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28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불소치환된 고온 초천도체 YBa2Cu3OxF의 19F 핵자기 공명안구
이무희 ( Moo Hee Lee )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1999] 제24권 23~31페이지(총9페이지)
YBCO 고온 초전도체에 불소를 치환한 YaZCu3oxF (x~6) 분말시료를 고온 고 상법으로 제조하고, 그 특성을 19F 핵자기 공명실험과 63, 65Cu 핵사중극 공명실험으로 측정 분석하였다. 시료중 하나에 대한 19F 핵자기 공명 결과, 불소원자가 85%까지 단일상으로 치환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19F NMR 스핀-격자 완화율은 Korringa 은도 의존성을 보였는데 이것은 불소가 미약하지만 금속상태로 도입되었음을 입증한다. 중성자 실험과 핵자기 공명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분석하면. 불소가 사면체의 꼭지 점에 있는 산소를 치환해 들어 간 것으로 보여진다.
TAG Fluorination of YBaCuO, YBa2Cu3OxF, 19F NMR
과발현된 p16INK4a 유전자의 pRB 의존적 또는 비의존적 pathway틀 통한 간암세포주의 성장 저해
박택규 ( Taek Kyu Park ) , 정유진 ( Yu Jin Jung )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1999] 제24권 33~40페이지(총8페이지)
p16INK4a는 세포주기의 Gl기에서 cyclin Dl과 cdk4/6의 결합을 방해하는 강력한 inhibitor로 RB 유전자산물의 인산화를 조절한다. 먼저 7종의 사람 간암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HCC) 세 포주를 대상으로 하여 p16의 분자상태를 조사하였다. 대상 세포주중에서 SKHepl과 SNU449 세 포주는 pl6INK4a locus의 homozygous 결손을 나타내었고 SNU398은 전사 후 조절단계에서의 비활성화로 인한 기능의 상실을 나타내었다. 이는 p16Ink4a가 간암의 carcinogenesis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또한 유전자 치료를 위한 P161NK4a의 간암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
TAG p16INK4a, pRB, Hepatocellular carcinoma, Growth inhibition Adenovirus
한국인의 간암에서 형광-PCR법을 이용한 Microsatellite Instability의 분석
박택규 ( Tack Kyu Park ) , 정유진 ( Yu Jin Jung )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1999] 제24권 41~48페이지(총8페이지)
원발성 간암 (HePatocenLllar Carcinoma: HcC) 은 전세게적으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암중 하나로 특히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가장 발생빈도가 높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간 암의 분자적 수준에서의 세포의 자살기전 (apoptosis) 에 관련된 유전자들 (wafl, Rb, p53, bal-2, bax) 과 microsatellite instability(MSI) 의 장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12명의 간암환자 조직을 대상으로 형광 pnrner를 사용한 PCR을 시행하였다. 그중 wafl은 가장 높은 비율의 MSI를 나타내었으며 (41.7% ) , 다 음은 p53 (25.0% ) 의 순이었다. 또한 전체 분석대상 검체중 85% (7/ 12) 에서 적어도...
TAG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fluroscent-PCR
2`, 3`-Diazaterphenyl-4-carboxylate 액정의 합성
방승언 ( Seung Un Park ) , 정화식 ( Hwa Sig Jnng )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1999] 제24권 49~54페이지(총6페이지)
4"-((S)-2-methylbutyl)-2` 3` -diaza-1, 1`: 4` 1"-terphenyl-4-carboxylate ester 유도체 화합물(nH2n+1, n= 6 - 12)을 brornobenzene과 (S)-2-methylbutanol로부터 11 단계의 합성과정을 거쳐 26% 수율로 합성하고, DSC 및 편광현미경을 이용하여 상전이를 조사한 결과 이들은 Smectic A(SA) 상을 지니는 액정 화합물임을 확인하였다
TAG 4`-, S, -2-methylbutyl, -2`, 3` -diaza-1, 1` :4` 1`-terphenyl-4-carboxylate ester, 2`S` - diazaterphenyl-4-carboxylate, Liquid crystal, Smectic A
분자동력학 계산을 이용한 Man(β1, 4) Man의 구조연구
알렉산더이자닌 ( Alexander N. Issanin ) , 김양미 ( Yang Mee Kim )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1999] 제24권 55~61페이지(총7페이지)
분자동력학 시뮬레이션과 단열에너지 계산을 이용하여 Man(β1, 4) Man의 구조적 유동성을 연구하였다. 용매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유전율 50을 이용하였다. 이때 단열에너지 지도는 A(Ø=-70 °, Ø=-48°), B(Ø=69°, Ø=-13°), C(Ø=32°, Ø=-49°)의 세 안정한 구조를 보여주었다. 분자동력학 계산동안 A구조는 다른 두 구조로의 전이를 전혀 일으키지 않음에 반해, 12 psec후에 c구조는 B구조로의 전이를 보여 주었다. Man(β1. 4) Man은 실제 수용액중에서 두 개의 안정한 A. B 구조간의 동적 평형상태이거나 A. B 두 구조의 독립적인 상태로 존재할 것으로 보인다. 단열에너지 지도나 분자동력학 계산은 Man(β1. 4) Man의 구조에 대한 많은 정보를 ...
TAG Man(β1, 4)Man,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adiabatic energy map, solvent effect, conformation
여러 자리 Schiff base를 이용한 고분자 막전극
윤양희 ( Yang Hee Yoon ) , 정은순 ( Eun Soon Jung ) , 김재권 ( Jai Gueon Kim ) , 정구춘 ( Koo Chun Chung )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1999] 제24권 63~69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전이 금속의 안정한 착화제인 여러자리 Sclliff base를 합성하여 이온 선택성 전극 에 대한 중성 운반체로써의 사용 가능성을 시도하였다. 네 자리 리간드인 SED를 이용한 막전극은 납 (ll) 이온에 대하여 10. 1, 10- S M농도까지 28. 3mV/ d棚de로 감응하였으며, 착물의 안정도에 따라 금속 이온에 따른 기울기가 달라졌다. 다섯 자리 리간 드 SDET를 이용한 막전극은 전이 금속 이온에 대하여 좋은 감응 기울기를 보였으나 10- 1, 10- Z M의 진한 농도에서는 전위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SDET가 수용액 계면에서 암모늄 이온으 로 되어 자유 운반제의 농노가 감소하고 음이온의 방해들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성 운반체가 없는 막전극은 수소 이온 선택성 전극만이 연구...
양배추 은무늬밤나방의 유약호르몬 에폭시드 가수분해효소의 조직특이성
안기홍 ( Ki Heung Ahn ) , 오세원 ( Se Won Oh ) , 이경로 ( Kyung Ro Lee )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1999] 제24권 71~79페이지(총9페이지)
유약호르몬 에스테라제와 더불어 유약호르몬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약호르몬 에폭시드 가수분해효소를 양배추 은무늬밤나방 종령유충에서 조사, 정제하였다. 이들의 효소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유약호르몬 에스테라제와 유약호르몬 에폭시드 가수분해효소가 포함된 시료에서 유약호르몬 Ⅲ의 대사과정을 분획분석법(partition assay)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유약호르몬 에스테라제의 저해 제는 3-octylthio-1, 1, 1-trifluoro-2-proparlone (OTFP)을 이용하였고, 기질인 유약호르몬 Ⅲ와 함께 배양하여 가수분해되지 않은 유약호르몬은 isooctane 층에, 분해산물인 유약호르몬 acid, diol 그리고 diol-acid 는 물층으로 분획되어 유약호르몬의 대사과정을 측정하였다. 기질의 농도 5×10-4 M에서 조직별 유 약호르몬 에폭시드 가수분해...
TAG Juvenile hormone epoxide hydrolase, JHEH, partition assay, DEAE-Sephacel, Sephacryl S-200, hydroxylapatite, Trichoplusia ni
HPLc에 의한 Bacillus thuringiensis 분리균의 내독소결정체 아미노산 조성의 분석
최도숙 ( Do Sook Choi ) , 오주석 ( Ju Suk Oh ) , 강이석 ( Eu Suk Kang ) , 원남희 ( Nam Hee Won ) , 차성철 ( Soung Chul Cha ) , 이형환 ( Hyung Hoan Lee )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1999] 제24권 81~88페이지(총8페이지)
토양에서 분리한 B, thuringiensis 분리균주들의 내독소결정체 단배질의 조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B. thuringiensis 분리균주들 (HL-7~HL-42)의 내독소결정체 층이 형성된 밀도분포는 0. 3 g/cm3~0. 6 g/cm3이었다. 결정체 단백질을 용해시킨 후에 HPLC 분석으로 얻은 아미노산은 14종 이었으며, 각 아미노산들의 함유비율은 aspartic acid 6. 7~12. 8, glutamic acid 7. 0~12. 8, serine 5. 9~12. 9, glycine 15. 1~35. 5, threonine 3. 2~9. 7, arginine 0. 5~3. 2, alanine 6. 2~14. 6, tyrosine 2. 1~9. 0, methionine 0. ...
TAG B. thuringiensis δ-endotoxin crystal, amino acid composition
extra sex combs 돌연변이가 초파리 중배엽에서 Ultrabithorax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전상학 ( Sang Hak Jeon )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1999] 제24권 89~93페이지(총5페이지)
초파리에서 호메오틱 유전자의 발현 유지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extra sex caribs (eso)유전자 돌연변이가 중배엽에서 Ultrabithorax (Ubx)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동형의 esc 돌연변이는 배아에서 치사적이며 초파리의 초기 발현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모게 영향을 나타내는 돌연변이 을 선택하여 Ubx repnrter초파리와 재 조합시켰다. Ubx는 정상의 초파리에서는 parasegment 7에서 발현되지만, esc 모계영향 돌연변이에서는 매우 적은 수의 배아에서 전위적 (ectopic) 인 발현이 관찰되었으며, 대부분의 배아에서는 발현이 억제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억제 현상은 Ubx보다 뒤쪽에서 발현되는 abdomina]-A (abd-A)와 Abdominal-B (Abd-...
TAG Extra sex combs, Ultrabithorax, Drosophila
Bacillus sphaericus 1593M의 41.9 kDa 단백질 유전자 클로닝 및 51.4 kDa 소단위와의 이원단백질 기능
정현희 ( Hyun Hee Jung ) , 유관희 ( Kwan Hee Yoo ) , 오동렬 ( Dong Ryul Oh ) , 정원석 ( Won Seok Jung ) , 김진형 ( Jin Hyung Kim ) , 김수영 ( Soo Young Kim )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1999] 제24권 95~101페이지(총7페이지)
PCR 방법을 이용하여 Bacillus sphaericus 1593M의 염색체 DNA로 부터 양쪽 말단에 Pst l과 Hind III 제한효소 부위를 포함하는 42 kDa 모기 살충 단백질 생산 유전자를 얻었고 pBluescript SK(+) 벡터에 클로닝하여 pBST(B) 를 만들어 대장균 XL-1 Blue에서 형질 발현하였다. 51 kDa 단백질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pBST- 6과 결합하여 pBST (AB) 만든 후 pBST (B)와 pBsT (AB) 클론을 DNA 혼성화 방법으로 확인하였으며, pBsT-6과 pBsT (B)클론체는 개별적으로 작용할 때 2-3령 모기 유충에 대하여 독성을 나타 내지 않았고, pBST(AB)의 경우 높은 치사율을 보였다.
TAG Bacillus sphaericus 1593M, Mosquitocidal Toxin, 41.9 kDa, 51.4 kDa, Culex pipien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