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AND 간행물명 : 국어교육연구54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인터넷을 통한 감상의 표현 전략 연구 - 인터넷 영화평을 중심으로 -
한태구 ( Han Tae-goo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7] 제40권 153~186페이지(총34페이지)
이 연구는 현대사회의 문화 속에서 대중적 가치 공유와 소통이 가지는 새로운 특성과 그를 바탕으로 현대사회에서 역동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문화적 소통의 새로운 양상의 한 유형으로 인터넷 게시판의 영화평의 유형을 살펴본다. 인터넷이라는 자유로운 소통이 가능한 공간이 새로이 발생했음에도, 직접 영화평을 작성하여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고 소통하는 능동적인 소통보다는 자신의 의견과 비슷하다고 생각되는 타인의 의견을 지지하는 양상으로 대표성을 띤 영화평이 선택되는 소극적 소통의 양상을 띠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게 사용자들의 지지를 받은 영화평들은 인터넷 문화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형식을 바탕으로 사용자들의 접근성과 신뢰도를 얻기 위한 전략적인 구조를 띠고 있다. 이는 내용을 바탕으로 하는 논리적인 분석이나 설득보다는 이미지를 통한 일종의 감성적 설득에 가까운 양상이며, 전문...
TAG 문학교육, 문학 감상, 해석 소통, 영화평, Literary Education, Teaching Literature, Literary Appreciation, Movie Review
한·중 신문 사설의 개입 대조 연구
맹강 ( Meng Gang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7] 제40권 119~151페이지(총33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사설에 반영된 개입을 대조함으로써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신문에서 사설을 50편씩 추출하여 개입의 유형, 기능과 개입 간의 결합 사용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상호텍스트적 가정에 있어, 한국 사설은 객관적 사실을 더 많이 사용하였고 주로 배경 제시의 기능으로 사용한 반면에 중국 사설은 공유 지식을 더 많이 사용하였고 주로 근거 제시의 기능으로 사용하였다. 가능성 평가의 경우, 한국과 중국 사설은 모두 주장 제시의 기능을 많이 사용하였지만 한국 사설은 근거와 배경 제시 기능도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하였다. 반기대의 경우, 한국 사설은 문제를 지적하는 기능으로 많이 사용하였지만 중국 사설은 주장 제시의 기능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그리고 반기대와 기타 개입의 ...
TAG 사설, 개입, 단일적 목소리, 다성적 목소리, 대화적 공간 확대, 대화적 공간 축소, Editorials, Engagement, Monogloss, Heterogloss, Dialogic Expansion, Dialogic Contraction
대학생의 모둠 토론 활동 양상과 입장 변화, 글쓰기 결과물의 관계
김혜연 ( Kim Hyeyou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7] 제40권 83~118페이지(총36페이지)
이 연구는 협동 글쓰기의 일환으로서 모둠 토론 후 글쓰기 활동을 실시할 때 모둠 토론에 의한 학생들의 입장 변화 및 활동 양상이 글 결과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38명의 대학생이 토론자, 검색자, 기록자, 사회자의 역할을 분담하여 5인 1조로 모둠 토론에 참여하였으며, 활동 산출물을 공유하고 검토한 후 각자 입장을 정하여 논증적 글쓰기를 수행하였다. 모둠 토론 활동 양상은 활동 분량 및 활동의 질을 기준으로 측정되었으며, 설문 조사를 통해 입장 변화 유무와 주장 변화 강도도 측정되었다. 입장 변화 양상은 기술 통계 결과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역할과 입장 변화 사이, 그리고 입장 변화와 글 결과물 질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카이제곱 검정과 t 검정, 아노바 분석을, 모둠 활동 양상과 글 결과물 질...
TAG 협동 글쓰기, 모둠 활동, 논증, 토론, 역할, 대학 작문, collaborative writing, group discussion, debate, argumentative writing, role taking
국어과 문법 교과서 예시 시각화 방안 연구 - 시각적 입력 강화 이론을 중심으로 -
노하늘 ( Noh Ha-nul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7] 제39권 1~41페이지(총41페이지)
이 연구는 그간 문법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육적인 재맥락화를 이루지 못한 채 방치되어 있던 문자 언어의 시각적 요소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목표 문법 형태 인식을 도울 수 있는 국어과 문법 교과서 예시의 시각적 입력 강화 방안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시각적 입력 강화 개념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제2언어 교육에서 태동한 시각적 입력 강화가 교재 시각화 및 시각 언어의 교육적 활용의 관점에서 범교과적으로 수용 가능한 개념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증등 국어과교과서 20종에 나타난 시각적 입력 강화 양상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빈도 순서에 따라 `밑줄`, `색+음영`, `굵게`, `색+동그라미`, `네모`, `색+밑줄`, `색+세모` 7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고는 체계적...
TAG 교재 시각화, 예시 시각화, 문법 교과서 예시, 시각적 입력 강화, 교과서 타이포그래피, 피동 표현 예시, 사동 표현 예시, Textbook visualization, grammar examples, visual input enhancement, textbook typography, typological input enhancement, Passive/Causative expressions
초등학생 학교 밖 문식 활동 빈도의 종단적 변화 유형 및 영향 요인 분석 - `전형`과 `특이` 유형 간 차이를 중심으로 -
백정이 ( Baik Jeong-yi ) , 박성석 ( Park Seong-seog ) , 김정자 ( Kim Jeong-ja ) , 민병곤 ( Min Byeong-go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7] 제39권 43~78페이지(총36페이지)
본 연구는 학생들이 학교 외 공간에서 주체적이고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문식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정혜승 외(2016)에 제시된 학교 밖 문식 활동 빈도의 종단적 변화와 그 예측 요인들을 바탕으로 하여 민병곤·백정이(2016)에 제시된 학교 밖 문식 활동 빈도 추이의 네 가지 유형인 하향세의 `전형`, 상향세의 `특이`, 높은 상태를 유지하는 `우수`, 낮은 상태를 유지하는 `미흡`의 분포를 먼저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 가운데 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 빈도에 변화를 보이는 `전형`과 `특이` 유형의 집단을 대상으로 예측 요인별로 대비하여 집단 간 수준차와 변화 양상 차이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각 집단별 학생 수는 `우수` 36.9%, `전형` 28.1%, `특이` 21.2%, `미흡`13.8%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형`과 `특이` ...
TAG 학교 밖 문식 활동, 종단적 변화, 학교 밖 문식 활동 빈도 유형, 공부시간, 가족 문식 대화, 문식 태도, 교사 지도, out-of-school literacy practices, longitudinal changes, types of out-of-school literacy frequencies, time for academic tasks, conversations with family members about literacy practices, l
구한말 영국인 외교관 애스턴의 한국어와 한글에 대한 인식 - 한국어 관련 논문과 한국어 학습 일지를 중심으로 -
석주연 ( Suk Ju-yeo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7] 제39권 79~117페이지(총39페이지)
19세기에 한국과 일본에서 외교관으로 활동했던 애스턴은 많은 한국 장서들을 수집했으며 한국어와 한글에 대한 주목할 만한 논문들을 발표했다. 애스턴의 장서 수집은 사토우 등 당시 동아시아에 체류했던 외교관들과의 학문적 교류 속에서 이루어졌으며 특히 주로 일본에 체류했던 사토우와 교환한 서신 속에는 존 로스의 『코리언 프라이머』에 대한 한국인의 직관에 대한 증언, 그리고 한국어학습에 대한 언급 등 당시 한국어나 한국어 학습을 둘러싼 흥미로운 정황들이 드러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애스턴의 한국어에 대한 연구물들은 서구중심적 관점이 지배적이고 대부분 일본어와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되기는 했지만 한국어를 계통론적·비교언어학적 관점에서 구체적 사례를 가지고 분석했다는 점에서 그 이전의 논의들과 차별화된 양상을 보이며 특히 교착성(agglutinative...
TAG 애스턴, 한국어, 교착성, 첨사, 한글, 한국어 학습 일지, 캠브리지 대학 도서관, Aston, Korean Language, agglutinativeness, particle, Hangeul, the journal for learning Korean, the University of Cambridge Library
2009 개정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 문법 단원 분석 연구
송현정 ( Song Hyun-jung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7] 제39권 159~188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는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적용된 현행 검정 국어 교과서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전반적인 체제와 내용을 살펴보고, 국어 교과서의 기본적인 구성과 검정 기준 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기본적인 지식을 배경으로 하여 국어 교과서의 문법단원이 보여 주는 구성 방식과 성취기준의 위계 및 진술 양상을 분석하였다. 국어 교과서 단원은 기본적으로 도입·이해·적용·정리 학습 등으로 구성되지만, 검정 국어 교과서 각각이 가진 전개 방식과 강조 사항 등에 따라 다양하고 특색 있는 단계나 항목을 설정하여 각 교과서의 개성을 드러내고 있다. 문법 단원의 구성 형태는 크게 문법 영역만을 독자적으로 다룬 형태와 다른 영역과 함께 다룬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데, 표면적으로는 전자와 후자가 거의 비슷...
TAG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 문법 영역, 성취기준, 2009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Korean textbooks, Korean grammar area, standard of achievement
외국어 학습 경험 인지가 한국어 교사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교사 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
안정민 ( Ahn Jeong-mi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7] 제39권 189~224페이지(총36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의 외국어 학습 경험이 어떻게 교사 인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이것이 한국어 교사의 삶과 한국어 교수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교사의 인터뷰 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또한 교사의 외국어와 관련해 가장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교사 변인인 원어민교사와 비원어민 교사, 국내 교육현장과 해외 교육현장을 나누어 한국어 교사의 인터뷰를 살펴보았다. 교사의 외국어 학습 경험이 한국어 교사에게 끼치는 영향력은 다양할 뿐 아니라, 직접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어 교사는 과거의 외국어 학습 경험 덕분에 학생들의 입장을 잘 이해할 수 있고, 학습자로서 경험한 외국어 교사를 모델로 삼아 자신의 한국어 교수에 도움을 받고 있었다. 교사에 대한 모델링은 크게 두 가지의 유형이 있었는데 교사의 좋은 점을 그대로 따라 교수하는 `순행적 모델링`과 부...
TAG 한국어 교사, 교사 인지, 외국어 경험, 한국어 교사 교육, 비원어민 교사, Korean language teacher, teacher cognition, foreign language experience, teacher development, non-native Korean teacher
과학 교과서의 `문법적 은유`를 중심으로 본 국어과의 도구 교과적 본질 탐색
소지영 ( So Ji-yeong ) , 주세형 ( Joo Se-hyung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7] 제39권 119~158페이지(총40페이지)
국어과의 본질 중 하나인 도구 교과적 특성은 모든 교과의 핵심적인 지식의 구조와 그 이론화 과정이 언어로 드러나고 이루어진다는 전제하에 보다 적극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자연 과학 분야에서 두드러지는 의미화 방식인 `문법적 은유`를 중심으로 초등학교 및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를 분석하여, 언어가 과학 지식의 구성 및 습득을 이끄는 역할을 함을 살피고 이로부터 읽어 낼 수 있는 국어교육적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법적 은유로서 명사화는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는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반면,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는 활발하게 사용된다. 이는 초등학교 3∼4학년군의 언어 발달 수준에 적절한 문법적 은유를 사용하여 과학 교육적으로나 언어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발달을 이끌어 낼 필요가 있다는 시사를 제공한다...
TAG 도구 교과, 지식 구성의 도구, 문법적 은유, 명사화, 과학 교육, 과학 교과서, Instrumental subject, instrument of knowledge construction, grammatical metaphor, nominalization, science education, science textbook
과학 글쓰기 유형 및 내용 구성 연구
차경미 ( Cha Kyung-mi ) , 이지수 ( Lee Ji-su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7] 제39권 225~260페이지(총36페이지)
과학교육에서 쓰기는 개념 구성, 문제 해결, 의사소통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과학적 소양을 함양시킬 수 있는 학습 도구이다. 최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강조하면서 과학 지식을 언어로 표현하고 소통하는 측면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그간의 선행연구에서는 과학글쓰기 활동의 중요성과 과학 글쓰기 활동의 유형화 및 교과서에 제시된 글쓰기활동의 계량적인 분석인 이루어진 바 있다. 그러나 과학 글쓰기의 구체적인 절차나 과정에 대한 교수 · 학습 방안 마련은 미흡한 상황이다. 본고는 이러한 상황에서 국어교육 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는 글쓰기의 일반적인 절차나 교수 · 학습 방안이 과학 글쓰기 교수 · 학습을 구체화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보아 국어교육적 관점에서 과학 글쓰기 활동을 재분류하고 각 유형별 교수 · ...
TAG 과학 글쓰기, 글쓰기, 융합 교육, Science Writing, Writing, convergence educa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