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윤리교육학회74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의사결정 자동화에 대한 대응으로서의 인공지능윤리 교육
김효은 ( Kim Hyo-eun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5권 277~308페이지(총32페이지)
인공지능 시대에 인공지능윤리 교육은 윤리교육에 어떤 새로운 의미와 기회로 작용할 것인가? 인공지능윤리는 기존의 공학윤리와 어떤 내용이 다르며, 어떤 교육내용을 필요로 하는가? 이 논문은 이에 대해 인공지능윤리는 산업현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인공지능 설계 과정에 내장된 방식으로 윤리적 요소가 역할을 한다는 점을 제시한다. 이 점은 각 기업과 기관들이 인공지능윤리 지침을 채택하는 점에서 잘 드러난다. 인공지능윤리 지침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알고리즘 편향, 투명성, 설명가능성, 공평성 등은 기존의 공학윤리에서 다루는 주제와는 다른 내용으로 새로운 교과로 구성될 필연성을 보여준다. 이는 각국에서 운영되는 인공지능윤리 교과의 내용에서 보여진다. 결론적으로, 인공지능윤리 교과는 공학윤리와 다른 차원의 내용을 가지며 이를 통해 보다 외연이 넓은 시민교육이 가능하다.
TAG 인공지능, 인공지능윤리, 자율지능시스템, 딥러닝, 알고리즘 편향, Artificial intelligence, AI ethics, autonomous intelligent system, deep learning, algorithm bias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도덕과 평화교육의 가능성 모색
문경호 ( Moon Kyung-ho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5권 309~336페이지(총28페이지)
이 글에서는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도덕과 평화교육을 역량과 발달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과 발달 수준을 토대로, 소셜 미디어의 특징인 참여, 상호작용, 의사소통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평화교육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대표적으로 평화 캠페인은 소셜 미디어 표현 능력과 적극적 참여 능력을 길러줄 수 있으며, 프로젝트 학습은 소셜 미디어의 생산적 활용 능력,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또한 소셜 미디어 기반 토론 학습은 소셜 미디어 평가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학생들의 삶에서 소셜 미디어가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하여, 평화교육의 장면에서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갈등의 장(場)이 아닌 대화와 토론, 협력과 관용의 장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교육적 지혜를 모아나가야 한다.
TAG 소셜 미디어,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도덕교육, 평화교육, Social Media, Social Media Literacy, Moral Education, Peace Education
디지털원주민 시대의 통일교육과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
박형빈 ( Park Hyoung-bin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5권 337~364페이지(총28페이지)
학교 교육은 현재 세대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교육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고려해야 한다. 아날로그 세대와 차별화된 특성을 보이는 디지털원주민 Z세대를 위한 학교교육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통일교육 측면에서 Z세대의 특성을 고려할 때 다음 사항을 고려할 수 있다. 1) 통일과 국가에 대한 열린 시각, 2) 학습자 특성고려의 교육 전략, 3) 미디어 기술 기반, 미디어리터러시 활용 교육환경 구축이다. 특히 게임은 놀라운 동기 부여 효과를 갖기에 게이미피케이션은 Z세대의 학습 동기 향상에 큰 의미가 있다. 따라서 Z세대의 학습 동기와 몰입을 유도하기 위해 게이미피케이션을 사용한 통일교육을 제안할 수 있다. 게임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인 목표, 경쟁, 상호작용을 채택하고 적용할 수 있다.
TAG Z세대, 디지털원주민, 통일교육, 게이미피케이션, 학습자중심, 동기 부여, Generation Z, Digital Natives, Reunification Education, Gamification, learner-centered, motivation
김정은 시대 북한 사회주의도덕 교과서 분석 - 초급중학교 2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
김병연 ( Kim Byeong-yeon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5권 365~393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김정은 시대 사회주의도덕 교과서를 분석하여 북한 도덕교육의 양상을 탐구하였다. 김정일 시대 교과서와 비교하여 초급 중학교 2학년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김정은 시대 사회주의도덕 교과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표지가 컬러로 바뀌고, 본문에서 사진과 삽화가 눈에 띄게 증가하는 등 외형적으로 바뀌었다. 둘째, 학생의 사고를 확산할 수 있는 동기유발, 일상생활 적용, 마무리 형성평가 등 다양한 활동으로 소단원이 구성되었다. 셋째, 조국애를 강조하는 내용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고, 지도자 언급횟수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지도자의 위대성을 부각하는 내용은 여전히 강조되고 있다.
TAG 김정은 시대, 북한교육, 사회주의도덕, 교육과정, 교과서, 구성 체계, 도덕 규범, Kim Jong-Un Era, North Korean Education, Socialist Morality, Curriculum, Textbooks, Organizational System, Moral Norms
2015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도덕과 교사 요구 분석
김국현 ( Kim Kuk-hyeon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19] 제54권 1~34페이지(총34페이지)
본 논문은 2015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도덕과 교사들의 요구를 분석한 것이다. 주요 요구는 통합사회와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명료한 도덕과 정체성 진술, 도덕과의 성격에 맞는 내용 요소 선정 및 조직, 윤리적 쟁점에 대한 적응적 학습을 위한 교육내용 요소 적정화로 분석되었다. 교사들의 요구를 효과적으로 충족하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생의 흥미와 참여에 근거한 민주적 교육과정 설계와 실행, 교육과정 해설서 재발행을 통한 교육과정의 효과적 실행지원, 한국사회의 핵심 가치에 대한 실증적 증거 축적이 필요하다.
TAG 도덕과 교육, 도덕과 교육과정, 교육과정 개정, 도덕과 성격, 도덕과 교육내용, Moral Education, Moral Education Curriculum, Curriculum Revision, Morality and Personality
고교학점제에서의 도덕과 교육의 변화와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문경호 ( Moon Kyung-ho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19] 제54권 35~57페이지(총23페이지)
이 글에서는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인해 예상되는 도덕과 교육의 변화와 쟁점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과 개정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입시 경쟁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진로 설계와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체제 개편의 일환으로 도입된 고교학점제에서는 학습집단 편성의 다양화, 도덕·윤리 과목 개설의 다양화, 정성적 평가 방식의 확대가 예상된다. 때문에 개설 과목 다양화의 방식, 도덕과 선택과목의 이수 시간, 이수 단위, 이수 기준 결정의 문제가 쟁점화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차기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는 한 학기 기준 이수 과목 개발, 문·이과 융합형 내용요소 확대에 주안점을 둘 필요가 있다. 고교학점제로 인하여 예상되는 변화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선제적·적극적 대응을 함으로써 도덕과 교육이 학점제...
TAG 고교학점제, 도덕교육, 도덕과 교육과정, 문·이과 통합교육, High school credit systems, moral education,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tegrated education of liberal art and natural science
생태중심주의에서 내재적 가치 논쟁 - 도덕과 교육내용으로서 생태중심주의 분석과 제언 -
김남준 ( Kim Nam-joon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19] 제54권 59~118페이지(총60페이지)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내재적 가치는 인간의 의식이나 평가에 의존적인 것인지, 아니면 인간의 의식이나 평가로부터 독립적인 것인가?”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캘리콧의 가치 주관주의와 롤스톤의 가치 객관주의를 비교·논구함으로써 내재적 가치에 대한 생태중심주의 내부의 논쟁을 분석하는 것이다. 캘리콧은 흄, 다윈, 레오폴드로 이어지는 학문적 흐름 속에서 탈인간중심적이면서도 인간 기원적인 내재적 가치로서 본래적 가치를 지지한다. 캘리콧과 비교할 때, 롤스톤은 가치 관찰자와 가치 담지자를 구분함으로써 인간중심적이지도 않고 인간 기원적이지도 않은 객관적이고 자율적인 내재적 가치를 옹호한다. 캘리콧과 롤스톤 모두 인간 이외의 존재와 생태계가 비도구적 가치를 갖는다는 입장에 서 있다. 그런데 캘리콧의 본래적 가치는 인간의 의식이나 평가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일부를 생략하여 줄...
TAG 생태중심주의, 내재적 가치, 본래적 가치, 캘리콧, 롤스톤, ecocentrism, intrinsic value, inherent value, J. Baird Callicott, Holmes RolstonⅢ
‘살아있음의 도덕교육’ 실천을 위한 도덕교사의 역할 - 인문학과 생물학의 해석학적 소통을 중심으로 -
오유진 ( Oh You-jin ) , 정창우 ( Jeong Chang-woo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19] 제54권 119~144페이지(총26페이지)
교사가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학생과의 교육적 만남을 통해 나누는 “대화”(M. Buber), “초월”(E. Levinas & 김연숙), “진리에의 길”(오천석)은 생생히 살아있는 관계성과 연결성을 가져온다. 두 현존 간의 살아있는 ‘만남’을 통해 인성의 변화를 촉진하는 도덕교육과, 생명체가 개체 고유성과 개방성으로부터 자기 생성을 창발해내는 생물학적 기제에는 근본적 유사함이 존재한다. 학생의 결핍과 요청을 발견하고 의미 있는 소통을 나누려는 교사의 의식은 “살아있음의 도덕교육”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TAG 살아있음의 도덕교육, 도덕교사, 교육적 만남, 타자의 얼굴, 시스템 생물학, 오토-포이에시스, 변화, 창발, moral education as process of living, ethics teacher, educational meeting, face of the Other, systems biology, auto-poiesis, transformation, emergence
인류세의 환경윤리와 도덕교육
노희정 ( Noh Hui-je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19] 제54권 145~164페이지(총20페이지)
본 글은 인류세의 지구환경 변화에 대한 인간의 대응양식을 다양한 관점에서 검토하고 지구환경 변화로 발생하는 제반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환경윤리학의 과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며, 더 나아가 도덕교과에서는 자연환경의 보전을 위해 어떤 교수·학습전략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환경가치관을 정립시킬 것인지에 대해 논의한다. 이러한 논의는 지구환경과 관련된 과학적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규범적 연구를 진행하고 환경가치관 정립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도덕교과 교육의 학제적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TAG 환경윤리학, 도덕교육, 인류세, 도덕 확장주의, 지속가능개발, Environmental Ethics, Moral Education, Anthropocene, Moral Expansionism, Sustainable Development
존엄사 결정에서 윤리의 역할
김대군 ( Kim Dae-gun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19] 제54권 165~191페이지(총27페이지)
본 논문에서는 존엄사의 의미를 어떻게 수용하고 정당화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연명의료결정에 논점을 맞추어 윤리적 성찰에서 요구되는 체크리스트의 내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죽음을 맞이하는 준비는 관련 당사자들이 삶의 어느 시점에서 하든 자연스러운 것이다. 그런데도 아직까지는 임종이 임박한 경우조차 치료의 중단이나 죽음의 준비에 대해 소통을 하는 것이 쉽지 않다. 제도적으로는 이미 연명의료결정의 가이드라인이 제시되고 있지만 가치관에 따라 이것을 수용하는 데 혼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은 연명의료결정 제도가 시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존엄사 수용의 혼란을 줄이기 위하여 윤리가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을 찾아본다. 우선 존엄사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 생명과 죽음의 의미가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존엄사가 어떤 방식으로 정당화되고 있는지 고찰할 것이다...
TAG 존엄사, 연명의료결정, 자기결정권, 생명 이익 평가, 생명윤리교육, 윤리적 성찰, 윤리적 체크리스트, Death with Dignity, Decision for Life Prolongation Treatment of Patients, Right of Self-determination, Life-interest Assessment, Ethical Reflection, Ethical Checklist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