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AND 간행물명 : 동아시아불교문화64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특집 1 : 현대(現代) 한국불교(韓國佛敎)의 동향(動向)과 과제(課題)
강동균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동아시아불교문화 [2007] 제1권 101~117페이지(총17페이지)
한국불교의 특징은 선종만이 진정한 불교라는 것이다. 이것은 현대 한국불교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전제해야 할 사항이다. 新羅末에 전래된 선종은 오교구산을 형성하여 고려시대의 선종의 융성에 기틀이 되었다. 고려 중기 무신정권 아래에서 이루어진 知訥의 定慧結社는 한국불교적인 특색을 갖춘 선종인 조계종으로 발전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일관된 배불숭유 정책으로 인해 이전에 존재하던 모든 종파가 조계종으로 통합되었다. 그 이후 한국불교는 실질적으로 曹溪宗 一色이라도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 조계종과 태고종 이외에도 40 여개의 불교종단이 있지만, 모두가 신흥종단이다. 그 신흥종단 가운데에서도 교세가 신장일로에 있는 천태종, 진각종은 교세가 인정되지만, 그 외의 종단은 매우 미미하다. 그 조계종이 시종일관 선종의 입장에서 깨달음의 불교만이 진정한 불교라고 주장하기 때...
TAG 한국불교, 한국불교의 특징, 한국불교의 과제, 비구대처분쟁. 한국의 불교단체, 불교방송국, 불교잡지, 韓國佛敎, 韓國佛敎の特徵, 韓國佛敎の 課題. 韓國の佛敎團體, 佛敎放送局, 佛敎雜誌
특집 2 : 동아시아 불교와 현대문명의 만남
유승무 ( Seung Mu Lew ) , 박수호 ( Su Ho Par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동아시아불교문화 [2007] 제1권 121~144페이지(총24페이지)
오늘날 비서구-불교문화권 사회가 근대의 문화적 기획으로부터 동떨어져 존재할 수 없으며, 근대적 문화기획으로 인해 초래된 현대사회의 심각한 구조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 모색이 절실하다는 점에서 불교와 근대성의 만남을 검토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불교와 근대성이 조우하는 유형을 검토하고, ``참여불교``를 통해 실험되고 있는 ``또 다른`` 만남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후 불교와 근대성의 동아시아적 만남의 미래를 근대성이 동아시아 불교에 미치는 영향과 근대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동아시아 불교의 대응이라는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근대성,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계화 및 과학기술의 발전과 조우한 동아시아 불교는 호국불교, 기복불교라는 기존의 특성을 점차 잃어갈 것으로 전망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서구의 근대 기획이 초래한 다양한 사회구조적...
TAG 불교와 근대성의 만남, 참여불교, 근대성, 다중적 근대성, encounter of Buddhism and modernity, Engaged Buddhism, modernity, Multiple modernity
특집 2 : 근대 중국불교의 부흥운동과 여성
조승미 ( Seung Mee Ch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동아시아불교문화 [2007] 제1권 145~181페이지(총37페이지)
본 논문은 근대 중국의 불교부흥운동이 여성에게 어떤 조건을 제공하고,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고찰하고, 한편으로는 불교부흥에 있어서 여성들의 주체적인 면을 발굴하여서, 근대불교와 여성의 관계 혹은 불교여성에게 근대는 어떤 의미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여성에 대한 불교부흥운동의 성격은 청말기 음란한 비구니에 대한 정치세력의 조사와 처벌사건이 상징하듯이, 타락하고 무지한 불교여성을 수행과 교육을 통해 계몽하고자 하는 방향에서 설정되었다. 우선, 청말의 楊文會는 여성들을 위한 경전과 계본을 수집, 발간, 유포함으로써 여성수행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출판사업을 통한 여성수행의 장려는 진화법사의 『續比丘尼傳』간행이 정점이었다. 또한 많은 여성수행단체가 결성되고 활동도 활발하였는데, 이와 같은 여성수행문화가 빠르게 확산되는 데에는 『海潮音』같은 불교 잡지들의 역할...
TAG 속비구니전, 續比丘尼傳, 무창여자불학원, 武昌女子佛學院, 무창불학원여중원, 武昌佛學院女衆院, 장성혜, 張聖慧, 항보, 恒寶, 여벽성, 呂碧城, 근대불교, 동아시아불교, 중국불교여성, 천족반대운동, 여성교육, A sequel to Biographies of Chinese Buddhist nuns, Wuchang Women`s Buddhist School, Women`s Institute of Wuchang Buddhist School, Zhang Shen
특집 2 : 한일불교(韓日佛敎)와 생명윤리(生命倫理) -낙태(落胎)를 둘러싼 한일불교(韓日佛敎)의 생명문화(生命文化)와 그 기저(基底)-
윤종갑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동아시아불교문화 [2007] 제1권 183~221페이지(총39페이지)
본 논문은 낙태에 관한 佛典의 기본적인 교리를 바탕으로 하여 오늘날 한일 두 나라의 불교계에서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는 ``胎兒靈駕薦度齋``와 ``水子供養``을 중심으로 생명문화의 전통과 현황, 그리고 접근방법 등을 생명윤리의 관점에서 비교론적으로 살펴 본 것이다. 한국불교의 ``태아영가천도재``와 일본불교의 ``수자공양``은 낙태아에 대한 추모공양과 낙태한 신도의 죄업을 소멸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근래에 도입된 것이다. 그런데, 낙태(임신중절)된 태아(유산을 포함)만을 대상으로 하며, 낙태아(죽은 자)와 그 산모(산자)를 독립적 개체(이원적 존재)가 아닌 하나의 개체(일원적 존재)로서 파악한다는 점에서 생명윤리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태아영가천도재``는 영가의 명복을 1차적인 목적을 두고 있는데 반해, ``수자공양``은 낙태를 행한 ...
TAG 한일불교, 생명윤리, 낙태, 임신중절, 태아영가천도재, 수자공양, 韓日佛敎, 生命倫理, 落胎, 姙娠中絶, 胎兒靈駕薦度齊, 水子供
특집 2 : 생태적 삶의 태도로서 "동일시"와 "동체자비"
안옥선 ( Ok Sun A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동아시아불교문화 [2007] 제1권 223~249페이지(총27페이지)
이 논문은 심층생태학자 네스(A. Naess)의 ``동일시(identification)``와 불교의 ``동체자비(同體慈悲)``를 비교·검토함으로써 두 개념 간 유사성을 밝힌다. 동일시는 우주의 모든 존재를 자신으로 간주해 감으로써 그들을 자신처럼 존중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시의 대상을 확장시켜 감으로써 개체적 자아인 작은 자아(self)는 큰 자아(Self)가 된다. 동체자비는 모든 존재의 상호의존적 실상을 인식하고 그들을 자신으로 여겨 자신처럼 보살피는 것을 의미한다. 이 논문에서 밝히는 동일시와 동체자비의 유사성은 다음과 같다. 동일시와 동체자비는 ``우주의 모든 존재는 유기적으로 연관된 하나``라는 전일적 존재론(holistic ontology)에 근거한 인지적 실천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정서적 공감도 중시한다. 동일시와...
TAG 전일적 존재론, 심층생태학, 동일시, 동체자비, 同體慈悲, 네스, Naess, 자아실현, Self-realization, 미적 행위, 자타상환법, 自他相換法, 연기, 緣起, 인드라망
 61  62  63  64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