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AND 간행물명 : 한국어문교육32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최승자 시와 산문의 미적·정신적 특질 연구 - 두 장르의 상호 조응 양상을 중심으로
유준 ( Yoo Jo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0권 253~281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는 최승자의 시와 산문의 미적·정신적 특질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그 두 장르의 상호 조응 양상이 논의의 중심에 놓이게 될 것이다. 최승자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에도, 그의 산문은 그 어디에서도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그는 뛰어난 시인임과 동시에 뛰어난 산문가이기도 하다. 그의 산문은 그 자체로 문학적 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그의 시를 이해하는 데에도 적지 않은 도움을 준다. 최승자는 산문을 통해 때때로 자신의 세계관이나 시관, 시론 등을 피력하곤 하는데 이는 시 작품의 내재적 의미분석과 상호조응하며 그녀의 문학세계를 깊이 있게 규명하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일단 그녀의 산문집을 다시금 꼼꼼히 읽는 일로부터 출발해, 그녀의 시 전편 역시도 세세하게 읽어나가며 그녀의 작품세계 전반...
TAG 최승자, , 산문, 상호 조응, 미적· 정신적 특질, Choi SeungJa, Poems, Prose writings, The mutual correspondence, The aesthetic and mental characteristics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위한 구비문학 교육 연구 - 중국 산동과학기술대학교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장연분홍 ( Jang Yeonbunhong ) , 장휘 ( Zhang Hui ) , 표인주 ( Pyo Inju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0권 283~313페이지(총31페이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구비문학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기 위해 한국과 중국의 구비문학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효용성 검증을 위해 중국 산동과 학기술대학교 한국어학과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구비문학 수업을 진행하고 그 기대효과를 정리하였다. 오늘날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의 요구는 과거에 비하여 매우 다양하다. 과거에는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의 문화나 문학 작품까지 학습하도록 기대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기존에 의사소통만을 목표로 하던 학습에서 나아가, 한국 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언어생활에 반영하도록 학습해야 한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학습자들의 다양한 목표를 수용한 폭넓은 학습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구비문학 작품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고, ...
TAG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한국어 교육, 구비문학교육, 한국문화교육, 한국어 학습 방향,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Oral literature, Cultural education, Korean language training, Direc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비판적 듣기 능력 향상 방안 연구
김재봉 ( Kim Chaebo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9] 제29권 7~42페이지(총36페이지)
이 연구는 모형 차원에서 비판적 듣기 능력 향상 방안을 탐색한 것이다. 탐색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비판적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비판적 사고 방법을 훈련한다. 이러한 사고 방법 훈련을 바탕으로 듣기 사고 패턴(반복행동)을 찾고, 찾은 듣기 사고 패턴에 대해 적절한 구어와 문어 피드백을 하고(보상), 그러한 피드백을 한 원인(영향 요인)을 찾는다. 화자의 입장에서 정확한 설명이, 청자의 입장에서 주의와 작업 기억이, 그리고 화용적 지식이 중요한 영향 요인이다. 이들을 기반으로 특정 장면에 적적한 실행계획을 세워서 비판적 듣기 능력을 향상시킨다. 계획 세우기에서 특별히 고려해야 할 것이 열망, 믿음, 노력, 정보 교류 집단이다.
TAG 비판적 듣기 능력, 듣기 사고 패턴, 피드백, 원인, Critical listening ability, Listening thought patterns, Feedback, Cause
독서토론 지도를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에 대한 문헌 연구
백혜선 ( Paik Hyesun ) , 김영란 ( Kim Youngra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9] 제29권 43~75페이지(총33페이지)
이 연구는 초·중·고 학교 독서토론 교육 관련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여 교사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향후 연구와 교육 실천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독서토론의 목표/유형, 텍스트 선정, 학생들의 상호작용, 교사의 지도와 평가에 대해 검토하였다. 교사의 수업목표, 텍스트에 대한 입장 차이나 토론 방법, 교사와 학생의 권한 여부 등에 따라 다양한 독서토론 유형이 가능하다. 독서토론에서 사용하는 텍스트는 텍스트 내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독자와 교실 맥락을 고려하여 학생과 교사가 함께 적합 도서를 발굴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사는 참여자의 수, 다양성, 학습자의 사회성 등을 고려하여 모둠 구성을 하고 촉진자, 참여자, 중재자, 적극적 청자 등의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향후에는 교사의 대화이동 분석을 통해 교사의 구체적인 ...
TAG 독서토론, 교사 교육, 독서 교육, 텍스트 선정, 학생의 상호작용, 교사의 역할, 대화이동, Book discussion, Teacher education, Reading education, Text selection, Students’ interactions, Teacher’s roles, Discourse move
자립 독자의 개념과 특성에 관한 연구 - 네 대학생의 아동·청소년기 독서 경험을 중심으로
이지영 ( Lee Jiyou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9] 제29권 77~112페이지(총36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자립 독자의 개념과 특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독서능력, 독서 자발성, 독서에 대한 자기 주도성을 가진 네 대학생을 자립 독자로 보고, 이들의 아동·청소년기 독서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독자로서 성장해 온 과정을 ‘문식성 후원자 이야기’, ‘독서 이야기’, ‘독서 공간 이야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자립 독자를 자기결정 행동으로 독립적 독서 활동을 실천하는 독자로 개념화하였다. 자립 독자는 ①몰입 독서의 성향과 독서 조절 능력, ②독서에 대한 다양한 도전과 선호 장르 정립, ③상황에 따른 텍스트 선택과 독서 방법을 조율하는 특성을 가진다. 문식성 후원자와 독서공간은 자립 독자의 독서를 지원하는 조건으로 작용한다. 이 연구가 독자 연구 방법에 대한 새로운 시도로 수용되기를 기대한다.
TAG 자립 독자, 독서 경험, 내러티브 탐구, 독서 공간, 독립적 독서, 문식성 후원자, 자기결정 행동, Independent-reader, Reading experience, Narrative inquiry, Reading space, Independent reading, Sponsor of literacy, Self-determination behavior
직업계 고등학교 국어 교사의 ‘실용 국어’ 선택에 관한 연구
박신애 ( Park Shina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9] 제29권 113~142페이지(총30페이지)
그동안 직업계고 학생들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 이에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취업을 목표로 하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직무 관련 국어사용능력 향상을 위한 ‘실용 국어’ 과목이 신설되었다. 실용 국어는 선택 과목이기 때문에 교사의 선택에 따라 교육과정의 실행여부가 결정된다. 이 연구에서는 직업계고에 재직 중이면서 선택 과목 선정에 참여한 교사들의 사례연구를 통해 실용 국어 과목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직업계 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진학이 아닌 취업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전문교과를 중시하였고 국어의 교과중요도는 낮았다. 국어 교사는 수업시수 배정과 업무 분장에서 불이익을 받는 등 근속적 몰입을 저해하는 환경에 놓여있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교사의 수업개선 의지가 높을수록 ...
TAG 실용 국어, NCS 의사소통 능력, 선택교과 선정, 교사 신념, 특성화고, Practical Korean, NCS communication skills, Elective course selection, Teacher beliefs, Vocational high school
한국어의 두 처소격 조사 ‘-에’와 ‘-에서’의 의미적 접근
박덕수 ( Duk Soo Par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9] 제29권 143~174페이지(총32페이지)
본고는 한국어의 처소격 조사 ‘-에’와 ‘-에서’의 용법을 기술한다. 본고에서는 처소격 ‘-에’와 ‘-에서’의 방향적 의미(각기 ‘to’ 와 ‘from’)로 쓰이는 것도 간헐적으로 다루지만 주로 영어로 ‘in’, ‘at’, 및 ‘on’으로 번역 될 수 있는 정적인 장소의 의미로 쓰는 경우만 주로 다룬다. 이 두 처소격 조사의 용법에 대한 몇몇 언어학적 기술이 존재하지만, 학습 문법의 부재는 현장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배우는 교사와 학습자 모두에게 커다란 난제가 아닐 수 없다. 본고의 주요 목적은 이 두 처소격 조사의 용법의 총체적인 분석을 제시하여 언어학적 기술과 학습 문법 간의 이러한 공백을 메꾸고자 함에 있다. 이전 연구의 개관에 이어 기존 한국어 교재에 자주 등장하는 술어의 양분화(즉, 동작 술어 대 비동작 술어로 구분)에 기초한 ...
TAG 처소격 조사, 정적 처소격, 의미적 접근, 학습 문법 부재, 화용론적 요소, The locative case markers, Locatives at rest, Semantic approach, The lack of pedagogical grammar, Pragmatic factors
통시적 관점의 연어 교육 제안 - ‘사진(寫眞)’ 관련 연어 표현의 통시적 변화를 중심으로
정은진 ( Jung Eunji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9] 제29권 175~205페이지(총31페이지)
본고는 통시적 관점을 도입한 연어 교육의 필요성을 밝히고, 구체적인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을 제안하였다. 모국어 화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어교육에서 연어는 학습 및 암기의 대상이 아니라 의식 및 사고의 대상이다. 학습자는 일상적으로 사용해 온 연어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어휘의 결합관계에 대해 사고해봄으로써 국어적 사고력을 신장할 수 있다. 특히 통시적 관점을 도입한다면 언어를 낯설게 보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문증되는 언어적 증거를 확보할 수 있으며, 국어의 특수성이 담긴 연어에 주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고는 통시적 관점을 적용한 연어교육의 내용으로 ‘사진(寫眞)’ 관련 연어 표현의 통시적 변화를 제시하였다. 오늘날 ‘사진’은 ‘사진 찍다’와 같은 구성으로만 사용되지만, 사진이 처음 유입된 개화기에는 ‘사진 박다’의 구성이 훨씬...
TAG 국어교육, 어휘 교육, 문법교육, 연어, 국어 문화, Korean education, Vocabulary education, Grammar education, Collocation, Korean culture
윤동주의 「간」 읽기 - 상징 분석을 중심으로
최용석 ( Choi Yongseo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9] 제29권 207~225페이지(총19페이지)
본고는 윤동주의 「간」이 지닌 상징들의 의미와 그 연결이 어떤 새로운 의미를 만들고 있는지를 꼼꼼한 분석을 통해 확인하려고 한다. 사실 이 시와 관련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상징의 구성 방식이 다소 난해하여 분석과 평가가 잘되지 않은 이유도 있는 듯하다. 하지만 성공한 상징은 그것이 매개한 대상을 매우 효과적으로 설명한다. 이 시의 상징들을 분석하면 이 시를 창작하던 당시 시인의 자아 인식 변모 과정을 잘 이해할 수 있다. 이 시가 시 자체의 의미에서 시인의 삶과 시대로 그 의미가 확장될 수 있는 여지가 많은 작품이기 때문이다. 특히, 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있는 그의 시들이 무엇을 뜻하는지를 유추할 자료가 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시인은 이 시에서 고통스러운 자아 성찰의 과정을 통해 현실적 자아를 살찌워 증오와 대립의 세계 속에서 시대의 양...
TAG 윤동주, 「간」, 윤동주의 독수리, 프로메테우스, 「간」의 상징, 현실적 자아, 자아의 반성과 변모, 윤동주의 딜레마, Yun Dong-ju, The poem Liver, Eagle, Prometheus, Symbols in the poem Liver, The real ego, Transformation, Dilemma
『춘희(椿姬)』의 번역 계보와 문학사적 의의
김영애 ( Kim Younga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9] 제29권 227~247페이지(총21페이지)
이 논문의 목적은 식민지시기 번역소설 『춘희(椿姬)』의 계보를 밝히고 그 문학사적 의미를 분석하는 데 있다. 소설 『춘희』는 프랑스 소설가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 Fils)의 『La Dame aux Camelias』(1848)를 번역 번안한 작품이다. 뒤마의 원작을 번역 번안한 작품으로 진학문의 『홍루』(1917), 나빈의 『동백꽃』(1927), 심향산인의 『춘희』(1929), 김자혜의 『춘희_(1933) 등이 소개된 바 있다. 본고는 여기에 박루월의 『춘희』(1930)를 추가하여 『춘희』의 번역 번안 계보와 그 문학사적 의미를 다루었다. 특히 박루월의 『춘희』는 지금까지 번역소설이나 영화소설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분석된 적이 거의 없고, 진학문의 작품을 제외한 나머지 번역소설에 관한 개별적인...
TAG 춘희, 번역소설, 뒤마, 계보, 진학문, 나빈(나도향), 심향산인, 김자혜, 박루월, Chunhee, Translated novel, Alexandre Dumas Fils, La Dame aux Camelias, Translation genealogy, Jin Hakmun, Na Bin(Na Dohyang), Shimhyangsanin, Kim Jahye, Park Luweol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