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AND 간행물명 : 교육공학연구92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학습관리시스템(LMS) 데이터를 활용한 기술수용모형의 사용의도와 실제사용 간의 관계 분석
김기범 ( Kibeom Kim ) , 차윤미 ( Yoon Mi Cha ) , 이현우 ( Hyeon Woo Lee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제2호, 139~157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형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용의도와 실제사용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LMS를 활용하는 학습자의 로그 데이터에 기반해 사용자의 인식과 사용의도가 실제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인 A대학교 재학생 1,281명을 대상으로 LMS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실제사용 데이터는 LMS에 기록된 로그 중 강의자료, 동영상, 링크, 외부 학습자원 등의 학습자원에 접근한 기록과 게시판, 과제, 퀴즈, 토론, 팀활동 등의 학습활동에서 발생한 기록만 필터링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제사용은 강좌별로 교과목 및 교수자의 특성에 따라 교수-학습 활동에 차이가 있으므로 학습자의 로그 데이터의 양을 강좌별로 정규화하고 그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인과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설문조사 후 그 다음 학기동안 LMS에서 ...
TAG LMS, TAM, interaction, intention to use, actual usage, 인터렉션, 사용의도, 실제사용
학교 안 메이커스페이스(Makerspace)기반 메이커 교육의 학습과정 탐색
이봉규 ( Bonggyu Lee ) , 김현진 ( Hyeonjin K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제2호, 159~192페이지(총34페이지)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미래 인재에 대한 진지한 담론 속에 미래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미래사회를 위한 혁신적인 교육 키워드들이 소개되면서, 메이커 교육이 주목을 받고 있다. 선행연구는 메이커 교육의 효과를 보고하지만 실제적으로 학습과정이 수행되는 맥락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소상히 보여준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형식교육에서 메이커스페이스 기반 메이커 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메이커 교육의 사례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통해 어떠한 학습과정이 일어나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두 가지 연구문제는 첫째, 학교 안 메이커스페이스에서 학습자의 학습과정은 어떠한 특징이 있는가? 둘째, 학교 안 메이커스페이스에서 학습자의 실패를 통한 학습은 어떠한 특징이 있는가? 이다. 본 연구는 메이커스페이스 기반 경기도 W고등학교의 방과 후 메이커 ...
TAG maker education, makerspace, learning process, failure, 메이커 교육, 메이커스페이스, 학습과정, 실패
대학생 대상의 디자인 사고 교육이 창의성역량에 미치는 영향
원연정 ( Yeonjung Won ) , 배예나 ( Yena Bae ) , 최윤영 ( Younyoung Choi ) , 안미리 ( Milee Ahn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제2호, 193~226페이지(총34페이지)
본 연구는 창의성역량의 구성요소는 무엇인지 알아보고, 대학생들에게 디자인 사고 교육을 실행한 후 창의성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적 문제해결방법인 디자인 사고 교육을 통하여 급변하는 21세기를 살아가는 대학생들에게 필요한 학습과 혁신스킬인 창의성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창의성역량 측정을 위해 21세기 핵심역량 측정도구와 근거기반 설계모형(ECD)에 기반하여 개발된 평가문항을 사용하였고, 이 중 창의성을 측정하는 문항들을 발췌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대학생의 창의성역량은 창의적 사고역량, 호기심역량, 상상력역량, 유창성역량으로 구성되고, 2) 디자인 사고 교육이 대학생들의 창의성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자인 사고 교육 후 창의성역량 평...
TAG design thinking, core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creativity competency, competency education, 디자인 사고, 대학생의 핵심역량, 창의성역량, 역량 교육
한국교육공학연구: 초기 및 최근 연구들의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오은정 ( Eunjung Grace Oh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제2호, 227~251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 교육공학회의 주요 저널인 교육공학연구에 출판된 교육공학학문을 검토한 연구이다.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이 두 가지 개념적 틀을 분석의 도구로 사용하여, 초1985년부터 1993년과 2009년부터 2017년간, 두 번의 9년이라는 기간 동안 교육공학연구에서 출판한 374개의 논문에 대한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서는 초기에 비하여 최근 논문들에서 사용된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방법들이 보다 다양화되었으며, 이에 따른 한국의 교육공학분야의 연구를 통해 창출되는 지식의 주요 특성 등, 교육공학의 연구에 대한 주요 동향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초기에 비하여 최근에는 이론 개발 및 종합적 연구 목적을 지닌 논문들의 출판이 많이 감소하였으나, 기술/해석적 연구 목적과 설계/개발적 연구 목적을 지닌 논문들의 출판은 다소 상승하였...
TAG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goal, research method, 교육공학,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중학교 영어과 수업에서 학업성취도에 따른 협동학습의 상호작용 분석
김민지 ( Minji Kim ) , 이지은 ( Jieun Lee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제1호, 1~35페이지(총35페이지)
본 연구는 면대면 협동학습에서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따라서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전라남도 H에 위치한 H중학교 2학급의 영어 수업에서 실시한 협동학습을 분석하였다. 독립변인을 개인의 학업성취도 수준과 집단 내 학업성취도 차이로 구분하고 종속변인은 발화량, 말차례, Gunawardena의 메시지 내용분석틀을 사용하여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빈도분석, 내용분석, 비모수 Mann-Whitney U검정을 실시하여 통계 검증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화량은 개인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들보다 발화량이 더 많았다. 둘째, 말차례는 학업성취도 차이가 큰 집단이 작은 집단보다 빈도가 더 높았다. 셋째, 메시지는 모두 정보 공유 메시지 빈도가 90% 이상으로 가장...
TAG academic achievement, cooperative learning, interaction, word counting, turn taking, context analysis, Gunawardena interaction analysis model, 학업성취도, 협동학습, 상호작용, 발화량, 말차례, 메시지 내용분석, Gunawardena 상호작용 분석 모형
내현적 자기애와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에서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구정선 ( Jungsun Gu ) , 이경순 ( Kyugsoon Lee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제1호, 37~68페이지(총32페이지)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에 주목하여,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에서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230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소외에 대한 두려움,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에 대한 두려움,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즉, 내현적 자기애가 높을수록,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높을수록,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내현적 자기애와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즉,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은 내현적 자기애를 통해 직접적으로, 또한 소외에 대한 두려움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개 ...
TAG social media addiction, covert narcissism, fear of missing out,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내현적 자기애, 소외에 대한 두려움
액션러닝 기반 대학 수업에서의 학습자 평가 도구 개발
이성아 ( Seonga Lee ) , 엄우용 ( Wooyong Eo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제1호, 69~105페이지(총37페이지)
본 연구는 액션러닝 기반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액션러닝 기반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도구를 개발한다. 둘째, 평가 도구의 타당성 및 적합성을 검증한다. 이를 위하여 패널을 대상으로 네 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하였으며, 액션러닝 기반 대학 수업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교수자와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액션러닝 기반 대학 수업에서의 학습자 평가 도구는 3개의 영역과 14개의 평가 항목, 38개의 평가 내용 및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평가 영역은 과제, 과제 해결 과정...
TAG action learning, learner’s evaluation instrument, action learning based on university class, 액션러닝, 액션러닝 평가 도구, 대학에서의 액션러닝
미래 사회와 교육을 위한 교육공학 연구 및 실천 영역의 재조명
임철일 ( Cheolil L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253~287페이지(총35페이지)
본 연구는 미래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적 변화의 노력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면서 향후 교육공학 분야가 어떤 연구와 실천을 새롭게 주도해야 하는가를 제안하고자 한다. 미래 사회의 특성과 요구되는 인재의 역량 그리고 교육 목표를 분석한 후, 창의·융합 역량의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방법의 특성을 교육 목표와의 직접적 영향 여부에 따라서 구분하였다. STEAM, 메이커 교육, 창의적 문제 해결, 소프트웨어 교육은 창의, 융합과 같은 미래 사회에서 강조되고 있는 역량을 직접적으로 겨냥하는 기술 기반의 교육방법이다. 적응적 학습, 인공지능, 로보틱스 증강현실과 가상현실, 사물인터넷 활용 교육, 거꾸로 학습은 일반 교과 역량 획득을 지원하면서 간접적으로 창의, 융합 역량을 도모하는 방법이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육공학의 새로운 연구와 실천 영역으로 ‘창의와 ...
TAG future society, education, new research and practice of educational technology, 미래 사회, 미래 교육, 교육공학 연구와 실천 영역
미국 역량중심 교육정책 분석과 국내 역량중심교육에 대한 시사점
류태호 ( Taeho Yu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289~311페이지(총23페이지)
역량중심교육은 최근 미국 교육계에 큰 화두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내에서 역량중심교육을 활발히 적용하고 있는 뉴햄프셔, 오하이오, 일리노이, 플로리다, 미시건, 유타, 네바다, 아이다호 주 등 8개 주의 교육정책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에서 역량중심교육을 도입하는데 있어 고려할 만한 5가지 시사점을 제시했다. 첫째, 교육부에서 먼저 역량중심교육에 대해 이해하고 역량중심교육 시범학교를 선정해 정책자금을 지원하거나 학점제도 운영에 대해 일선 학교에 자율권을 제공해서 일선 학교에서 학생들을 위한 보다 나은 교육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보장을 해주는 것. 둘째, 어느 한순간 정책적 변화를 통해 갑자기 모든 학교에서 역량중심교육을 시행하도록 강제하기 보다는 시범학교를 선정해 3~5년간 시범 운영하면서 학계와 연계해 한국형 역량중심교육 모델 개발을 ...
TAG competency, competency-based education, competency-based education policies, 역량, 역량중심교육, 역량중심교육정책
기계학습: 대용량/패널자료와 학습분석학 자료 분석으로의 활용
유진은 ( Jin Eun Yoo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313~338페이지(총26페이지)
컴퓨터공학을 비롯한 여러 학문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기계학습 기법은 전자상거래, 유전체학, 자연어 분석, 의료영상처리, 자율주행자동차 등의 다양한 분야에 성공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반면, 기계학습을 이용한 교육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으며, 기계학습 자체에 대한 교육 분야 연구자들의 이해 또한 높지 않다. 본 연구는 기계학습의 정의로부터 시작하여 주요 개념인 추론과 예측, 과적합, 편향-분산 상충 관계, 교차검증, 지도학습과 비지도학습 등을 설명하며 기계학습을 전반적으로 개관하였다. 이어서 2019년 현재 교육분야에서 기계학습 기법을 쓴 연구와 학습분석학 자료를 활용한 연구를 정리·분석함으로써, 교육 분야 연구자들의 기계학습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교육 연구에서 기계학습의 저변을 넓히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기계학습 기법 중 지도학습 기법인 벌점회...
TAG machine learning, learning analytics, panel data, large-scale data, big data, 기계학습, 학습분석학, 패널자료, 대용량자료, 빅데이터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