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독서학회 AND 간행물명 : 독서연구60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차세대 읽기 평가의 방향 탐색 : GISA 평가틀과 읽기 수행 중재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박혜영 ( Hye-young Park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9] 제52권 167~198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읽기 평가의 특징을 보이고 있는 GISA를 분석하여 새로운 읽기 평가의 방향을 탐색하고, 향후 우리나라 읽기 평가 개선 및 차세대읽기 평가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광역(Global), 통합형(Integrated), 시나리오 기반 평가(Scenario-based Assessment)로 개발된 GISA는 디지털 시대가 요구하는 읽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기존의 읽기 능력구인을 확장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학습을 위한’ 읽기 평가를 지향하면서 평가의 결과를 통해 학생의 발달과 교수학습 개선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읽기 수행의 중재요인을 설정, 평가도구를 설계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이러한 GISA 평가의 특징은 앞으로 우리나라 읽기 교육 및 평가를 개선하는데, 그리고...
TAG 읽기, 읽기 평가, 목적 지향 읽기, 과정 중심 평가, 학습을 위한 평가, 읽기 평가틀, 읽기 수행 중재요인, 시나리오 기반 평가, Reading Assessment, purpose-driven reading, assessment for learning, reading assessment framework, performance moderator, scenario-based assessment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페미니즘 텍스트 읽기에 나타난 독자 담론 분석 : 소설 82년생 김지영을 중심으로
최숙기 ( Choi Sook Ki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9] 제52권 199~239페이지(총4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페미니즘 이슈에 관한 주요 공론장으로 기능하는 페미니즘 독서 모임에 참여한 독자들이 페미니즘 서적-이후적 독서 과정에서 생산한 담론 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페미니즘 서적을 읽고 독서 토론을 수행한 이후 성인 독자 48명이 산출한 독후 에세이를 대상으로 토픽 모델링방법 중하나인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어 빈도(TF) 분석 결과에 따르면 <82년 김지영> 소설이 1982년 출생한 30대 ‘김지영’이라는 여성 인물을 통해 한국 여성들이 경험한 성차별 문제를 페미니즘 독서 토론의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표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TF-IDF 분석 결과에 따르면 모든 독자 집단에서 페미니즘 독서 토론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고, 여성 독자는 ...
TAG 페미니즘 텍스트 읽기, 페미니즘 독서 토론, 82년생 김지영, 독자 담론, 토픽 모델링, Feminist text reading, Feminist reading discussion, 82 year student Kim Ji-young, Reader Discourse, Topic Modeling
인공지능시대 문학 독서 교육의 쟁점 : ‘자각’으로서 문학 독서 교육의 방향을 중심으로
진선희 ( Jin Sunhee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9] 제51권 9~40페이지(총32페이지)
인공지능 시대는 노동 종말의 시대, 불안과 외로움의 시대, 무형 자산의 시대, 참자아 실현의 시대이다. 이는 유형 자산을 위한 노동과 경쟁을 지양하고 인간의 참자아를 회복하고 실현하는 일이 가능해진 시대의 도래를 의미한다. 인간의 자기동일성 회복이 절실함을 뜻하기에 문학교육의 시대적 과제는 더 커지고 더 막중해졌다. 인공지능시대에 요구되는 문학교육의 역할로 자기동일성 회복에 기여하는 교육, 인간 고유의 상상력과 창의력 발현을 위한 교육, 이성 중심의 가치관을 극복하여 인간의 고통을 자각하고 치유하는 교육으로 보았다. 인간이 에고라는 이원론적이고 욕망 지향적 자아에만 함몰되지 않고 전일체성의 자각과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은 문학 독서의 과정들과 유사하다. 문학 교육은 문학과 독자의 만남이 단순한 이원론적 가치에 따른 판단과 추론에 머무르지 않도록 다양...
TAG 인공지능시대, 문학 독서, 문학교육, 자각, 자기동일성,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ture, literature education, Self-awareness, Self-Identity
국어교육에서의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
손예희 ( Son Yehee ) , 김지연 ( Kim Jiyou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9] 제51권 43~64페이지(총22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국어교육에서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와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의 관련성을 탐구하고, 국어과 교육과정 및 핵심 역량과 관련한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의 구성 요소와 내용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의 소통 단계를 수용, 생산, 유통으로 분류하고 각 구성 요소를 비평적 이해 능력, 자성적 표현 능력, 상보적 공유 능력으로 설정하였다. 비판적 이해 능력은 정보의 비판적 분석 및 평가, 정보의 선별적 수용 및 재구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는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자료·정보 활용 역량과 관련이 있다. 자성적 표현 능력은 복합양식 텍스트를 활용하여 정체성을 표현하는 능력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평판 관리와 표현 윤리 준수를 통해 신뢰성을 구축하는 것으로 발현된...
TAG 국어교육, 소셜 미디어, SNS,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핵심 역량, Korean language education, social media, social media literacy, key competency
초등학생 독자의 설명하는 글 요약하기 양상 : 동시출현단어분석(Co-occurrence analysis)을 활용하여
백희정 ( Baek Hee-jeong ) , 이경화 ( Lee Gyeong-hwa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9] 제51권 65~91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초등학교 독자가 설명하는 글을 읽고 요약을 하는 양상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 독자가 설명하는 글을 읽고 작성한 요약문을 대상으로 동시출현단어분석을 실시하고 네트워크로 시각화하였다. 통계적으로 추출한 자료를 van Dijk(1980)의 거시 규칙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학년과 6학년 독자는 대체로 단어의 위계에 따라 ‘삭제와 선택’ 규칙을 사용하였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특정 문단에 치우치지 않고 중심 단어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4학년과 6학년 독자는 ‘일반화’ 규칙을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특히, 4학년은 세부 예시를 그대로 옮겨 적거나, 모두 삭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4학년과 6학년 독자는 ‘구성’ 규칙을 일부 사용하였으나, 4학년은 불완전한 형태로 나타...
TAG 요약하기, 동시출현단어분석, 거시규칙, 설명하는 글, 독자, Summary, Co-occurrence analysis, Macro-rule, Expository text, Reader
예비 국어교사의 교과 논술 과제 설계에 나타난 교과서 텍스트 선택 체험 분석
장성민 ( Sungmin Chang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9] 제51권 93~130페이지(총38페이지)
이 연구는 예비 국어교사를 대상으로 교과 논술 과제 설계를 뒷받침하는 4회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여기에서 산출된 자료에 대해 반복적인 질적 코딩을 적용함으로써 ‘담화 행위에 기반한 학습(learning from texts)’을 뒷받침하기 위한 대표적인 자료원으로서 교과서 텍스트 선택의 체험을 분석하였다. 브릿과 루엣(Britt & Rouet, 2012)이 제안한 다문서 모형의 구성 요소와 각각으로부터 연결되는 인지적 처리의 범주에 따라 주요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텍스트는 학습자에게 적합한 텍스트 속성을 지니고 있으나, 도전적이지 않거나 충분양 양의 지식을 전달하지 못하는 자료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둘째, 교과서 텍스트는 교육적 맥락에 적합한 신뢰롭고 권위 있는 출처를 기반으로 삼고 있기는 하나, 사회적 패러...
TAG 교과 논술, 제시문, 교과서, 다문서 모형, 자기 조절 학습, Essay Writing, Source Material, Textbook, Documents Model, Self-regulated Learning
『훈몽자회(訓蒙字會)』의 한글 지도 방법 연구 : 『훈민정음(訓民正音)』과 비교를 중심으로
최영환 ( Yeonghwan Choi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9] 제51권 131~167페이지(총37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훈몽자회』의 언문자모 내용에서 한글 지도 방법에 찾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훈몽자회』의 자모자 내용은 한글 지도를 위해 자모자에 대한 설명과 합용자에 대한 설명으로 나눌 수 있다. 자음자에 대한 설명을 초성자와 종성자로 나누면 중성자에 대한 설명 방식과 같아진다. 합용자를 만드는 방식도 불필요한 설명은 삭제하고 설명 방식을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 둘째, 한글 지도를 할 때에는 자음자 명칭을 음가로 환원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초성자로 사용할 경우에는 앞 음절의 음가를, 종성자로 사용할 경우에는 뒤 음절의 음가를 나타내면 된다. 자음자의 명칭을 음가로 활용하면 기본음절표의 자음자 명칭도 ‘기역, 니은, 디귿’이 아니라 ‘기, 니, 디’와 같이 한 음절 형태로 바꿀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글자의 형태와 글자의 음...
TAG 훈몽자회, 한글 지도 방법, 음절자, 기본음절표, Hunmonjahoe, teaching Hangeul, syllable character, syllable table
청소년 독자의 읽기 활동체제(activity system) 분석 : 우수한 고등학생 독자의 ‘의미 있는 읽기’ 활동을 중심으로
편지윤 ( Pyun Ji-yu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9] 제51권 169~210페이지(총42페이지)
이 연구는 의미 있는 읽기 활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및 수행 양상을 문화역사적 맥락에서 분석하여, 읽기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목적표집방법으로 7명의 우수한 고등학생 독자를 선정하여 의미 있는 읽기의 활동체제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의 3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독자 역할의 다층위적 수행에 대한 읽기 교육이 구체화될 필요가 있다. 둘째, 읽기 교육의 관점에서 ‘텍스트를 읽기’와 ‘텍스트로 읽기’의 문제를 심층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셋째, 읽기 공동체와의 주체적 협상을 통해 공동체의 변화 및 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행위주도성(agency) 신장을 위한 읽기 교육 논의가 본격화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고등학생들이 경험하는 여러 읽기(readings)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 간극을 조...
TAG 읽기 활동, 의미 있는 읽기, 여러 읽기, 행위주도성, 읽기 공동체, 문화역사 활동이론, 청소년 독자, Reading Activity, Meaningful Reading, ‘Readings’, Agency, Reading Community, Culture Historical Activity Theory, Adolescent Reader
독서 향유자의 기원과 성장에 대한 질적 연구
오윤주 ( Oh Yunjoo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9] 제51권 211~250페이지(총40페이지)
이 연구는 성인 독서 향유자를 대상으로 하여 그가 어떤 경로를 거쳐 독서 향유자로 탄생하고 성장하였는지를 질적으로 탐색하고, 독서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독서 교육의 궁극적 지향은 주체적인 독서 향유 능력을 지닌 평생 독자를 기르는 데에 있다. 이 연구는 바람직한 독서 향유자의 특성 중 하나로 독서 문화에 스스로 참여하는 적극적 표현 능력을 설정하고, 그러한 기준에 부합하는 성인 독서 향유자 4인을 선정하여 이들의 저서, 방송, 인터뷰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독서 향유자의 형성 경로를 탐색하고, 독서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독서의 재미에 눈뜨게 한 경험으로부터 출발하여 ‘습’의 형성을 통해 한 단계 도약하였으며, 독서를 위한 최적의 시공간을 적극적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이들은 책의 물성과 정신성 양자에...
TAG 성인 독서 향유자, 기원, 성장, 질적 연구, 재미, , 윤리, 공유와 표현, adult enjoying readers, origins and growth, qualitative research, fun of reading, habits, ethical refinement, sharing and expression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교육적 함의
김영란 ( Youngran Kim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9] 제51권 251~282페이지(총32페이지)
본고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중점 사항인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교육적 함의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 연구는 우선 ‘한 학기 한 권 읽기’가 교육부가 오랫동안 추진해 온 독서교육 정책 추진의 맥락과 교사들의 대안적 교육실천의 맥락 속에서 등장했음을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본고에서는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교육적 의의와 가능성을 네 가지로 점검하였다. 첫째, ‘한 학기 한 권 읽기’는 책 선택권을 학생들에게 부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읽기 동기 부여 촉진과 그로 인한 긍정적인 독서 태도 형성 및 평생 독자 육성의 단초를 제공한다. 또한 텍스트 선정을 학습자 중심으로 해야 함으로써 교과나 지식 중심의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 구성이 촉진될 수 있음을 논하였다. 둘째, ‘한 학기 한 ...
TAG 한 학기 한 권 읽기, 교육과정 통합, 독서교육,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Reading One Book in A Semester, Curriculum integration, Reading education, N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15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