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미술교육연구논총60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전시기획 활동 수업이 학습자의 미술비평능력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2학년 미술동아리를 중심으로
김수현 ( Kim Su-hyun ) , 김효정 ( Kim Hyo-jung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0권 145~174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전시기획 활동 수업이 학습자의 미술비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시기획 활동과 미술비평능력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전시기획 활동을 통한 미술비평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전시기획과 미술비평의 통합적인 활동을 동아리를 중심으로 양적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소재 D고등학교의 2학년 미술동아리 28명으로, 실험집단 14명과 통제집단 14명을 선정하였다. 학습주제는 ‘전시기획 활동을 통하여 미술작품 비평 확장하기’로 총 6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1차적으로 전시기획 활동 수업을 통해서 실험집단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2차적으로 전시를 토대로 한 미술비평 수업을 통해 전시기획 활동 수업이 일반적인 미술비평 수업을 한 통제집단과 비교했을 때 실험집단의 미술비평능력에 어떠...
TAG 전시기획 활동, 미술비평능력, 미술동아리,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Art-Criticism Ability, Art club
초등학교 어린이를 위한 성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사례와 수업안: ‘마이팝스튜디오 모델’의 평가기준을 중심으로
고동연 ( Koh Dong-yeon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0권 175~203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는 초등학교 연령대 어린이를 위한 성평등 관련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평등과 연관된 미디어 리터러시 국내의 연구가 주로 청소년에 한정되거나, 국어의 쓰기, 사회과학의 분석적인 태도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에 연구자는 문화예술교육, 특히 미술실습을 접목한 초등학교 연령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업계획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일차적으로 최근 미디어 리터러시에서 강조하고 있는 ① 즐거움, 놀이, ② 창조기술, ③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참여’ 등의 교육 효과 및 전략의 관점에서, 디즈니 영화, 국내 텔레비전 드라마, 이모티콘에 나타난 고정적인 성 관념을 다룬 세 가지 국내외 수업 사례들을 다루고자 한다. 위의 평가 기준은 미국의 템플대학 미디어교육랩(the Media Education Lab)이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 ‘마...
TAG 성평등 성미디어 리터러시, 초등학교 어린이 미술교육, 미디어 교육, Media Literacy on Gender Equity, Elmentary School Children, Arts Education, Media Education
상상력 학습에 기반을 둔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개발 - 국립중앙박물관 선사시대 관을 중심으로
류하영 ( Ryu Ha-young ) , 김형숙 ( Kim Hyung-sook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0권 205~226페이지(총22페이지)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고 영상 미디어 및 컴퓨터 그래픽(CG)이 발달함에 따라 사람들은 더 이상 알지 못하는 현상을 상상할 필요가 없어졌다. 텍스트와 예술작품을 수동적으로 감상하는 학생들은 주체적인 감상자가 아닌 방관자적 관찰자가 되어가고 있다. 한편, 박물관은 학생들의 상상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다양한 학습교재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으로 학생들은 유물을 관람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상상력을 기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들의 상상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국립중앙박물관 선사시대 관을 중심으로 상상력 학습에 바탕을 둔 박물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학생 51명을 대상으로 총 120분(4차시) 분량의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질적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학생들은 상상력이 신장하였으며 학습 흥미도 및 박물관 교육 프...
TAG 상상력, 상상력 학습,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imagination, imagination learning, museum education program
놀이를 주제로 한 현대미술 전시 관람을 위한 ACTIVITY CARD 개발 - 포스코 미술관 ‘예술, 그냥 즐겨’전(展)을 중심으로
김은진 ( Kim Eun-jin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0권 227~251페이지(총25페이지)
놀이는 합리적인 사고와 이성적인 삶의 방식을 강요하는 현대사회에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인간의 기능 중 하나 이다. 현대미술은 현실 속에서 주관적인 환상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즐거움을 이끌어냄으로 현대인의 파편화된 전체성을 회복시켜주려는 놀이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낯설고 생소한 형식의 현대미술은 일반인에게 오히려 난해하고 어렵게 느껴지기 쉽다. 놀이를 주제로 한 현대미술 전시에서 관람객들이 누구의 도움 없이 자발적으로 의미 있는 감상 체험을 하도록 돕는 교육 자료로 셀프가이드의 일종인 Activity Card를 실용적인 측면에서 개발하였다. Activity Card는 기존에 미술관에서 사용된 ‘워크시트’에 비해 놀이를 주제로 한 Group전시에게 관람객들에게 전시 기념품의 역할과 함께 개별 작가들의 고유성을 유지하면서 전시의 ...
TAG 미술관 교육, 현대미술, 놀이, 셀프가이드, play, modern art, appreciation, self-guide
미디어아트 전시에서 작품과 관람객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감각의 소통: 미디어 아트’ 전을 중심으로-
나선엽 ( Na Sun-youp ) , 안금희 ( Ahn Keum-hee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0권 253~275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는 시각이미지와 영상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얻고 전달하는 현대사회에서 관람객이 이미지를 이해하고 자신의 메시지를 시각적 미디어로 표현하여 소통하는 시각적 커뮤니이션 능력을 길러 주고자 한 취지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시뮬라크르의 개념을 미디어 아트와 관련지어 살펴보고, <감각의 소통: 미디어 아트>전에서 미디어 아트가 갖는 교육적 의미에 관해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소재 경인교육대학교 지누지움 전시실에서 2019년 10월 11일(금)부터 11월30일(토)까지 열린 <감각의 소통: 미디어아트>전을 중심으로 총 6개월간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은 2개월간의 전시기간동안 참여관찰을 실시하였고 전시 관람 후 심층인터뷰도 실시하여 미디어아트 작품을 통해 관람객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반응하는지 탐색하는 기회를 가졌다. 관람객 경험을 바탕으로 시뮬라크르...
TAG 감각의 소통, 미디어아트, 시뮬라크르, 들뢰즈, communication of senses, media art, simulacre, Deleuze
초등 미술수업에서 스마트폰 앱 ‘퀴버’를 활용한 3D 증강현실 애니메이션 교육 방안
황연주 ( Hoang Youn-ju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0권 277~308페이지(총32페이지)
증강현실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떠오르는 핵심 기술 중의 하나이다. 이것은 몇 년 전 포켓몬고 열풍과 더불어 일반 대중에게 많이 알려졌으며,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과 컴퓨터 그래픽 기술 등의 발달과 더불어 게임, 의료, 방송, 쇼핑, 교육 등 여러 산업영역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학교교육에서도 증강현실이 공감각적 학습환경으로 생동감 있는 체험을 유도하여 이에 기반한 스마트 교육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미술영역에서도 종래의 비디오아트, 컴퓨터아트 등과 같이 뉴미디어 작가들에게 새로운 창작 도구로 활용되어지고 있다. 증강현실은 단순히 3D 컴퓨터 그래픽에 의한 가상의 이미지로만 이루어진 가상현실과 달리 현실세계를 기반으로 한 가상세계의 혼합이기 때문에 이전에 없었던 새로운 영상 표현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화해가는 시각문화 환경...
TAG 증강현실, 애니메이션, 스마트폰 앱, 미술교육, augmented reality, animation, smartphone apps, art education
포스트휴먼 시대 디지털 감성으로 접근하는 미술교육
박수정 ( Park Su-jeong ) , 이미희 ( Lee Mi-hee ) , 전수현 ( Jeon Soo-hyeon ) , 이하림 ( Lee Ha-rim ) , 송명길 ( Song Myung-kil ) , 이주연 ( Lee Joo-yon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9권 1~36페이지(총36페이지)
제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포스트휴먼 시대에 변화를 이끄는 주된 동력으로 언급되는 디지털은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매체로서 뿐만 아니라 현대인의 삶에 있어 필수적인 구성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로 인하여 인간이 인간으로서 가져야 하는 정체성이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이 시작되었으며, 이에 인간이 지닌 고유의 정체성으로서 ‘감성’이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디지털 감성’은 감성이 강조되면서 함께 논의되는 바, 그 사용 의도와 목적에 따라 정의 및 해석이 다양하고 협소하여 정확한 개념 정립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시대 디지털 기술과 융합된 인간성의 확장이라는 점에서 또한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정체성으로서 디지털 감성이 무엇인지 그 개념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으며, 미술 및 미술교육에서 필요로 하는 디지털 감성 핵심 키워드의 추...
TAG 디지털, 디지털 감성, 감성교육, 포스트휴먼 시대, 미술교육, digital, digital sensibility, sensibility education, post-human era, art education
생각하는 기계 시대에서 미술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고찰: 존재성찰과 해석적 대화를 중심으로
강병직 ( Kang Byoung-jik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9권 37~61페이지(총25페이지)
이 연구는 생각하는 기계가 인간의 고유 영역 안에 들어오고 인간을 넘어서는 위기를 경험하는 시대에, 인간 존재의 흔들림에 대한 대안으로서 미술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탐구이다. 연구를 위해 컴퓨터과학을 중심으로 한 인공지능 연구에서의 인간론과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로티로 이어지는 존재와 교육의 의미를 분석하고 현대에서의 미술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인간이란 객관화된 그 무엇으로 규정될 수 없는 자기에 대한 존재 물음을 통해 스스로의 인간됨을 찾아가는 존재이며, 미술교육은 이러한 존재에 대해 성찰함으로써 새로운 인식의 지평으로 나아가도록 하는 해석학적 대화라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생각하는 기계의 시대에 미술교육은 이미지를 통한 미학적 맥락 안에서 존재에 대한 성찰과 세계에 대한 해석적 대화가 일어나는 인식의 실천적 공간이라 할 수 있...
TAG 생각하는 기계, 인간, 미술 교육, 존재성찰, 해석적 대화, thinking machine, human, reflection on being hermeneutical conversation, art education
한국미술교육에 나타난 후기모더니즘적 성향과 정체성에 관한 비평적 연구
장준석 ( Jang Jun-seok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9권 63~80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미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후기모더니즘을 미술교육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는 데 있다. 따라서 후기모더니즘 담론이 지니고 있는 교육적인 현상을 고찰하고, 기존 교육과정과 새로운 탐구 학습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후기모더니즘 이론을 확대 해석하고 비평적 관점을 견지하였던 1980년 이후의 이론들에서 교육적인 영향관계를 정리·분석함은 한국미술교육의 한 부분을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고 체계화시키는 일이다. 이를 위해 먼저 후기모더니즘의 틀에서 정체성을 형성·발전시킨 미술 교육의 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미술교육의 중심을 정체성에 두고 미술교육이 보다 체계적으로 융화·발전해가는 현상을 살펴보았다. 후기모더니즘과 후기구조주의 시대의 정체성의 방향과 특징 등을 미술교육과 관련 자료들을 통해 학술화 및 체계화시키는 것은 매우 ...
TAG 후기모더니즘, 한국 미술, 정체성, 미술교육, 비평적 관점, Postmodernism, Korea Art, Internationality, Art Education, Critical persp
관찰을 통한 단계적 수묵채색화 수업사례 연구
박영대 ( Park Young-dae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9권 81~106페이지(총26페이지)
수묵채색화는 길고 부드러운 모필을 이용하여 다양한 필획과 먹의 농담 변화로 표현할 수 있는 회화양식이다. 물이 번지고 스미는 작용은 경이롭지만 표현방법과 기능이 익숙하지 않아 학생들을 당황하게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과서에는 주로 농담을 단계적으로 나타내어 그리는 기술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만 표현의 다양성을 저해한다. 이 연구는 대나무, 돌, 사과를 관찰하여 스스로 필법, 묵법, 채색법을 단계적으로 익히고 나서 자신이 선택한 대상에 응용하여 작품을 완성하는 수업사례를 정리한 것이다. 이 수업의 교육적 의의는 첫째, 관찰을 통해 대상이 갖고 있는 특성과 의미를 탐구할 수 있었다. 둘째, 단계적 표현으로 스스로 작품을 완성하면서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다. 셋째, 기술적인 재현보다 대상에 자신을 투영하여 표현할 수 있었다. 넷째, 자기이해 혹은 공감과 ...
TAG 관찰, 단계적 그리기, 수묵채색화, Observation, Stepwise painting, Sumuk-color painting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