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72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울산 영축사지 동서삼층석탑에 대한 연구
김지현 ( Kim Ji-hyun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석당논총 [2019] 제73권 251~285페이지(총35페이지)
본 연구는 울산 영축사지 동서삼층석탑에 대한 연구로, 동서삼층석탑에 보이는 독특한 현상을 비롯하여 각 부재와 수량 및 구성을 파악하고, 이후 석탑의 기단부결구구조, 조영원리 및 사리공의 위치와 형태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 석탑의 조성시기와 미술사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상하층기단을 결구하는 방식과 동서탑의 초층탑신에 마련된 사리공의 위치, 석탑의 조영원리 등을 종합해 본 결과 석탑 조성연대는 8세기 후·말기-9세기 전기 경으로 유추되어 『三國遺事』에 기록된 사찰의 창건시기(683)와는 다른 것으로 파악되었다. 영축사지에는 귀부와 석조 불상편이 남아 있는데, 이들의 제작시기 역시 8세기 후반-9세기 전반 경으로 추정되어 석탑의 조성시기와 일치한다. 이는 8세기 후반 경 영축사의 중창이 행해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둘째, 석탑의 조영원리를 분석한 결...
TAG 영축사지, 영축사, 석탑, 신라, 조영원리, 조영계획, 결구구조, Yeoungchuksaji Temple Site, Yeoungchuksaji Temple, Stone Pagoda, Silla, Principle of Construction, Design, Connection Structure
통일신라시대 식도구 연구 - 숟가락과 의례 -
정의도 ( Jung Eui-do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석당논총 [2019] 제73권 287~340페이지(총54페이지)
숟가락은 밥상에서 국을 뜨거나 음식을 덜어 직접 입으로 넣는 도구이다.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숟가락은 술잎의 끝이 뾰족하고 세장한 자루가 부가된 것과 술잎이 거의 원형이면서 세장한 자루가 한 세트로 사용된 형식(월지형Ⅰ식, Ⅱ 식), 술잎의 날이 둥글면서 최대 너비가 4부 보다 상위에 위치하며 너비가 상단한 자루가 부가되는 형식(분황사형), 술잎이 유엽형이면서 가는 자루가 부가되는 한우물형이 있다. 그리고 술잎이 월지형Ⅰ식과 같이 거의 원형이지만 술잎에서 이어지는 자루가 넓게 이어지는 형식(월지형Ⅰ식-a)이 있다. 각 형식의 사용시기는 월지형과 분황사형은 거의 같은 시기에 사용된 것으로 볼 수 있고 한우물형은 9세기 경이 되어서 등장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월지형2식은 출토지가 안압지로 한정되어 있어 사용 계층이 극히 한정되었거나 짧은 시기에만 제작...
TAG 통일신라시대, 숟가락, 형식분류, 월지, 우물, 수혈, 정창원, 용신제, 산천제, 공헌품, Unified Silla period, spoons, type classification, Wolji, well, pit, Jungchangwon, ritual for dragon, ritual for nature deity, offering
韓·中·日 中世時期 度量衡制 比較 硏究
이종봉 ( Lee Jong-bong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석당논총 [2019] 제73권 341~376페이지(총36페이지)
한·중·일 중세시기 도량형제의 비교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세시기 도량형은 국가의 주도로 중앙과 지방의 관청에서 제작하였는 데, 중앙의 경우 고려는 京市署가, 송·원대는 太府寺와 工部가, 평안·겸창기는 大藏省에서 담당하였고, 지방은 각 지역의 國司가 담당하였다. 둘째, 척의 단위는 ‘촌·척’을 중심으로 운용되었고, 이하도 마찬가지다. 고려의 척은 분화하지 않고 기존의 唐大尺을 營造, 布의 수취, 그리고 量田 등에 공용하다가, 12세기 이후 金尺을 형장식의 사용과 指尺을 量田尺으로 사용함으로써 量田尺과 營造用의 尺(=布帛尺) 등이 존재하였다. 송은 당대의 척을 계승하였으며, 이러한 척을 三司尺 혹은 三司布帛尺 등의 이름으로 사용하였고, 당의 小尺을 天文用 척으로 사용하였다. 원대의 척은 명칭을 알 수 없지만, 송대보다 약간 길어졌다....
TAG 度量衡, , 量田尺, 容積, 重量, Weights and Measures, measure, The Land Surveying Ruler, Volume, Weight
이벽의 수표교 집터에 대한 연구
서종태 ( Seo Jong-tae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석당논총 [2019] 제73권 377~398페이지(총22페이지)
이벽(李檗)의 서울 수표교 근처 집터는 그가 한국에서 최초로 천주교를 학문이 아닌 신앙으로 받아들여 그 실천의 길을 연 곳이고, 이승훈이 북경에서 들여온 천주교 서적들을 그가 전해 받아 깊이 연구하여 신앙 실천에 필요한 내용들을 비로소 두루 알게 된 곳이다. 아울러 그곳은 한국에서 최초로 이벽이 천주교를 전파하기 시작한 곳이고, 그가 천주교를 널리 전파하는 일을 막으려는 유학자들과 토론을 벌여 승리를 거뒀던 곳이며, 그가 한국에서 최초로 세례를 베풀어 신앙공동체를 탄생시켜 한국천주교회를 창설했던 곳이다. 이렇게 한국천주교회사에서 뿐만 아니라 한국사 일반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이벽의 수표교 집터는 여러 문헌과 고지도들을 통해서 고증해 볼 때 청계천 남쪽의 남부 훈도방의 수표교동에 있었다. 이 수표교동은 수표교에서 영희전(永禧殿)으로 나 ...
TAG 이벽, 이벽의 집터, 수표교, 수표교동, 이벽의 수표교 집터, Yi Byeok, the Site of Yi Byeok’s House, Supyogyo, Supyogyo-dong, he Site of Yi Byeok’s House near Supyogyo Bridge
부산항 제1부두의 건립과 변화과정에 관한 건축적 고찰
남윤순 ( Nam Youn-soon ) , 김기수 ( Kim Ki-soo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석당논총 [2019] 제73권 399~431페이지(총33페이지)
본 연구는 부산항 제1부두를 대상으로 건립 당시부터 현재에 이르는 변화과정을 고찰한 결과로, 부산항 제1부두의 건립과정과 더불어 변화요인을 고찰함으로써 제1부두가 갖고 있는 의미와 가치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나아가 이를 통해 근대기 부산항의 변화와 제1부두가 갖는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재조명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부산항 제1부두는 매축지인 돌제와 잔교로 구성되어 1911년 3월 7일 준공되었다. 이후 1912년 10월 25일 지상에 서양식 철골상옥이 건립되어 기본적인 시설을 갖추었으며, ‘부산축항제2기공사(1919-1929)’를 통해 각종 부속 시설이 확충되었다. 이후 1937년까지 이어진 공사로 철도 관련 부속시설이 완비되어, 무역 및 철도환승형 여객부두로 사용되었다. 해방 이후 6.25전쟁기에는 일제강점기 당시 ...
TAG 근대, 항만시설, 부산항, 제1부두, 돌제, 잔교, 부산종합어시장, Modern, Port facilities, Busan Port, The Pier No.1, Jetty, Pier, Busan Cooperative Fish Market
한문교육과 고등학생 인성증진 효과 분석
김승룡 ( Kim Seung-ryong ) , 송영일 ( Song Young-il ) , 조이경 ( Jo Yi-kyung ) , 한상윤 ( Han Sang-yun ) , 채한 ( Chae Han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석당논총 [2019] 제73권 433~461페이지(총29페이지)
현재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에서의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교육내용 및 학습방안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객관적인 생리심리적 검사를 사용하여 교육을 통한 인성증진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시도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현행 고등학교 한문과 수업의 인성증진 효과를 Garnefski의 인지적정서조절전략 검사를 사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고등학교 1학년 재학생 191명(남학생 68명, 여학생 123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한문교육(2시간/주)을 시행하였으며, 학기 초와 학기 말에 인지적정서조절 전략검사를 시행하였다. 적응적 전략의 5가지 하위척도에 있어서, 남학생과 여학생간의 차이는 독립표본 T-test를, 학기 초 대비 학기말의 변화량은 대응표본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적응적 전략 총점에 있어서, 학기 초에는 남학생(4...
TAG 한문교육, 인성증진, 고등학생, 논어, 인지적정서조절전략검사,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high school student, character development,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KCCE), The Analects
김덕령 설화의 기호적 의미와 전승집단의 인식 - ≪광주전설≫을 중심으로 -
표인주 ( Pyo In-ju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석당논총 [2018] 제72권 5~35페이지(총31페이지)
김덕령 설화의 원천적 근원을 파악하는 것은 설화 형성 근거를 파악하는 것이고, 그것이 어떻게 설화화 되어 전승되었는가를 확인하는 출발점이기도 하다. 김덕령 설화의 원천적 근원은 역사적 의미를 갖는 김덕령의 생애사적 사건이다. 그것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김덕령의 의병활동, 억울한 옥사, 충장공으로 신원이라고 할 수 있다. 김덕령에 관한 구술기억으로 전하고 있는 것은 ≪광주전설≫에 수록된 설화가 대표적이다. 따라서 ≪광주전설≫에 수록된 설화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는데, 1)김덕령의 출생과 관련된 풍수담, 2)김덕령의 출생담, 3)김덕령의 성장담, 4)김덕령의 장군담으로 나누어 기호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1)김덕령 출생과 관련된 풍수담은 기본적으로 김 문손이 머슴의 도움을 받아 명당자리를 확보하는 이야기로 전개되고 있지만, 이를 기호체계로 ...
TAG 김덕령 장군, 무등산, 의병활동, 기호적 의미, 문화적 기억, 설화 형성 기반, 전승집단 등, General Kim Deok Ryeong, Mt. Mudeung, The activity of loyal troops, Symbolic content, Cultural memory, Tale transmission base, Transmission group
택당 이식 문학비평 연구
허윤진 ( Hur Yoon-jin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석당논총 [2018] 제72권 37~60페이지(총24페이지)
본고는 관각문인이자 조선 중기 한문 사대가의 한 사람으로서 문학사적인 평가를 받아온 택당(澤堂) 이식(李植, 1584~1647)의 실제 문학비평을 구체적으로 읽음으로써 택당 문학비평의 개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간본 『택당집』과 사본 『택당유고전집』에 소재하고 있으며 대상이 문학적 저작인 서발류 산문 34편을 살펴본다. 택당 이식의 문학비평은 기존의 평가와 달리 어떤 특정한 문론(文論)에 국한되기보다는, 어떤 문학이 진정한 고전적 문학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문학사를 총체적으로 종합하는 비평이라고 할 수 있다. 택당은 한 저자의 문학에 경학(經學)과 고문(古文)의 토대가 겸비되어 있는가를 비평적 가치평가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았다. 이러한 객관적 비평 기준에 의거하여, 그는 당대 문학장의 논쟁, 정치적 당목(黨目), 동아시아 고전문학...
TAG 택당 이식, 『택당집』, 『택당유고전집』, 서발류, 序跋類, 고전문학사, 윤리학적 비평, Taekdang Yi Sik, The Selected Works of Taekdang, The Complete Works of Taekdang, prefaces and postfaces, history of East-Asian classical literature, ethical criticism
이주홍 노년소설에 나타난 노년의 정체성
박산향 ( Park San-hyang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석당논총 [2018] 제72권 61~79페이지(총19페이지)
이주홍은 자신이 노년기를 겪기 시작한 1970년대 작품에서 자연스럽게 노년에 대한 불안과 노년의 문제를 다루기 시작하며 노년소설을 발표하기 시작하였다. 죽음은 아무도 대신해 줄 수 없으며 시시각각으로 죽음과 마주 서서 살아간다는 생각을 가졌던 그는 마지막 작품인 「미로의 끝」에서도 죽음의 문제에 천착하였다. 그러나 이주홍의 소설을 노년소설로 규정하고 본격적으로 개별 작품을 논의한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주홍의 노년소설에 대한 고찰로써, 가족으로부터 외면당하고 타자화되고 있는 노년의 모습을 「바다의 시」, 「산장의 시인」, 「촌수상경기」, 「수병」을 통해서, 노화와 죽음을 수용하는 작가의식은 「낙엽기」, 「풍마」, 「수병」, 「미로의 끝」을 텍스트로 살펴보았다. 경제활동에서 은퇴한 노인들은 사회적으로 ‘폐물’ 취급받는 것보다 가장 가...
TAG 이주홍, 노년소설, 노년기, 노년정체성, 노화, 소외, Lee Ju-hong, old age, old age identity, aging, isolation
독서운동으로서 ‘한 책, 한 도시’ 연구 - ‘원북원부산’ 운동을 중심으로 -
이국환 ( Lee Kook-hwan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석당논총 [2018] 제72권 81~110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는 국내 대표적인 독서운동으로 평가받는 ‘한 책, 한 도시’ 운동을 이해하고, 구체적인 실천 사례를 분석하고자 ‘원북원부산(One Book, One Busan)’ 운동을 고찰하였다. 1998년 미국 시애틀에서 ‘시애틀 시민이 책 한 권을 같이 읽는다면’이라는 생각의 운동이 시작되었다. 시애틀 공공도서관은 소설책 한 권을 선정하고 모든 시민이 함께 읽도록 권장했다. 책을 읽은 사람들은 같은 책을 읽었다는 동질감에 공공장소에서 책에 대해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누었고, 그 책으로 토론회를 열고 학교 수업에 활용하면서 시민들은 독서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한 권의 책을 공유하며 시민들은 자연스럽게 공동체 의식을 가지게 된 것이다. 시카고 시의 ‘한 책, 한 시카고(One Book, One Chicago)’를 시작으로 이 운동은 미국 ...
TAG ‘한 책, 한 도시’, 원북원부산, ‘한 책’, 독서운동, ‘One Book, One City’, One Busan’, ‘One Book’, Reading Movement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