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59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읽기이해 평가 자동화를 위한 자연언어처리 표층알고리즘의 적용
방상호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141~150페이지(총10페이지)
문학교육이 ‘세계’와 ‘보편’을 상상하는 법
고지혜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151~164페이지(총14페이지)
‘도야(Bildung)’ 개념의 역사적 전변과 미적도야
문장원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165~177페이지(총13페이지)
학습 목적 글쓰기 교육 가능성 검토 - IB 교육과정 확장형 에세이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곽수범 ( Kwak Subeo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2권 7~48페이지(총42페이지)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작문교육을 한층 더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고 개선하기 위한 시도로 학습 목적 글쓰기(writing to learn)의 실현태로 간주할 수 있는 국제 바칼로레아(International Baccalaureate, IB) 교육과정 내 핵심 평가 도구인 확장형 에세이(extended essay) 교육 현장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IB 교육과정 도입 학교 현장을 참관하고, 우리 작문교육 차원에서 도움이 될 지점을 추려내었다. 미국 고등학교 자국어(English language arts) 교과 교실 현장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일은 문화기술지(ethnography) 방법론을 활용하였고, 연구자의 주관성을 덜어내고 보다 정치한 분석을 위하여 질적 분석 결과를 교차 검증하고 신뢰...
TAG 작문교육, 학습 목적 글쓰기, IB, 국제 바칼로레아, 확장형 에세이, 소논문, Writing instruction, Writing to learn, International Baccalaureate, Extended essay, Research paper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설명글과 이야기글 쓰기 양상 연구
유승아 ( Yoo Seunga ) , 이순영 ( Lee Soonyou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2권 49~75페이지(총27페이지)
초등의 쓰기 교육은 표준적 글자 쓰기와 전사 능력의 습득을 강조하다가 점차 텍스트의 생성과 조직 능력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초등학교 4학년은 문식성이 비약적으로 발달하고 교과 학습 내용이 고도화 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299명의 초등학교 4학년생이 작성한 566편(설명글 282편, 이야기글 284편)의 글을 수집하여 학생들의 쓰기 능력을 분석하였다. 4학년생은 20분 동안 평균 441글자(설명글)와 614글자 (이야기글) 분량의 글을 작성하였고, 문장 수는 18.5개(설명글)와 31.6개 (이야기글)였다. 초등 저학년에 이어 단위 시간 동안 생성한 글의 분량(쓰기 유창성)은 매년 증가하였으나 4학년에 이르러 그 증가폭이 크게 둔화되었다. 4학년생은 전사 기능 확보와 같은 기초 쓰기 단계를 넘어서서 ‘문단·담화 수준의 텍...
TAG 초등학교 4학년, 초등 쓰기 교육, 쓰기 발달, 작문 능력, 학생글, 설명글, 이야기글, 성별 차이, 글쓰기 교육, Elementary 4th grade, Elementary writing instruction, Writing development, Writing ability, Students’ writing, Expository text, Fictional story, Gender difference, Writing education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 교과서의 언어 단위별 학습 활동 양상 분석
양세희 ( Yang Sehui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2권 77~104페이지(총28페이지)
이 연구는 2015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문법’ 영역 교과서를 대상으로 언어 단위별 학습 활동의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법 교과서가 만들어진 이래 언어 단위는 대단원을 구성하고 교육 내용을 조직하는 중요한 준거가 되어 왔기 때문이다. 언어 단위별로 문법 교과서의 학습 활동을 분석하기 위해서 문법 교육에서 언어 단위가 갖는 특성을 살펴보았다. 언어의 형식적 측면에서의 단위적 특성 외에, 교육의 목적과 교육의 대상인 학습자 요인을 고려하였다. 문법 교과서의 학습 활동의 유형은 학습자의 목표 지향적인 문법적 사고의 과정과 문법적 수행 경험을 반영하였다. 문법 교과의 특성상 어떤 언어 단위이든 국어의 체계성과 관련된 학습 활동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는데, 그 중 ‘이해’와 ‘분석’ 과정이 많다. 특히 형태소와 음운 체계 부분은 다른 언어 단위에 비...
TAG 문법 교육, 문법 교과서, 학습 활동, 언어 단위, 문법적 사고, Grammar education, Learning activities, Grammar textbook, Linguistic unit, Grammatical thinking
초등학교 4, 5학년 학습자의 경험적 대기능 발달 연구 - 과정 유형 및 참여자 구성 패턴 분석을 중심으로
주세형 ( Joo Sehyung ) , 정혜현 ( Jeong Hyehyeon ) , 노하늘 ( Noh Haneul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2권 105~142페이지(총38페이지)
본고는 ‘동성 프로파일링’을 통해 학습자의 경험적 의미 기능 발달 양상을 분석하였다. 동성 프로파일링은 초등학교 4학년 학습자와 5학년 학습자가 작성한 ‘설명문’, ‘건의문’, ‘일기’를 대상으로 하여, ‘(1) 과정 유형 분석’, ‘(2) 참여자 유형 분석’, ‘(3) 참여자 구성 패턴을 분석’, ‘(4) 과정 유형 및 참여자 구성 패턴별 빈도를 산출’의 4단계에 따라 이루어졌다. 과정 유형 빈도 및 참여자 구성 패턴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 결과, 과정유형에서는 행동적 과정, 작용적 과정, 속성적 과정, 식별적 과정 4개 유형이 4학년 학습자와 5학년 학습자(이하, 두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 구성 패턴에서는 ‘행동자 +범위’, ‘- 행동자 + 범위’, ‘작용자’, ‘- 속성보유자 +속성’의 4가지 패턴에...
TAG 언어 발달, 경험적 대기능, 체계기능 언어학, 과정, 참여자, 동성, 동성 프로파일링, Language development, Experiential metafunction,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SFL, Process, Participant, Transitivity, Transitivity profiling
다문화 초등학생을 위한 어휘 학습 전략 교육 방안 연구
조희영 ( Jo Heeyeo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2권 143~168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교재의 어휘 학습 전략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어휘 학습 전략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교재와 해당 교재의 교사용 지도서이다. 어휘 학습 전략은 Schmitt(1997)와 임수진(2007)에서 제시하는 전략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1·2학년 교재에서 17개, 3·4학년 교재에서 19개, 5·6학년 교재에서 18개의 어휘 학습 전략이 나타났다. 전략별로는 의미발견 전략이 22개 기억강화 전략이 32개로 기억강화 전략이 더 많이 제시되어 교재에서 새로운 어휘의 학습보다 학습한 어휘의 장기기 억을 위한 교육 내용이 더 많이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초등학생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학습 전략을 제시하고 마지막...
TAG 다문화 학습자, 초등학생 KSL 학습자, 표준 한국어, 어휘 학습 전략, 어휘 학습 전략 교육 방안,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Elementary school KSL learners, Standard Korean textbooks,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Education method for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북한 외래어 표기법의 변천 양상과 과제
이관규 ( Lee Kwankyu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2권 169~194페이지(총26페이지)
이 논문은 북한의 외래어 표기법이 변천해 온 과정을 살피고 앞으로 해야 할 과제를 도출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광복 직후 남북한은 조선어학회의 <조선어 외래어 표기법>(1941)을 함께 사용하였다. 이후 북한에서는 <조선어 외래어 표기법>(1956), <외래어표기법>(1958), <외국말적기법>(1969), <외국말적기법>(1982), <외국말적기법>(2001)을 공포하였다. 처음에는 외래어라는 용어를 사용하다가 이후‘외국말’이라는 용어로 바꾸었다. 북한에서도 외래어 표기 기본 원칙으로 원지음주의를 따른다. 중국의 과거 고유 명사를 표기할 때, 북한의 1956년과 1958년 표기법은 한국 한자음으로 표기하였으나 이후의 모든 표기법에서는 원지음주의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북한은 한글 40자모 사용을 내세우고 있으며 된소리 ...
TAG 북한 외래어 표기법, 원지음주의, 외국말적기법, 장음 표기, 된소리 표기, NK’s loanword orthography, Phonetic transcription, Foreign language transcription, Prolonged sound mark, Fortis mark
2014년 심사 전후 『조선어문』 어휘의 계량언어학적 비교 연구 - 조선어 교육의 변화를 중심으로
임칠성 ( Im Chilseong ) , 류마리아 ( Ryu Maria ) , ( Yuan Ailia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2권 195~215페이지(총21페이지)
현재 사용 중인 『조선어문』과 그 직전에 출판된 『조선어문』의 어휘를 각각 계량하여 『조선어문』의 어휘 변화 양상을 고빈도별, 품사별, 어종별로 밝히고 그 변화의 의의를 언어 정책의 측면에서 해석하였다. 고빈도별 변화에서는 공동체 의식을 반영하는 ‘우리’의 빈도 순위가 낮아지고 개인주의적 성향을 반영하는 ‘나’의 순위가 올라간 점이 특징적이었다. 품사별 변화에서는 교육 내용을 반영하는 명사의 비율이 줄어든 대신 활동을 반영하는 동사의 비율이 높아졌으며, 형용사, 부사의 비율이 급격히 높아졌다. 어종별 변화에서는 고유어가 증가한 대신 한자어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런 변화는 『조선어문』의 언어 정책이 조선 민족의식의 함양에서 언어 능력의 신장으로 그 방향을 전환한 것으로 해석된다.
TAG 조선어문, 제3 민족어, 중국 조선어 교육의 변화, 중국조선족, 계승어, Joseon-eomun, the 3rd Korean, Changes in Chines Korean language education, Chines Korean, Heritage languag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