction, typeface abstraction, transcendental-experience, avant-garde calligraphy, Inoue Yuichi
한국 전통 소재의 현대 디자인 적용을 위한 연구 -조선시대 실생활에서 나타나는 질감을 중심으로-
정민희 ( Jung¸ Min Hee ) , 윤세환 ( Yoon¸ Se Hwan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1호, 319~331페이지(총13페이지)
정보 통신과 교통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전 세계 문화 교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사태는 비대면이라는 이름으로 서로가 단절되는 결과를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이동 제한으로 인한 물리적인 고립에도 불구하고 온라인을 통한 소통의 환경은 더욱 활성화될 예정이다. 따라서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이 시기는 온라인상에서는 초연결사회의 이점을 영위하는 동시에 오프라인의 상황에서는 각자의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한 번 더 재정립하는 데에 집중할 수 있는 적기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한국 전통 질감에 대한 연구는 비대면의 상황에서 소외되기 쉬운 소재, 질감 그리 고 촉감에 관한 이론적 고찰이며 신소재가 아닌 이미 알려진 전통적 소재의 특성과 그 활용 행태에 대 한 재고로써 지역의 전통문화에 관심이 집중된 현재에 큰 의미가 있는 연구라고 사료 ...
TAG 전통, 전통소재, 질감, 촉감, 디자인, tradition, traditional materials, texture, touch, design
백색소음 중심의 몽타주 효과 연구 - 작품 <누구지>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
정우용 ( Jung¸ Woo Y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1호, 333~344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몽타주 제작에 있어서 백색소음의 긍정적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백색소음을 몽타주의 청각콘텐츠로 사용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의 작품 <누구 지>를 분석대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 작품의 내러티브와는 무관한 백색소음을 몽타주에 개입시켰을 때. 백색소음으로 인해 나타나는 영상의 특징과 몽타주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백색소음의 몽타주 활용 가능성을 확인한다. 몽타주에서 나타나는 백색소음의 구체적 성과에 접근하기 위해 샷별 구분에 의한 콘텐츠 구성의 내용과 몽타주 효과를 분석한다. 분석에 의하면, <누구지>의 몽타주에서 백색소 음은 다음과 같은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첫째, 현장음만으로는 충족하기 어려운 청각 미장센의 완성도를 강화할 수 있다. 둘째, 관객의 감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보편성과 개방성에 ...
TAG 몽타주, 사운드몽타주, 청각콘텐츠, 백색소음, montage, sound montage, auditory content, white noise
추상회화의 실존적 수용 과정에 관한 연구 -본인의 작업을 중심으로-
정윤영 ( Jeong¸ Yun Young ) , 김태진 ( Kim¸ Tae Jin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1호, 345~356페이지(총12페이지)
본 논문은 추상 회화에서 존재와 시간이 맺는 관계가 상호적으로 수렴되며 화면에 형상화되는 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오늘날의 시각 예술은 서로 다른 시· 공간의 다원성, 이질성, 혼성성의 특징을 보이며, 개별화하고 있다. 이 같은 동시대의 맥락 안에서 연구자의 작업은 혼성적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 직관적 방향성의 생성, 그것이 일종의 불확실성을 전제한 조형 언어로서 작동한다는 점이 다. 연구의 목적은 실존에 관한 관심에 기반하여 가시적인 것에 제한되지 않고, 현존을 드러내는 해방 공간으로서의 추상 회화를 다시금 고찰하며, 연구자의 작업에 담긴 인간의 미묘한 감성과 숭고한 정서 의 충돌이 공존하고 교차하는 과정을 추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계를 희석하는 새로운 종합의 틀을 제시하여 동시대 미술의 창조적 시각을 견인하는 개념을 차별화하기 위함이...
TAG 추상회화, 실존성, 사라짐, 중층성, abstract painting, existentiality, extinction, layer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