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농업사학회 AND 간행물명 : 농업사연구20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뒷간문화 전통지식의 현대적 활용에 대한 소고
윤유석 ( Yu Seok Yun ) , 강방훈 ( Bang Hun Kang ) , 김미희 ( Mi Heui Kim ) , 이상영 ( Sang Young Rhee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1] 제10권 제1호, 47~72페이지(총26페이지)
전통지식은 특정인이나 지역사회를 배경으로 형성되어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해 끊임없이 진화하면서 대대로 전승되어 오는, 즉 전통을 토대로 산업적, 과학적, 생태적, 문화적, 예술적 분야에서 지식활동의 결과를 생성된 기술 또는 창조물에 내재하는 지식체계이다. 오늘날 한국의 뒷간문화는 환경생태산업 분야와 문화예술 분야에서 현대의 생활환경에 적응해 새롭게 적용·활용되고 있다. 뒷간문화의 대표적인 전통지식으로는 환경생태를 보전하는 생활기술과 농사를 위한 비료를 만드는 생업기술을 들 수 있다. 여기에는 생태적인 자원순환원리와 발효과학이 내재되어 있다. 환경오염과 식품안정성이 현대사회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뒷간문화에 담긴 전통지식은 어느때 보다 그 활용 가치가 높은 자원이다. 뒷간문화에는 똥을 퇴비로 만들어 농사에 활용하는 생업기술과 음식물쓰레기, 농업부산물,...
TAG 한국문화, 뒷간, 전통지식, 생태산업, 문화산업, Korean Culture, Toilet, Dwit Gan, Traditional Knowledge, Eco Industry, Cultural Creative Industry
근대 수의전문기관의 설립과정과 역사적 의미 -수출우검역소와 우역혈청제조소를 중심으로-
심유정 ( Yu Jung Sim ) , 최정업 ( Cheong Up Choi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1] 제10권 제1호, 73~88페이지(총16페이지)
19세기말 가축교역이 잦았던 만주와 시베리아로부터 침입한 우역은 우리나라에 만연하게 되었다. 청일전쟁 이후 한반도에서 정치적, 경제적 지배권을 강화한 일본으로 한국의 질 좋은 많은 소들이 건너가면서 우역 등 가축전염병도 일본으로 전파되었다. 바다로 둘러싸인 일본은 우역의 침입경로를 한반도로 추정하고 수역조사소 소장이었던 도키시게 박사를 한반도에 파견하였다. 가축전염병 실태조사 결과 일본에서 발생한 우역이 한반도가 원인이라는 결론을 내렸고 일본으로 향하는 모든 소에 대해 검역이라는 절차를 거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1909년 대한제국 융희3년 7월 10일에 "수출우검역법"이 공포되었고 그해 8월 12일 부산 우암동에 농상공부 소속으로 수출우검역소가 설립되었다. 현지방역의 중요성에 따라서 일본 농상무성 소속의 우역혈청제조소를 1911년 부산에 설립하고 우역면...
TAG 근대수의전문기관, 수출우검역소, 우역혈청제조소, 동물검역, 가축위생연구, Modern Veterinary Institutions, Quarantine Service for Cattle Export, Rinderpest Antiserum Manufacture Institute, Animal Quarantine, Animal Health Research
연구논문 : 한국 줄다리기의 도작문화적 성격
서해숙 ( Hae Sug Seo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0] 제9권 제2호, 1~17페이지(총17페이지)
본 글은 줄다리기가 도작농경인 벼농사와 긴밀한 연계 속에서 형성되고 융성한 우리의 전형적인 민속문화임을 살폈고, 오늘날 마을 단위로 연행되는 줄다리기의 연행양상과 이에 드러난 줄다리기의 도작문화적 성격을 탐색하였다. 줄다리기는 줄의 재료가 전통적으로 볏짚인 만큼 벼농사를 짓는 지역에서만 가능한 놀이이다. 또한 서로 경쟁하며 즐기는 놀이성 외에 한해의 풍년을 기원하는 제의적, 주술적 행위가 강하다. 이러한 점은 줄다리기의 분포와 벼농사지역의 분포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줄다리기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 복합되어 오늘날의 줄다리기 형태로 전승되는 데는 조선조 후기의 농법 발달, 벼 재배기술의 발달이 주요했으며, 曆法에 따라 줄다리기가 크게 융성했을 것으로 파악하였다. 특히 조선조 후기 들어 이앙법 확산으로 벼의 수확량이 많아지면서 풍요를 기...
TAG 줄다리기, 민속문화, 도작문화, 농경생활, Tug of War with Straw-rope, Folk Culture, Rice Farming, Farming Life
연구논문 : 고려인삼(高麗人蔘) 재배(栽培) 기계기술(機械技術)의 도입(導入)과 발전(發展)
박우풍 ( Woo Pung Park ) , 이운용 ( Woon Yong Lee ) , 김현호 ( Hyun Ho Kim ) , 김상철 ( Sang Cheol Ki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0] 제9권 제2호, 19~38페이지(총20페이지)
山蔘 不足을 代替하기 위해 栽培하게 된 人蔘은 韓半島를 中心으로 週邊國인 中國과 日本, 沿海州 等 地域으로 傳播되어 나갔다. 高麗人蔘 栽培史에 따르면 1700年代 이미 人蔘栽培 農民들은 해 가림 栽培施設을 開發하는 등 人蔘栽培가 活潑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1800年代에는 人蔘의 種子選別法, 豫定地 및 本圃 管理 等 水準 높은 人蔘栽培技術들이 現場에서 活用되고 있었음을 여러 文獻들이 考證하고 있다. 朝鮮時代에는 畦(두둑)는 넓으나 고랑은 좁고, 畦(두둑)上面은 現代 栽培床에 比하여 넓으나 苗蔘 播種量은 적게 하는 傾向이었다. 본 밭의 移植密度는 栽培技術의 發達로 옛날에 比하여 약 2倍나 增加하였고, 해 가림 施設의 높이 現代 施設에 比해 다소 높았다고 記錄하고 있다. 最近 人蔘栽培 面積은 2000年 以後 每年 增加하여 2009年 現在 約 19,7...
TAG 고려인삼 재배기술, 高麗人蔘 栽培技術, 인삼기계, 人蔘機械, 이랑 조성기, 이랑 造成機, 인삼 파종기, 人蔘 播種機, 인삼 이식기, 人蔘 移植機, 인삼 방제기, 人蔘 防除機. 해 가림(日覆)시설(施設), 굴취(掘取)(수확(收穫))기(機), Korean Insam(Ginseng) Cultivation System, Insam Cultivation Machinery, Ridger, Insam Seeder, Insam Transplanter, Digger
연구논문 : 국화(菊花)의 품성(品性)과 효능(效能)에 대(對)한 문헌연구(文獻硏究)
김종덕 ( Jong Dug Ki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0] 제9권 제2호, 39~61페이지(총23페이지)
태양을 상징하기도 하고, 달의 음기(陰氣)를 상징하기도 한 국화는 동양의 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국화에 대하여 동양에서는 어떠한 시각으로 인식하였으며, 어떠한 효능으로 활용하였는지에 대하여 고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국화에 대한 품성을 한의학적 관점에서 파악하면 국화의 재배나 활용에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는 학문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국화에 대하여 고서를 정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보는 시각의 차이의 차이로 국화를 양기와 음기의 상징을 동시에 가진다. 사상의학에는 이러한 국화를 발산지기가 보명지주인 태음인에게 응용되고 있으며, 처방으로는 태음인의 청심연자탕(淸心蓮子湯) 등에 활용되고 있다. 둘째, 은둔을 의미하는 국화는 선비의 기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재앙을 피하는 의미로 이해되어 중양...
TAG 국화, 발산지기, 태음인식품, 사상의학, 중양절, Chrysanthemum, Exhale-dispersing Qi, Tae-eumin-foo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Junggu-il
연구논문 : 고농서에 나타나는 잡초방제 기술 고찰
김미희 ( Mi Heui Kim ) , 구자옥 ( Ja Ock Guh ) , 이상영 ( Sang Young Rhee ) , 노경희 ( Kyung Hee Roh ) , 강방훈 ( Bang Hun Kang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0] 제9권 제2호, 63~83페이지(총21페이지)
우리나라 조선왕조시대의 고농서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산림경제(山林經濟)」, 「과농소초(課農小抄)」, 「농가집성(農家集成)」, 「위빈명농기(渭濱明農記)」등에 단편적으로 기술된 잡초방제 관련 기술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농사의 성패요인 잡초, 풀매기[草자]와 다섯 벌레도적[蟲五賊], 김매기, 제초적기, 제초횟수, 화누법(火누法) 등 6종류로 대별되는 기술의 시사점을 분석하고, 현대농업적 타당성 등을 평가ㆍ검토하였다. 고농서에 소개된 전통적 잡초방제기술에서 가장 중요시 한 것은 제 때 즉, 적기이며, 각각의 기술은 현대의 자연생태적ㆍ친환경 농업에 가까우므로 합리적 해석으로 재조명하여 실용화와 응용이 가능하다.
TAG 고농서, 농업, 잡초방제, 김매기, 화누법, 전통지식, Old References, Agriculture, Weeds Prevention, Weeding, Insect, Worm
연구논문 : 천연염색(天然染色) 기술과 산업재산권(産業財産權) 분석
신진섭 ( Jin Seop Shin ) , 김대환 ( Dae Hwan Kim ) , 이유선 ( Yu Seon Lee ) , 송영훈 ( Young Hun Song ) , 문선희 ( Sun Hui Moon ) , 김미희 ( Mi Heui Ki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0] 제9권 제2호, 85~97페이지(총13페이지)
한민족은 전통적으로 주거지역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는 식물 및 광물을 이용하여 직물을 염색하여 사용하였으며, 복식의 형태와 색을 통해 계급을 나타내기도 했던 것으로 사료된다. 본 논문에서는 농촌진흥청이 발굴하고 국역한 고농서 국역본에 수록되어 있는 전통 천연염색 관련 내용을 소개하고, 천연염색 기술과 관련된 국내 특허출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기록으로 남아있는 염색관련 문화유산이 현대에 이르러 산업화되기 위해서 간과할 수 없는 산업재산권의 형태로 발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AG 천연염색, 전통지식, 특허분석, Natural Dyeing, Traditional Knowledge, Patent Analysis
연구논문 : 전통(傳統) 막걸리 제조기술(製造技術)의 동향(動向) 분석
이유선 ( Yu Seon Lee ) , 신진섭 ( Jin Seop Shin ) , 송영훈 ( Young Hun Song ) , 문선희 ( Sun Hui Moon ) , 이상영 ( Sang Young Rhee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0] 제9권 제2호, 99~111페이지(총13페이지)
한 민족의 식문화(食文化)가 담겨 있는 술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발전되어 왔으며 어느 민족이든 기후와 풍토에 맞는 독특한 양조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전통주(傳統酒)를 가지고 있다. 동북아시아에 자리 잡은 우리 민족은 일찍이 농경문화를 발전시켜왔으며 또한 철기가 보급되면서 본격적인 농경사회가 정착이 되었고 이와 더불어 곡식을 이용한 전통주들이 발달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농촌의 식음문화(食飮文化)를 이끌었던 막걸리를 중심으로 전통제법 및 역사, 전통음식으로서만이 아닌 전통지식으로서의 막걸리를 문헌자료와 한국전통지식포탈(KTKP)에 연계된 농촌진흥청(農村振興廳,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의 농업기술 데이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현대적인 분석방법을 통하여 막걸리에 대한 시장 및 기술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
TAG 막걸리, 전통지식, 특허동향분석, Makgeolli, Traditional Knowledge, Patent Map
연구논문 : 근대수의역사자료 번역 및 편찬활동 (1868-1938)
심유정 ( Yu Jung Sim ) , 이길섭 ( Kil Seob Lee ) , 소병재 ( Byung Jae So ) , 최정업 ( Cheong Up Choi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0] 제9권 제2호, 113~123페이지(총11페이지)
역사적으로 한국 정부기관에서 수의에 관련된 업무를 시작했던 시기는 고려(918~1392) 말로 당시 수의사의 역할은 군사용 말의 질병예방과 치료를 담당했었다. 근대에 들어와 설립된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의 모태인 수출우검역소와 우역혈청제조소는 1909년 한국에서 최초로 현대적인 수의업무를 수행한 정부기관이다. 가축질병을 연구하던 우역혈청제조소에서는 가축질병 연구 및 수의학 전반에 관한 많은 국내외 도서를 소장하고 관련 자료를 발간하였다. 현재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서는 1856~1945년 도서를 431종 3,347권(동양서 215종 1,431권, 서양서 216종 1,916권) 소장하고 있다. 2006년부터 일제강점기시대에 작성된 가축질병연구와 방역사항을 기술한 주요 수의서에 대해 활용도를 높이고, 보존을 강화시키기 위해 고서보존사업을 시작하였다. 대부분 일본 고...
TAG 가축질병, 가축전염병, 수의과학고서, 수의고서, 수의역사자료, 고서보존사업, 국역사업, 번역, 해제, 편찬활동, 고서원문데이타베이스, 수의사료관, Animal Disease, Animal Infectious Diseases, Old Veterinary Books, OVB, Veterinary Historical Archive, OVB Archive Project, OVB Translation Project, Republishing Historical V
연구논문 : 쓰다센(津田僊)의 『농업삼사(農業三事)』가 지니는 의의
구자옥 ( Ja Ock Guh ) , 김장규 ( Chang Kyu Kim ) , 한상찬 ( Sang Chan Han ) , 이길섭 ( Kil Seob Lee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0] 제9권 제2호, 125~154페이지(총30페이지)
『농정신편』의 저자인 안종수는 1881년 4월 10일부터 7월 2일까지의 4개월간의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 일원으로 일본에 파견되었다가 일본의 선진 농학자인 쓰다센(津田仙: 1837~1908)을 만나 그의 사상을 배우고, 그의 저서인 『농업삼사』(農業三事)를 구해 왔다. 이를 기초로 하여 안종수는 『농정신편』이라는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농학적 신농서(新農書)를 쓰게 되었고, 이를 발판으로 서양의 실험론적 농학기술과 사상이 우리나라에 소개된 것이다. 우리나라 종래의 전통·경험적 농학기술이 받게 되었던 충격은 이루 말할 수 없는 것이었다. 『농업삼사』는 일본의 농학자 쓰다센이 네덜란드의 농학자 Daniel Hooibrenk의 가르침을 받아 저술한 일본 최초의 서구식 농학서(農學書)라 할 수 있다. 책이 담고 있는 "농업의 3대 원리"를 저자는 자신...
TAG 안종수, 쓰다센의 농업삼사, 호이브렌크의 삼대법, 농정신편, 기통, 나뭇가지 구부림, 매조법, Ahn Jong Soo, Tsuda Sen, Hooibrenk`s Method of Cultivation Explained by Three Different Processes, Nong Jeong Shin Pyeon, 農政新編, Atmospheric Pipe Method, Incline Method, Artificial Fertilization Method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