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농림기상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71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논문 : 한국 하리 논에서의 2002년 생장기간의 CO2와 에너지의 교환
문병관 ( Moon Byung Kwan ) , 홍진규 ( Hong Jin Gyu ) , 이병렬 ( Lee Byeong Lyeol ) , 윤진일 ( Yun Jin Il ) , 박은우 ( Park Eun Woo ) , 김준 ( Kim Joo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03] 제5권 제2호, 51~60페이지(총10페이지)
한국 내 농경지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는 논은 아시아의 주요 농업 생태계의 하나이다. 논은 대기로부터 CO₂를 흡수함과 동시에 CH₄형태로 탄소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데, 관개 상태에 따라 흡수와 방출의 상대적 크기가 달라져서 온실 기체의 전구 수지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온실 효과와 관련하여 논의 현재 및 미래의 역할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농업 생태계에서의 CO₂와 에너지 교환을 정량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벼의 전체 생장 기간동안 한국의 전형적인 논에서의 에너지와 CO₂ 교환과정을 관측,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2002년 4월부터 한국 타워 플럭스 관측 지역망(KoFlux)에 속한 강화도 하리의 논에서 CO₂ 및 에너지 플럭스 관측을 지속적으로 해오고 있다. 다양한 보정 단계와 처리 과정을 ...
TAG rice paddy, CO2 flux, net ecosystem exchange, KoFlux, AsiaFlux
논문 : 한국 해남 농경지와 대기간의 에너지와 이산화탄소의 지표 교환
이희춘 ( Lee Hui Chun ) , 홍진규 ( Hong Jin Gyu ) , 조천호 ( Cho Chun Ho ) , 최병철 ( Choi Byoung Cheol ) , 오성남 ( Oh Sung Nam ) , 김준 ( Kim Ju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03] 제5권 제2호, 61~69페이지(총9페이지)
육상생태계와 하층 대기와의 상호작용 및 환경변화에 대한 생태계의 반응을 정량적을 이해하기 위하여 2002년 7월부터 논가 밭이 혼합되어 있는 해남(FK) 관측지에서 이산화탄소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관측 초기에는 안정된 자료 확보르 위하여 에디 공분산 시스템의 유지 관리를 중점적으로 추진하였다. 30분 평균된 이산화탄소 평균 농도와 순 생태 교환량(Net Eco-system Exchange)은 뚜렷한 일변화와 함께 계절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낮 시간의 이산화탄소 플럭스는 8월에 최대 1.0mg CO₂m^(-2)s^(-1)의 흡수률이 관측되었고, 야간에는 최대 0.3mg CO₂m^(-2)s^(-1)정도의 이산화탄소가 대기중으로 방출되었다. 이산화탄소 흡수량과 방출량 모두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겨울철에는 거의 0에 가까운 값이거나 0.05mg CO₂m...
TAG CO2 measurement, eddy covariance system, net ecosystem exchange, farmland
논문 : 2002년 여름철 경사진 광릉 낙엽 활엽수림에서의 이산화탄소 교환
최태진 ( Choi Tae Jin ) , 김준 ( Kim Jun ) , 임종환 ( Lim Jong Hwa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03] 제5권 제2호, 70~80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KoFlux 네트워크 타워 관측소의 하나인 광릉 낙엽 활엽수림에서 최초로 직접 관측된 이산화탄소 플럭스를 보고한다. 2002년 6월부터 8월까지 에디 공분산 시스템을 다른 기상 관측 기기들과 함께 30m 타워에 설치하였다. 관측 장소가 계곡과 같은 경사지에 위치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측된 난류 특성이, 제한된 풍향(즉, 90±45˚)의 경우, 평평하고 균질한 이상적인 장소에서 관측된 것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관측 자료 회수율은 비록 낮았으나, 분석된 예비 결과는 고무적이고, 연구해야 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류 항을 무시하면, 생태계의 순 CO₂ 교환(NEE)은 6월에서 8월까지 약 -1.2에서 0.7mg m^(-2)s^(-1)의 범위를 보였다. 약한 난류가 야간 NEE에 미치는 효과를 마찰 속도(U*) 및 저류...
TAG Net ecosystem exchange, CO2 flux, Forest, Eddy covariance, Hilly terrain, KoFlux
논문 : 침엽수림에서 토양열 플럭스의 공간 변화
박윤호 ( Park Yun Ho ) , 이병렬 ( Lee Byeong Lyeol ) , 조경숙 ( Cho Kyung Sook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03] 제5권 제2호, 81~86페이지(총6페이지)
침엽수림에서 토열 플럭스의 공간변화를 미기상관측을 통해 조사하였다. 일평균 최대 하향단파복사(Rs_(dn))과 순복사 (Rn)는 약 260 Wm^(-2)와 180Wm^(-2)였다. 7월 중순에서 8월 중순 사이의 일평균 토양열 플럭스는 대체로 순복사의 10%였다. 연구기간동안 측정된 토양열 플럭스 (G_(6))와 계산된 토양열 플럭스 (G)와의 오차는 2% 이내였다. 열 저류항에 의한 최대 플럭스의 지연이 관측되었다. 이러한 열 저류항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약 10에서 15Wm^(-2)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TAG spatial variability, soil heat flux, heat storage, Net radiation
논문 : 광릉 천연활엽수림의 낙엽낙지와 낙엽분해에 따른 양분동태
김춘식 ( Kim Chun Sig ) , 임종환 ( Lim Jong Hwan ) , 신준환 ( Shin Joon Hwa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03] 제5권 제2호, 87~93페이지(총7페이지)
산립생태계에서 낙엽낙지의 유입과 유입된 낙엽낙지의 분해는 산림의 주요한 탄소 및 양분의 공급원이다. 본 연구는 온대중부지역에 속하는 경기도 광릉의 천연활엽수림에 위치한 DK-site를 대상으로 2년 동안 연낙엽낙지 유입량가 낙엽분해율을 측정하였다. 낙엽낙지량은 원형의 낙엽수집기(수집면적 0.25㎡)를 낙엽분해율은 30×30 cm 크기의 낙엽분해주머니(메쉬 1.5mm)를 이용하였다. 광릉 장기생태연구조사구의 연 낙엽낙지량은 5.627 kg/ha/yr으로 이중 순수한 엽량은 총 낙엽낙지량의 61%를 차지하였다. 수종별 유입량은 본 조사구의 우점종인 졸참나무 잎이 가장 많은 양을 보였으며 서어나무, 까치박달 순이었다. 낙엽분해율은 서어나무, 까치박달 낙엽이 졸참나무 낙엽에 비해 분해속도가 빨라 2년의 조사기간 동안 까치박달 낙엽 84%, 서어나무 낙엽 77%...
TAG litterfall, litter decomposition, DK site, nutrient cycling
논문 : 폐회로 역학 챔버 시스템을 이용한 토양 이산화탄소 플럭스 관측
채남이 ( Chae Nam I ) , 김준 ( Kim Jun ) , 김동길 ( Kim Dong Gil ) , 이도원 ( Lee Do Won ) , 김래현 ( Kim Lae Hyeon ) , 반지연 ( Ban Ji Yeon ) , 손요환 ( Son Yo Hwa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03] 제5권 제2호, 94~100페이지(총7페이지)
토양으로부터의 CO2 방출은 생태계의 탄소 순환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주요 생태계의 순 CO2 교환과 일차 생산량 등을 정확히 산출하려면 군락 CO2플럭스와 더불어 토양 CO2 플럭스의 관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닫힌 역학 챔버 시스템을 활용한 토양 이산화탄소 플럭스의 관측 방법을 간략히 검토하고, 한반도 주요 생태계에 구축된 한국 타워 플럭스 관측 지역망(KoFlux)의 거점 관측소에에서 예비 관측된 결과와 서로 다른 관측 시스템간의 상호 비교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TAG soil CO2, flux, chamber method, forest, rice paddy, KoFlux
논문 : 광릉 활엽수천연림의 산림식생구조, 입지환경 및 탄소저장량
임종환 ( Lim Jong Hwan ) , 신준환 ( Shin Joon Hwan ) , 김광택 ( Kim Gwang Taeg ) , 천정화 ( Chun Jung Hwa ) , 오정수 ( Oh Jeong Soo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03] 제5권 제2호, 101~109페이지(총9페이지)
연구대상지인 광릉시험림은 한반도의 중서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온대활엽수림대에 속한다. 광릉시험림 내소리봉(533.1m) 주변에 1 ha(100m × 100m) 면적의 영구조사지아 플럭스 타워를 설치하였으며 KLTER(한국장기생태연구 네트워크) 연구대상지인 동시에 KoFlux DX-site 연구대상지로 지정되어 있다. 영구조사지에 대해 개체목 위치도를 구축하고 임분의 구조와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비롯한 임분구성요소(바이오매스, 토양, 낙엽 등)의 탄소수지를 분석하였다. 이 지역에서의 우점수종은 졸참나무, 서어나무이었으며 갈참나무, 까치박달 등이 함께 자라고 있다. 임분조사 결과 흉고직경 2cm 이상인 임목의 밀도는 1,473본/ha 이었고, 바이오매스량은 261.2톤/ha, 흉고단면적은 28.0㎡이었다. 모암은 화강편마암으...
TAG KoFlux DK site, vegetation, biomass, carbon budgets, LAI, forest stand structure
논문 : 검단산 한계농지에서의 토양발생 CO2 및 질소 유효도
손요환 ( Son Yo Hwan ) , 반지연 ( Ban Ji Yeon ) , 김래현 ( Kim Lae Hyeon ) , 김준 ( Kim Ju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03] 제5권 제2호, 110~115페이지(총6페이지)
한계농지 토양 내의 탄소와 질소의 동태에 관한 연구는 적절한 연구 대상지의 부족으로 지금까지 폭 넓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근처의 검단산 일대에서 지속적으로 산림이었던 지역, 과거 논을 이용되었던 지역, 과거 밭으로 이용되었던 지역, 과거 논으로 이용되었던 지역 등 세곳의 연구 대상지를 선정하고 여기에서 2002년 7월 25일부터 2003년 1월 24일까지 토양 발생 CO₂와 무기태 질소의 유효도를 측정하였다. 현재 지속적으로 산림이었던 지역가 과거 논으로 이용되었던 지역은 낙엽활엽수림이고, 과거 밭으로 이용되었던 지역은 낙엽성 관목이 주 식생을 이루고 있다. 토양 발생 CO₂는 토양 온도의 계절적 변화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기간동안 토양 발생 CO₂량 (g CO₂/㎡/ha)의 평균은 각각 과거 논으로 이용되다 산림으로 변한 ...
TAG abandoned agricultural fields, nitrogen availability, soil CO2
논문 : 태국 Tak 플럭스 관측소의 실시간 자료 감시 및 모사 시스템
김원식 ( Kim Won Sig ) , 김형준 ( Kim Hyeong Jun ) , 김준 ( Kim Jun ) , 아가타야스시 ( Yasushi Agata ) , 미야자끼신 ( Shin Miyazaki ) , 오끼타이깐 ( Taikan Oki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03] 제5권 제2호, 116~127페이지(총12페이지)
태국 북서부의 Tak 지방에 KoFlux(Korean Flux Network) 연구의 일환으로서 플럭스 관측소(Tak flux measurement, TFM site)가 설립되었다. 이곳에서 이산화탄소와 물, 그리고 에너지 플럭스를 관측하기 위해 와공분산시스템(eddy covariance system)을 적용하였으며 관측된 자료는 실시간 자료 감시 및 모사 시스템(Real time monitoring and simulation system, RTMASS)을 이용하여 처리되어 전송된다. RTMASS는 KoFlux-DIS(Data information system)의 핵심 구조이고 원격지 시스템과 중앙 시스템으로 나누어지며 자료의 수집 및 전송, 자료의 저장 및 처리가 본 시스템의 주된 기능...
TAG eddy covariance technique, KoFlux, RTMASS, Tak flux measurement site, TFM site
논문 : 순복사계의 야외 상호 비교 및 보정
문병관 ( Moon Byung Kwan ) , 류상범 ( Ryoo Sang Boom ) , 윤용훈 ( Youn Yong Hoon ) , 임종환 ( Lim Jong Hwan ) , 김준 ( Kim Ju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03] 제5권 제2호, 128~137페이지(총10페이지)
순복사는 지표 에너지 수지의 가장 근본적인 요소중 하나이다. 순복사의 정확한 관측을 위해,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순복사계 보정이 요구된다. 플럭스 관측에 널리 사용되는, 두 가지 타입의 대표적인 순복사계(Q-7.1과 CNR1)의 상호 비교 및 보정 실험이 약 4개월 간격으로 두 차례 시행되었다. Q-7.1과 CNR1간의 차이는 7.7% 이내였고, 표준 기기와의 보정 후 오차는 3.2% 이내였다. 순복사계의 반응 차이와 보정계수는 대기 상태, 특히 계절 변화에 따른 온도 차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주기적으로 보정된 Q-7.1은 CNR1을 대체하여 장기 관측에 사용될 수 있고, 보정 주기로는 4-6개월이 권장된다.
TAG net radiation, field calibration, intercomparison, net radiometer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