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과학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215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문제의 구성을 강조한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탐구 문제와 과학적 추론의 관련성 탐색 -삼투 현상 탐구 활동을 중심으로-
백종호 ( Jongho Baek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제40권 제1호, 77~87페이지(총11페이지)
과학 탐구는 과학에 대한 다양한 학습의 차원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다양한 방법과 목적에 따라 운영되었다. 과학 학습에 대한 다양한 측면 중 과학적 사고력과 같은 과학과의 중요 역량 함양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과학적 추론이 적절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안내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과학적 탐구를 진행하는 과정 중, 탐구 문제의 발견과 구성 과정에서 드러내는 과학적 추론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어떠한 요인이 이 복잡한 과정에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삼투 현상’ 관련 탐구를 수행한 대학생 2개 모둠의 탐구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탐구 계획서 및 발표 자료, 모둠 별면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은 ‘삼투 현상’에 대한 자신들의 탐구 문제를 구성하고 진행하는 과...
TAG Scientific Reasoning, Problem, finding, Osmosis, 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IBE), 과학적 추론, 문제발견, 삼투 현상, 최선의 설명으로의 추론
중등 과학과 교사임용시험의 교과교육학 시험 개선 방안 탐색
곽영순 ( Youngsun Kwak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제40권 제1호, 89~96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현행 중등 과학과 교사임용시험의 2차 교과교육학 시험의 특징과 개선 방안을 탐구하였다. 임용시험 2차 교과교육학 시험인 교수학습지도안 작성 평가, 수업실연 평가, 교직적성 심층면접 평가, 과학실험시험 등을 중심으로 1차 지필시험과 차별화하면서 2차 실습형 과학교육학 시험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교수학습지도안 평가의 경우 1차 지필시험과는 평가초점이 달라서 2차 교수학습지도안 시험을 유지하되, 교수학습지도안 작성의 배점을 줄이고 수업실연의 비중을 높이는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수업실연 평가의 경우 교사양성과정에서 수업실연을 학점화하여 임용시험에 반영하는 방안, 교육실습이나 실제 수업 상황에서 평가하는 방안, 교과 수업전문성에 초점을 두고 수업실연을 평가할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과학실험시험의 경우 모든 시ㆍ도교육청에서...
TAG Teacher employment test, Science education area, Instructional plans, Teaching demonstration, Science experiment test, 교사임용시험, 교과교육학 영역 평가, 교수학습지도안, 수업실연, 과학실험시험
교사의 과정 중심 평가 역량에 관한 사례 연구 -중·고등학교 과학 교사 사례를 중심으로-
김유정 ( Yu-jung Kim ) , 이경건 ( Gyeong-geon Lee ) , 홍훈기 ( Hun-gi H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6호, 695~706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교사의 과정 중심 평가 역량(T-PEC)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중·고등학교 과학교사 각 1인의 과정 중심 평가 역량에 관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within-case 분석결과, 중학교 A 교사는 높은 과정 중심 평가 계획 역량과 협력적 의사소통 역량을 보였으나, 비평준화 지역의 특성으로 인해 낮은 과정 중심 평가 결과 활용 역량을 나타내었다. 고등학교 B 교사는 높은 협력적 의사소통 역량을 보였으나, 평가 과정에서 학생들의 자유도가 높지 않아 다소 낮은 과정 중심 평가 실행 역량을 나타내었고, 시간부족,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는 학교문화로 과정 중심 평가 결과 활용 역량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cross-case 분석결과, 중학교 A 교사와 고등학교 B 교사 모두 협력적 의사소통이 가장 높게, 시간부족으로 과정 중심 평가...
TAG process-centered evaluation, Teacher’s Process-centered Evaluation Competency, T-PEC, case study, science teacher, 과정 중심 평가, 교사의 과정 중심 평가 역량, 사례연구, 과학 교사
고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과학탐구연구에서 나타난 어려움 탐색
김가형 ( Gahyoung Kim ) , 하민수 ( Minsu Ha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6호, 707~715페이지(총9페이지)
학생들의 과학핵심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학생 중심의 자기주도탐구는 중요한 교수학습법이다. 학생들은 탐구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고, 때로는 원하는 결과물을 산출하지 못하거나, 예상했던 것에 비하여 의미 없는 탐구를 수행하는 등의 실패를 경험하게 된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과학탐구에서의 어려움과 실패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과학고등학교 및 과학중점 고등학교에서 과제연구의 경험이 있는 고등학생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을 중심으로 한 심층면담으로 이루어졌다. 질적 자료 분석은 면담 원자료로부터 참여자들이 경험한 어려움과 실패 상황과 그 원인이 드러낼 수 있는 문단을 찾아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실패 원인은 능력 부족, 불완전한 절차, 어려운 과제의 ...
TAG self-directed scientific inquiry, cognitive bias, case study, core competency, 과제연구, R&E, 과학탐구, 자기주도탐구, 핵심역량, 인지편향
초·중등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사 전문성에 관한 10년 주기(2008-2018) 비교 연구
맹희주 ( Hee-ju Maeng ) , 손연아 ( Yeon-a Son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6호, 717~728페이지(총12페이지)
창의융합 인재 양성의 중요성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도 융합과 통합교육을 지향하며 많은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학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더불어 최근 10년간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이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2007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었던 2008년도의 초·중등 과학교사 359명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었던 2018년도의 초·중등 과학교사 360명을 대상으로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PCK)에 대하여 10년간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분석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2018년 초·중등 과학교사들은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보통’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과학교육의 성공적인 안착을 ...
TAG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PCK, teachers’ professionalis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ecade, 통합과학교육, 교과교육학지식, 교사 전문성, 2015 개정 교육과정, 10년
과학기술특성화대학(KAIST)을 중심으로한 R&E 집중연구가 과학고등학교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최진수 ( Jinsu Choi ) , 김영민 ( Young Min Kim ) , 이영주 ( Young Ju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6호, 729~738페이지(총10페이지)
R&E 프로그램은 연구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하여 과학영재들이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하며, 관심 분야 전문가와의 긴밀한 만남과 과학탐구 경험을 통해 과학자로서의 연구 태도와 품성 및 자질을 함양하고, 창의성을 계발 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R&E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로 미래 과학기술 인력의 질적 향상뿐만 아니라 과학자들의 교육참여를 유도함으로써 교육 인력의 저변 확대를 통한 과학영재 교육의 질적 내실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R&E 프로그램이 미래 과학기술 인력으로써 필요한 창의인재역량과 첨단과학기술 분야 진로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의 R&E 프로그램에 참여한 D과학고등학교 1학년 학생 62명을 대상으로 집중연구 사전, 사후에 걸쳐 창의인재역...
TAG creative leader competency, science career orientation, science high school, R&E program, intensive research, 과학고등학교, R&E 프로그램, 과학진로지향, 창의인재역량, 학생창의연구, 집중연구, 영향
소집단 과학 논변 활동에서 초임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의 특징과 한계 탐색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김봉준 ( Bongjun Kim ) , 김희백 ( Heui-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6호, 739~753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과학 논변 활동을 생산적으로 프레이밍하는 초임 과학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의 특징과 한계에 대해 프레이밍 관점에서 분석했다. 논변 수업을 해본 적이 없는 초임 교사와 2개 학급 총 52명의 중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자극과 반응 단원에서 논변 활동을 도입하였다. 학생들은 귀의 구조와 기능을 학습한 뒤, 고막이 찢어지면 들을 수 없을까에 대한 개인의 논변을 구성하고 논의를 통해 소집단 논변을 구성하는 활동에 참여하였다.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이 활발한 집단 중에서 소집단 구성원의 특징이 유사하였으나 논변 활동의 양상이 달랐던 두 소집단을 초점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학생들의 소집단 논의 과정과 교사 면담, 학생 면담, 학생 추가 면담은 녹화·녹음 되었다. 이를 전사하여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위치 짓기 프레이밍의 관점에서 반응적 교수 실행의 ...
TAG responsive teaching, epistemological framing, positional framing, scientific argumentation, 반응적 교수, 인식론적 프레이밍, 위치 짓기 프레이밍, 과학적 논변 활동
융합인재교육 실행형태의 측정도구 개발 및 실행형태와 실행수준의 관계 분석
이진숙 ( Jin Suk Lee ) , 송태호 ( Tae Ho S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6호, 755~765페이지(총11페이지)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관점에서 융합인재교육의 실행 형태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실행 형태와 관련배경 요인이 실행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행형태의 측정도구는 다양한 선행 연구 및 심층면접 등의 분석을 기반으로 개발 되었고, ‘수업준비’, ‘수업설계’, ‘수업운영’, ‘평가’의 4개 세부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사전 개발된 측정 문항을 바탕으로 전국의 융합인재 교육 연구·선도학교의 교사, 융합인재교육 교사연구회 활동을 하는 교사, 그리고 융합인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일반 초등학교 교사 266명을 대상으로 융합인재교육 실행 형태를 조사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융합인재교육의 실행 형태를 측정을 위한 총 19개의 측정 문항을 확정하였다. 초등교사의 융합인재교육의 실행형태와 그 실제 실행수준의 관계를...
TAG STEAM, The scales to measure, The innovation configurations of STEAM, The usage levels of STEAM, Preparation, Design, Implementation, Evaluation, STEAM training experience, 융합인재교육, 측정도구, 실행형태, 실행수준, 수업준비, 수업설계, 수업운영, 평가, 연수경험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용어에 대한 명시적 및 암시적 교육 사례 분석
윤은정 ( Yun Eunje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6호, 767~775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교과서를 대상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과학용어의 명시적, 암시적 교육 사례를 분석하여 과학용어 교육 측면에서 현행 교과서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짚어보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실시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학년과 6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의 과학교과서 8권으로부터 사용된 과학용어들을 추출하고, 명시적 및 암시적으로 사용된 사례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과학교과서의 초, 중, 고 과학교과서에는 교과서에 포함된 전체 어휘 대비 약 15∼30% 정도의 비율로 과학용어가 사용되고 있었는데, 이는 페이지당 수록 과학용어 개수를 기준으로 외국의 경우와 비교했을 때 평균적으로 5배 이상의 많은 분량에 해당한다. 둘째, 과...
TAG scientific terminology, explicit term teaching, implicit term teaching, science textbook, 과학용어, 명시적 용어 교육, 암시적 용어 교육, 과학교과서
STEAM 수업에서 스마트테크놀로지 적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적용 유형과 어려움 및 지원을 중심으로-
한아름 ( Areum Han ) , 나지연 ( Jiyeon Na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6호, 777~790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초등학교 STEAM 수업에서 스마트테크놀로지 적용해본 교사들의 경험과 그 이유, 적용하면서 느끼는 어려움과 필요한 지원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STEAM 수업 경험이 다수 있으며 STEAM 교육에 대한 전문적 소양을 갖춘 6명의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STEAM 수업에서 다양한 유형의 스마트테크놀로지를 활용하였는데, 특히 체험형과 상호작용지원형 스마트테크놀로지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STEAM 학습 준거 중에서는 ‘창의적 설계’과정에서 스마트테크놀로지를 가장 많이 적용하였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학생의 흥미 유발이나 적극적 참여, 간접체험의 기회 제공, 첨단 기술에 대한 학생의 관심 증대를 이유로 스마트테크놀로지를 STEAM 수업에서 사용하...
TAG STEAM, smart-technology,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스마트테크놀로지, 초등교사의 인식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