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AND 간행물명 : 통합교육과정연구26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교육과정 리더십을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과 해석
한민철 ( Minchul Han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8] 제12권 제4호, 153~170페이지(총18페이지)
‘리더십’의 역량은 주로 학교장이 가져야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는 오해에서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교육과정 리더십’이 지니고 있는 개념을 분석한 것을 토대로 교육과정 리더십을 바라보는 관점을 세 가지로 나누어 해석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을 배움의 과정 즉, 앎의 과정으로, ‘리더십’을 ‘방향을 제시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을 때, 교육과정 리더십이 학교장뿐만이 아니라 교사에게도 있어야할 역량임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연구자는 교육과정 리더십을 학교장에게 요구되는 관점, 교사에게 요구되는 관점, 교육과정 주체 모두에게 필요한 상호작용적인 관점으로 나누어 대담자료를 해석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연구자는 교육과정 리더십은 교육과정 수립 주체 모두에게 필요한 역량, 즉 상호작용적인 관점을 지녀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상호작용적인 관점에...
TAG 교육과정 리더십, 학교장 중심관, 교사 중심관, 상호작용관, curriculum leadership, curriculum leadership of principal, curriculum leadership of teacher, mutual curriculum leadership
2014 핀란드 교육과정으로 본 학교교육과정을 지원하는 국가교육과정의 역할 탐색
유성열 ( Sungyeol You ) , 정광순 ( Kwang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8] 제12권 제4호, 171~196페이지(총26페이지)
이 연구는 2014 핀란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국가교육과정이 학교교육과정을 어떻게 지원해야 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2014 핀란드 교육과정의 구성과 내용을 총론과 각론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이전 교육과정인 2004 핀란드 교육과정과 비교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나라 2015 개정교육과정과 비교하면서 2014 핀란드 교육과정의 특성을 3가지(로컬 교육과정 개발 강조, 역량 도입, 평가 강화)로 도출하였다. 이에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 알려진 2014 핀란드 교육과정은 역량 중심 교육과정이면서 동시에, 단위학교(로컬) 차원에서 교사가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수업하도록 지원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런 결론에 기반하여 국가교육 과정은 로컬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규범적 지원, 일반적 방법론적 지원,...
TAG 국가교육과정, 교사교육과정, 2014 핀란드 교육과정, national curriculum, local curriculum, the 2014 Finnish education
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통합을 위한 Science-ESD 수업모델 개발
이한용 ( Lee Han Yong ) , 손연아 ( Son Yeon-a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8] 제12권 제4호, 197~225페이지(총29페이지)
최근 개정된 2015 과학교육과정에서는 그동안 과학교육에서 강조해왔던 통합과학교육을 실제 수업에서 실현하기 위하여 ‘재해·재난과 안전’이라는 통합단원을 신설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재해·재난과 안전’ 단원에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접목하고, 5단계 수업 설계 절차에 따라 수업모델을 초안으로 개발한 후, 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 전문가들의 자문과 현장적합성 검토, 실제 수업적용 및 분석, 과학교육 전문가 자문을 바탕으로 정규 과학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Science-ESD 통합 수업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업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활용한 5단계 수업모델 개발 절차는 ‘1) 교육과정의 통합적 분석 및 주제 선정→ 2) Science-ESD 내용 조직도 구성→ 3) Science-ESD 수업 전개도 구성→ 4) Science-ESD...
TAG 지속가능발전교육, 통합과학교육, 2015 개정 과학교육과정,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사범계열과 비사범계열 대학생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 차이
김정연 ( Chungyun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8] 제12권 제4호, 227~250페이지(총24페이지)
캡스톤 디자인은 미래 사회에서 산업계가 요구하는 융·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적합한 교육이다. 이에 따라 공학뿐만 아니라 인문, 사회, 자연, 예술 및 사범계열 분야에까지 확장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범계열과 비사범계열로 구분하여 전공과목으로 운영된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캡스톤 디자인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 258명을 대상으로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사범계열과 비사범계열에서의 학습경험 및 학습성과 인식에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사범계열에서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 개선과 방향성에 있어 중등교육뿐만 아니라 평생교육 현장과의 긴밀한 연계성을 가지고 사범계열에서의 전문성 실현을 위해 체계적인 캡...
TAG 사범계열, 비사범계열, 대학생, 캡스톤 디자인 수업, 학습경험, 학습성과 인식, Education Major, Non-education Major, University Student, Capstone Design Class, Learning Experience, Learning Outcome Recognition
미국의 사례로 본 통합교육과정의 적용과 이론적 발달
홍영기 ( Youngki H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8] 제12권 제4호, 251~274페이지(총24페이지)
본 논문은 미국의 통합교육과정이 활발하게 적용되기 시작한 1980년대와 1990년대를 중심으로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논의와 도입 배경과 이론적 발전을 학자별로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미국의 중등교육 개혁은 첫째, 1980년대 구성주의에서 강조하는 ‘자기지식 구성’과 이를 위한 문제해결(problem solving) 능력의 강조로부터 발단된 측면이 강하다. 이는 교과 내용의 재조직과 교육과정 구성 방법의 변화로 이어졌으며, 실천방법으로 통합교육과정1)의 도입이 구체화되었다. 둘째, 교육내용 재조직에 있어서 영어, 사회, 과학을 중핵(core)으로 하는 중핵교육과정의 장점이 부각되었으며 문제, 이슈, 주제를 중심으로 각 교과의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과정에서 통합교육과정의 도입이 주장되었다. 셋째, 수학, 과학, 기술교육 분야의 학문적...
TAG 통합교육과정의 등장, 통합교육과정 설계, 교육과정 통합 방법, the emergence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the ways of integrated curriculum design and methods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 개선 방안 탐구
김세영 ( Seyoung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8] 제12권 제4호, 1~22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교육을 중심으로 한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의 모습을 탐색하는 것에 있다. 교사용 지도서는 교과서를 설명하는 교재로 보조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교사용 지도서에 관한 독자적인 연구보다도 교과서와 관련하여 연구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와 수업을 두 축으로 하여, 교사와 교육과정 자료와의 관계, 교사의 전문성 단계, 수업의 종류에 따라 교사용 지도서의 형태와 내용 구성이 상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설명서로서의 교사용 지도서, 자료집으로서의 교사용 지도서, 해석서로서의 교사용 지도서로 구체화하였으며, 이를 통해 차기 교사용 지도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AG 교사용 지도서, 통합교과, 교육과정 자료, 교사 전문성, teacher’s guidebook,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materials,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2015 개정 통합교과 구성 차시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박일수 ( Ilsoo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8] 제12권 제4호, 23~44페이지(총22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통합교과의 구성 차시 적용 방안을 탐색하였다. 구성 차시는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지 않은 내용 중에서, 학생과 교사가 협력하여 민주적이고 자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수업 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 구성 차시는 교육과정 실행의 상호조정과 생성, 교육과정 재구성, 교육과정 문해력, 열린 미래지향적인 탈교과서관, 교육과정 재개념주의의 현상학과 관련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하여 통합교과의 구성 차시 적용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 연구가 구성 차시에 관한 연구를 활성화하고, 구성차시에 대한 학교 현장의 관심과 교육과정 및 수업 설계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
TAG 통합교과, 구성 차시, 백워드 설계 모형, 교육과정 재구성, 교육과정 문해력, integrated subjects, blank lessons, backward design, curriculum reconstruction, curriculum literacy
우리나라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 연구의 세 가지 이야기
조상연 ( Sanyeon Jo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8] 제12권 제4호, 45~75페이지(총31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Fullan(2000)의 ‘세 가지 이야기(Three Stories)’ 구조에 기대어 우리 나라 통합교육과정 연구의 중요한 쟁점을 통합교육과정의 내부와 외부로 나누어 조명하고 이들에 대한 확장적 논의를 시도하였다. 우리나라 통합교육과정 연구의 주요 쟁점은 첫째, ‘내부 이야기’에서 이슈는, 탈교과적 관점에서 통합의 심리ㆍ사회적 정당성 논의, 통합의 논리ㆍ인식론적 근거 논의, 통합의 방법 등 세 가지였다. 둘째, ‘내부-외부 이야기’에서는 분과교육과정의 정당화와 통합교과의 정체성, 두 가지 이슈와 관련한 교과주의 논의가 두드러졌다. 이들에 대한 확장적 논의로서 ‘외부-내부 이야기’에서는 그간의 우리나라 통합교육과정 논의는 탈교과적 접근과 교과중심적 접근 모두 분과주의 패러다임이었다는 점을 밝히고 우리나라 통합교육과정 연구는...
TAG 통합교육과정, 초등학교 통합교과, 세 가지 이야기, integrated curriculum, integrated subjects, three stories
초등학교 통합교과 이해를 위한 몇 가지 구상
김세영 ( Seyoung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8] 제12권 제3호, 1~24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 현존하는 통합교과의 성격과 특성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통합교과는 그 성격에 대한 이해가 충분할 정도로 논의가 풍성하나, 그것을 교과로 인식 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언제나 이해의 대상이 되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과가 교과로서 어떤 특성을 지녔는지 알아보기 위해 몇 가지 질문을 던져보고 이에 답해 봄으로써 통합교과의 교과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때, 제도적 교과의 의미, 여러 종류의 교과 설정 유형, Deng의 내용이론은 통합교과의 성격을 규명하는 도구가 되었다. 연구 결과, 통합교과는 교육과정 체제면과 법적인 면으로 교과의 위상을 확보하고 있으며, 생활 중심 교과 유형으로서 고유한 교육과정 조직 방식과 내용이론을 구축하고 있는 교과임이 입증되었다.
TAG 통합교과, 생활 중심 교과, 내용이론, integrated subjects, life-centered subject matter, theory of content
교사의 교육권 관점에서 본 초등통합교과서 제도의 개선 방안 탐색
이경진 ( Kyoungjin Le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8] 제12권 제3호, 25~47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는 교사의 교육권이라는 관점에서 현행 초등통합교과서 제도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교사의 교육권에 대한 법적 근거를 살펴보고, 교과서 제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의 특성과 현행 교과서 체제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의 교육권은 학생의 학습권 실현이라는 법적 근거와 교육 본질적 근거로 인해 정당성을 획득한다. 이러한 교사의 교육권은 교육 내용과 방법의 선택과 결정이라는 행위로 구현된다. 초등통합교과교육과정의 특성은 학생의 생활사적 맥락에 기반 한 경험중심 교과에 해당하므로, 획일적인 교육 내용과 방법을 지양한다. 이로 인해 교사의 교육권 강화가 필수적인 교과에 해당한다. 따라서 현행 국정교과서라는 체제는 교육과정과 정합성을 획득하고 있지 못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TAG 교사의 교육권, 초등통합교과서, 국정교과서제도, 비판적 논의, teacher's right to teach, elementary integrated textbook,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system, improvement plan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