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새국어교육190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한국인 학부생과 외국인 학부생의 서술형 답안 작성 양상 연구
서희정 ( Seo Huijeong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2권 293~334페이지(총42페이지)
목적: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학부생과 외국인 학부생이 작성한 서술형 답안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 학부생의 답안 작성에 필요한 교육 내용을 제안하는 데 목적은 둔다. 방법:한국인 학부생 62명의 논증형 답안 180편, 설명형 답안 182편과 외국인 학부생 62명의 논증형 답안 181편, 설명형 답안 175편을 내용, 구조, 언어 사용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결과:외국인 학부생의 서술형 답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지시문이 요구하는 핵심 내용에 선·후행하는 시작 부분과 마무리 부분의 내용이 동일한 경향이 있으며, 핵심 내용이 누락된 답안은 설명형 답안에서 두드러졌다. 관계적 응집성 측면에서는 논증형 답안에서 설명 관계의 사용률이 높으며, 설명형 답안에서는 예시관계의 사용률이 낮았다. 지시 대명사 ‘이, 그’, 지시 관형사 ‘이러한’의 사용률은 낮으며...
TAG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시험 답안 작성, 논증형 답안, 설명형 답안, 응집성, 응결 장치,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writing exam answers, argumentative answer, explanatory answer, coherence, cohesive devices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과거시제선어말어미 결합 용언 처리에 대한 점화 실험 연구
이선진 ( Lee Sunji ) , 임우열 ( Lim Wooyeol ) , 김영주 ( Kim Youngjoo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2권 335~378페이지(총44페이지)
목적:본 연구는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과거시제선어말어미 결합 용언 처리기제가 전체목록가설, 완전분해가설, 혼합가설 중 어떤 가설을 지지하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고급 학습자 72명을 대상으로, SOA 43ms와 230ms 점화 어휘판단 과제와 교차양상점화 과제를 실시하여 표적 단어에 대한 반응 시간 및 정답률을 살펴보았으며, 작업 기억 과제를 실시하여 작업 기억이 반응 시간 및 정답률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결과:SOA 43ms와 230ms 과제의 고빈도 및 저빈도 어간에서, 교차양상점화 과제의 저빈도 어간에서 전체목록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였으나, 교차양상점화 과제의 고빈도 어간에서 완전분해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어서 학습자의 작업 기억 영향은 SOA 230ms 점화 어휘판단 과제에서의 정답률에서만 나타났다. 결론:한국어...
TAG 어절 처리, 점화 어휘판단 과제, 교차양상점화 과제, 전체목록가설, 완전분해가설, 작업 기억, 결합용언, 과거시제선어말어미, priming lexical decision task, cross modal lexical decision task, full-list hypothesis, decomposition hypothesis, working memory
한국어 L1 화자와 L2 학습자의 문장 내 조응어 해결 연구
이유미 ( Lee Yumi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2권 379~409페이지(총31페이지)
목적:본 연구는 한국어 L1 화자와 고급 한국어 L2 학습자의 문장 내 조응어 해결을 관찰하여 접합면 가설을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한국어 L1 화자 22명, 고급 한국어 L2 학습자 20명을 대상으로 선행사 선택 과제를 진행하였다. 조응의 방향과 대명사의 형태를 달리한 네 가지 조건의 종속문에서 집단 간 선행사 선택의 차이를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순행 조응-영 대명사 조건과 역행 조응-외현적 대명사 조건에서 집단 간 선행사 선택에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순행 조응-영 대명사 조건은 [±주제 전환] 의 분석에서 조응어 해결 전략의 차이로 보기 어려웠고, 역행 조응-외현적 대명사 조건은 한국어의 통사적 제약에 대한 습득 결과로서 접합면 가설의 근거로 보기 어려웠다. 결론:한국어의 담화 중심 언어의 특성과 학습자의 L1(...
TAG 제2언어 습득, 접합면 가설, 영 주어 언어, 조응어 해결, 언어 간 영향,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terface hypothesis, null subject language, anaphora resolution, cross-linguistic influence
『을병연행록』 연구 -『연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임명걸 ( Ren Mingjie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2권 411~432페이지(총22페이지)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담헌 홍대용(洪大容 1731~1783)의 국문 연행록 『을병연행록』에 대해 살펴보고 이 텍스트의 특징과 의의를 밝혀보고자 한다. 방법:그의 연행기록은 한문으로 된 『연기』와 『건정동필담』 두 편과 국문으로 된 『을병연행록』 3부작으로 이루어졌다. 그의 한문본 연행록과 비교해본 결과 상세한 일정과 풍부하고 방대한 내용들로 구성된 『을병연행록』은 기사체로 된 한문본 연행록 『연기』에 비해 결코 손색이 없으며 연행록으로서의 보편적 의미와 함께 국문본이라는 독특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결과:일기체로 된 『을병연행록』을 통해 담헌의 화이관의 변화와 북학 사상의 변화과정을 엿볼 수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 한글본 책들이 주로 여성들에게 읽혀졌다는 통념아래 『을병연행록』도 여성들의 관심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견해는 재고되어야 한다. 또한 한글독자들이...
TAG 홍대용, 『을병연행록』, 연행록, 국문연행록, 여성교양, Hongdaeyong, Eulbyeongyeonhaengrok, Yeonhaengrok, Korean Yeonhaengrok, Women’s Education
국어과 화상 수업에서 심리적 불편함에 대한 학습자 표현의 개선 방안
구영산 ( Goo Youngsa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21권 7~35페이지(총29페이지)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건강장애 학생 대상의 국어과 온라인 화상 수업에서 학습자의 심리적 불편함이 어떠한 방식으로 표현되는지를 고찰하는 데에 있다. 방법:이를 위해 전국의 13개 시·도 교육청 소속의 건강장애 학생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의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수업 65차시를 연구 자료로 선정하였다. 한 학기 동안의 학생들 심리를 추적관찰 하기 위하여 모든 자료를 순차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심리적 불편함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표현을 범주화한 뒤 분석하였다. 결과:수업 중 발생하는 심리적 불편함에 대한 학습자의 대응 표현을 기술한 뒤, 우선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할 문제적인 현상으로 무리 지어 말하기와 표현 권한 포기하기에 대하여 국어교육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결론: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어과 화상 수업을 처음 접하는 초등학교 1학년 건강장애 학생들...
TAG 국어 수업, 온라인 화상 수업, 건강장애 학생, 심리적 불편함, 표현, 수업 대화, Korean language arts class, Online class, Health-impaired students, Psychological discomfort, Expressions, Classroom discourse
인지적 공감을 촉진하는 교육토론의 기제
박재현 ( Park Jae-hyu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21권 37~66페이지(총30페이지)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인지적 공감을 촉진하는 교육토론의 기제를 밝히는 것이다. 방법:교육토론과 인지적 공감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공감의 차원에 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또한, 교육토론의 원리 중 인지적 공감을 촉진할 수 있는 기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120명의 토론 참여자를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를 시행하였으며, Nvivo1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노드 구조로 위계화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인지적 공감을 촉진하는 교육토론의 기제로는 양면 조사를 통한 관점수용 기제, 편향동화와 확증편향의 극복 기제, 상대의 시점에서 자기를 반박하는 자기성찰 기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이 연구를 통해 교육토론이 학습자의 인지적 차원의 공감을 촉진하는 데 기여함을 논의하고, 이러한 양상을 학습자의 진술을 통해 구체적으...
TAG 교육토론, 토론 교육, 토론 경험, 공감, 인지적 공감, 공감 교육, academic debate, debate education, debate experience, empathy, cognitive empathy, empathy instruction
미적 태도를 통한 문학교육 시론
오리사 ( Oh Lisa ) , 윤재웅 ( Yun Jaewoong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21권 67~96페이지(총30페이지)
목적:문학이 가지는 예술적 특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문학교육을 설계하기 위해 미학의 이론 중 미적 태도론을 문학교육에 적용하고자 한다. 방법:미학의 이론에 대한 문헌을 연구하여 문학교육에서 말하는 미의 개념을 분석하고, 문학교육에 미적 태도론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다. 이의 교육적 적용을 위해 언어 외의 표상형식을 활용한 표현활동을 제안하고 국어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활동을 실행한다. 결과:다양한 표상형식을 활용한 학습자들의 표현 활동으로 미적 태도를 기반으로 한 학습자와 대상 간 관계 맺음의 질성 및 미적 경험의 과정을 검증할 수 있었다. 결론:미적 태도를 통한 문학교육은 학습자의 특성 및 문학의 예술성을 살릴 수 있는 문학교육의 방향으로 문학교과가 다른 예술교과의 도구교과로서 기능할 가능성을 열어준다.
TAG , 미학, 예술, 미적 태도, 문학교육, 표상형식, Beauty, Aesthetics, Art, Literary Education, Aesthetic Attitude, Representation Form
신체활동을 통한 고전문학 경험 교육 연구* -초등교육을 중심으로-
이지원 ( Lee Jeewon ) , 류연석 ( Roo Yeonseok ) , 고정희 ( Ko Jeonghee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21권 97~140페이지(총44페이지)
목적:이 연구는 초등교육에서 신체활동을 핵심 방법으로 한 고전문학 경험교육의 실제를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이를 위해 고전문학 경험교육의 경험의의, 경험대상, 경험방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피고 교육모듈을 구성하여 그 효과를 실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수업을 통해 탐색하였다. 결과:문자언어뿐 아니라 신체를 통해 외부대상을 받아들이는 비중이 큰 초등학습자들은 크게 ‘동작’, ‘시각화’, ‘교육연극’의 세 가지 신체활동 유형에 따라 고전시가·소설의 각 경험대상들을 경험하며 고전문학경험으로 고전문학에 대한 흥미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중·고등교육에서의 고전문학 학습을 위한 역량을 마련할 수 있었다. 결론:초등교육에서의 고전문학경험교육은 중·고등학습자가 고전문학에 가지고 있는 부정적인 태도와 관련하여 고전문학교육의 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의의를 지니며, 특히 교육적으...
TAG 초등교육, 국어교육, 고전문학교육, 경험교육, 신체활동, 고전시가, 고전소설, Elementary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Emphirical Education, Physical activity, Classical Poetry, Pre-modern Novel
리듬 인식을 통한 시 낭송 지도 방향 탐색
이향근 ( Lee Hyanggeu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21권 141~168페이지(총28페이지)
목적:이 연구는 초등학교 시 낭송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리듬 중심의 시 낭송 교육 방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리듬은 시 텍스트와 독자의 개성이 만나 형성되는 융합적 차원에서 발견된다. 따라서 정형시 창작의 과정에 관여하는 정형률 기반의 교육적 접근으로는 현대시의 낭송 교육은 한계가 있다. 리듬이 단순히 음성이나 소리가 아니라 의미와 관계한다는 지점에 주목하여 시 낭송 지도를 위한 원리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과:동일요소의 반복이나 규칙성을 통한 낭송 지도에 대한 대안으로서 입말 살려 낭송하기, 시의 형태에 따라 낭송하기, 시적 정서에 따라 낭송하기의 접근 방향 제안하였다. 결론:리듬은 독자의 시 읽기 과정에서 심리적으로 지각되는 것이며 이는 낭송활동을 통해 성취된다. 초등학교에서 수행되는 낭송 교육은 낭송을 위한 입문 활동으로서 의미 단위의 띄어 읽기...
TAG 낭송, 리듬, 프로조디, 의미, 강세, 의미 단위 띄어 읽기, Reciting, Rhythm, Prosodies, Meaning, Accent, Chunking
성장의 관점에서 본 평생의 국어 평가 체제
김창원 ( Kim Chang Wo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21권 169~198페이지(총30페이지)
목적:본 연구는 미래 지향적 관점에서 국어 평가 체제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개별 평가들의 목적과 특성을 분명히 하기 위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평가론은 대체로 학교 안 국어교육으로 범위를 한정하였는데, 범위를 학교 밖, 특히 평생 학습의 장으로 넓혀서 거시적인 관점에서 국어 평가를 바라보고자 하였다. 방법:이때 중요한 것은 평가를 ‘사람이 평생에 걸쳐 학습하며 성장하는 과정’ 자체로 보는 관점의 전환이다. 이 관점에 서면 대상으로서의 ‘피평가자(被評價者)’는 자발적 혹은 제도적으로 평가에 참여하는 ‘평가 지원/이수자’로 재개념화된다. 결과:성장의 관점에서 보면 학교 안 평가는 진단, 학습개선, 진로 관리에 초점이 있고 학교 밖 평가는 진단, 진로 관리, 조사 참여에 초점이 있다. 그러면서 이들은 ‘평생 학습과 병행하는 평생 평가’라는 점에서 연계된다. 결론:이를...
TAG 국어 평가 체제, 국어 능력 평가, 국어 역량 평가, 학교 안 평가, 학교 밖 평가, 평생 학습, 평가 이력, Korean Language Evaluation System, Assessment of Korean Language Ability, Assessment of Korean Language Competence, In-School Evaluation, Out-of-School Evaluation, Lifelong Learning, Evaluation History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