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대한지질공학회 AND 간행물명 : 지질공학104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복합거동 연결체의 하중지지 특성
신희수 ( Hee-soo Shin ) , 김기성 ( Ki-sung Kim ) , 홍승서 ( Seung Seo Hong ) , 김영석 ( Youngseok Kim ) , 안준혁 ( Jun-hyuk Ahn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4호, 451~460페이지(총10페이지)
본 논문에서는 고상식(Piloti) 기초가 사용되는 오일샌드 플랜트의 하부기초에 소형강관 말뚝이나 마이크로 파일 등을 마찰 말뚝개념으로 사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복합거동 연결체를 제안하였다. 말뚝의 개별 침하나 융기(Heaving)를 1개의 군으로 연결하여 복합거동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하중 지지특성을 분석하였다. 기존 무리말뚝과 말뚝전면(Piled raft) 기초의 장점을 오일샌드 플랜트에 적용 할 수 있도록 복합거동 연결체의 형상을 결정하였다. 또한, 축소모형을 제작하여 하중에 대한 거동을 계측하고, 이를 통해 장치의 안정성 및 취약부위를 검토하여 연결체의 형태를 평가하였다.
TAG complex behavior, oil sand plant, modularized, scaled model, micro pile, 복합거동, 오일샌드 플랜트, 모듈화, 축소모형, 마이크로 파일
감마선분광분석기를 이용한 괴산 옥천하부천매암대 일대의 감마선량 평가
윤욱 ( Uk Yun ) , 조병욱 ( Byong-wook Cho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4호, 461~468페이지(총8페이지)
휴대용 감마선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괴산지역 옥천하부천매암대(og2) 주변 일대 77개 지점에서 감마선량을 측정하였다. 전체 시료의 40K 함량은 1.8-8.8% 범위(평균 4.6%)로 Kgr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eU의 함량 범위는 0.2-217.9 ppm (평균 16.7 ppm)인데 og2에서 가장 높았으며(중앙값 29.6 ppm)다. eTh의 함량 범위는 11.9-76.5 ppm (평균 29.5 ppm) 이었는데 Kgr의 평균 함량은 45.4 ppm으로 og1, og2, og3의 함량(26.6-30.6 ppm)보다 높았다. og2에 속하는 일부 고 우라늄 지점을 제외한 연구지역의 감마선량에 기여하는 방사성물질은 40K가 절대적이다. 연구지역의 옥외...
TAG gamma-ray spectrometry, Ogcheon lower phyllite zone, gamma-radiation dose rate, effective dose rate, 감마선분광분석기, 옥천하부천매암대, 감마선량, 유효선량률
소규모수도시설의 공급량-수요량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및 가뭄 대응 방안 연구
최정렬 ( Jung-ryel Choi ) , 정일문 ( Il-moon Chung ) , 조현재 ( Hyun-jae Jo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4호, 469~481페이지(총13페이지)
가뭄으로 인한 제한급수나 단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물 복지 소외지역의 불편과 경제적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Sand Dam 건설과 같은 구조적 안정화 방안과 더불어 합리적 수요/공급량 관리 등을 통한 비구조적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수도시설이 생활용수의 주 공급원인 춘천시 서상리 유역의 가뭄대응을 위해 공급량-수요량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였다. 공급량 모니터링을 위해 상류부 하천의 유량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의 매개변수 보정에 사용하여 일별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수요량 모니터링을 위하여 하천-저수조-가정으로 이어지는 용수 공급 네트워크를 작성하였으며, 저수조의 수위 변화를 측정하여 일별 사용량을 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산정된 일별 공급량과 수요량 간의 관계분...
TAG drought, SWAT, sand dam, water supply, water demand, monitoring, 가뭄, 수요량, 공급량, 모니터링
주입대상 대수층의 특성을 고려한 인공함양 방법 선정 연구
이영동 ( Yeoung-dong Lee ) , 신동민 ( Dong-min Shin ) , 김병준 ( Byeong-jun Kim ) , 김규범 ( Gyoo-bum Kim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4호, 483~494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현장 조사를 통하여 지하수 인공함양의 범위를 결정하고 함양 방법별 장단점을 평가하여 적정 기법을 검토하는데 있다. 지하수 인공함양을 위한 대상 대수층 및 취수방법의 결정은 대수층의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하게 된다.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신곡마을을 대상으로 전기비저항탐사, 시추조사, 투수시험, 입도분석 등을 실시한 결과, 상부 충적층에 비하여 하부 풍화토 및 풍화암 구간의 수리전도도가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다. 양수시험에 의하면 9시간 까지는 심도 12 m에서 안정적인 지하수위를 유지하였으나 이후 지하수위 강하가 재차 발생하는 이방성의 대수층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함양 우물, Ditch 및 Pond 등 3가지 유형의 인공함양 방법을 검토한 결과, 투수성이 양호한 풍화토 및 풍화암 구간까지 직접 주입이 가능한 함양 우물 방식...
TAG artificial recharge, hydraulic conductivity, pumping test, aquifer, 인공함양, 수리전도도, 양수시험, 대수층
원주지역 지하수의 자연방사성물질 우라늄과 라돈의 산출 특성과 수리지화학
이병대 ( Byeongdae Lee ) , 조병욱 ( Byung Uk Cho ) , 문희선 ( Hee Sun Moon ) , 황재홍 ( Jae Hong Hwang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4호, 495~508페이지(총14페이지)
원주지역 지하수의 수리지화학 및 자연방사성물질인 우라늄과 라돈의 산출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40개 관정을 대상으로 시료를 채취하고 분석하였다. 연구지역 지하수의 EC는 최소 73에서 최대 400 μS/cm (평균 212 μS/cm)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EC의 증가와 더불어 주요 용존 양이온과 음이온의 함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우라늄 농도는 0.06~50.5 μg/L (중앙값 1.55 μg/L)로 넓은 분포를 보여주고 있으며, 라돈은 67~8,410 pCi/L (중앙값 1,915 pCi/L)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우라늄 농도에서 미국 EPA MCL 30 μg/L를 초과한 곳은 3개소로 전체 시료수의 7.5%에 해당된다. 라돈의 경우, 미국 EPA AMCL(Alternative Mximum Contaminant Le...
TAG groundwater, uranium, radon, geology, well, 지하수, 우라늄, 라돈, 지질, 관정
강변여과수 취수를 위한 충적우물에서 필터층이 수위강하특성, 투수성, 적정양수량 및 우물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현장실증 연구
송재용 ( Jae-yong Song ) , 이상무 ( Sang-moo Lee ) , 강병천 ( Byeong-cheon Kang ) , 이근춘 ( Geun-chun Lee ) , 정교철 ( Gyo-cheol Jeong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4호, 509~529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강변여과수 취수를 위한 충적우물에서의 필터재의 역할과 이중필터 취수정의 적용성 및 개선효과를 평가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토층으로 이루어진 하천변의 자유면대수층에서 필터 조건을 달리하여 실규모의 이중필터 취수정과 단일필터 취수정을 각각 설치하고 설치된 우물에서 대수성 시험을 실시하여 필터재 조건에 따른 수위강하특성, 투수특성, 적정 양수량 및 우물 효율을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이중필터층을 형성시켜 주는 것은 대수층과 필터층의 경계부에서 지하수 유동의 완충작용을 하여 유입되는 지하수의 급격한 속도변화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난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여 보다 넓은 범위의 지하수를 효과적으로 취수정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하고 이로 인하여 취수량이 단일필터 취수정에 비해 높음에도 불구하고 주변 지하수위의 변화를 줄일 수 있는...
TAG well, dual filter, single filter, riverbank filtration, groundwater, 우물, 이중필터, 단일필터, 강변여과수, 지하수
AHP 분석을 활용한 비탈면 보강공 성능평가를 위한 중요항목 도출에 관한 연구
이종현 ( Jonghyun Lee ) , 권오일 ( Oil Kwon ) , 김진환 ( Jinhwan Kim ) , 김우석 ( Wooseok Kim ) , 최정해 ( Junghae Choi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4호, 531~539페이지(총9페이지)
주요 시설물 주변에 분포하고 있는 비탈면은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다양한 보강 공법을 적용하고 있으며 적용된 보강 공법은 비탈면의 안전을 확보하여 시설물을 보호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보강 공법은 비탈면에 적용될 당시에는 안전성을 완벽하게 보장하고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전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태로 변화되기도 한다. 특히 시간에 따른 보강 공법의 노후화는 비탈면의 안정성을 급격히 저하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따라서 보강 공법의 유지/관리를 위해 필요한 항목들을 정하고 이를 현장 조사자가 확인함으로써 비탈면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항목을 정하고 항목들 가운데 중요도를 선정하기 위해서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고 이들의 자료를 바탕으로 계층화 분석을 활용하여 항목들간의 중요도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항목들은...
TA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slope survey, protect system, slope stability, 계층화 분석, 비탈면 조사, 보강 공법, 비탈면 안전
불포화 무한사면의 안정해석을 활용한 산사태 모형실험에 관한 연구
송효성 ( Hyo-sung Song ) , 채병곤 ( Byung-gon Chae ) , 송영석 ( Young-suk Song ) , 최정해 ( Jung-hae Choi ) , 서원교 ( Won-gyo Seo ) , 우익 ( Ik Woo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4호, 541~552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강우침투에 따른 사면 내 지반특성변화 및 붕괴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산사태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재료로는 국내에서 산사태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화강암 풍화토와 편마암 풍화토를 사용하였고, 시간당 200 mm의 극한강우를 살수함으로써 사면붕괴를 유발하였다. 계측기는 모형사면의 선단부, 사면부, 정상부에 심도별로 천부(GL-0.2 m), 중부(GL-0.4 m), 심부(GL-0.6 m)의 위치에 3set씩 설치하였고, 데이터는 10초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실험이 종료된 후 실험조건별 지반특성변화를 토대로 불포화이론을 적용하여 사면안정해석을 하였으며, 이를 실제 붕괴형태와 비교 ·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사면안전율은 붕괴형태에 대한 현상을 반영하였고, 강우가 침투함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하면서 사면붕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면안전...
TAG landslide, flume test, heavy rainfall, matric suction, factor of safety, 산사태, 모형토조, 극한강우, 모관흡수력, 사면안전율
지하투과레이다 기법을 이용한 부안 수성당 지역의 지하 유적 탐사
이현재 ( Hyoun-jae Lee ) , 전항탁 ( Hang-tak Jeon ) , 윤설민 ( Sul-min Yun ) , 함세영 ( Se-yeong Hamm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4호, 553~563페이지(총11페이지)
고고학적 유적지 탐사의 최종 단계에서는 시굴과 발굴조사를 실시하지만, 초기 단계에는 비파괴방법인 지구물리탐사를 이용하여 지하의 유적지를 평가한다. 그 중에서도 GPR 탐사는 천부 지하에 대한 해상도가 높아 유적지 조사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부안지역의 수성당 부근 지하에 매 장되어 있는 유물을 찾기 위해서 지하투과레이다(Ground Penetration Radar, GPR) 탐사를 실시하였다. 1차 GPR 탐사는 세 개 지역(Site-1, 2, 3)에서 수행하였고, 1차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2차 세부 GPR탐사는 Site-3에서 수행하였다. 탐사 결과, 지표로부터 표토층, 풍화대, 기반암이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뚜렷한 이상대는 심도 약 100 cm 내외에서 장축 방향의 측선과 평행한 동서에 가까운 방향성을 나타내고 있다....
TAG archaeology prospection, geophysical survey, ground penetration radar, shallow underground, Sooseong Dang, 유적지 탐사, 지구물리탐사, 지하투과레이다, 천부 지하, 수성당
최적의 기본마찰각 측정법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국현 ( Kook-hyun Lee ) , 장현식 ( Hyun-sic Jang ) , 장보안 ( Bo-an Jang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4호, 565~578페이지(총14페이지)
황등 화강암, Berea 사암, 정선 대리암, 홍천 편마암, 풍암 셰일 및 음성 사질 셰일의 여섯 종류의 암석에 대하여 직접전단시험, 기울임시험 그리고 당김시험을 이용하여 기본마찰각을 측정하고, 암종에 따른 기본마찰각의 특성, 시험방법의 정확성을 비교, 검토하여 기본마찰각 측정에 가장 정확하고 효율적인 시험방법을 제시하였다. 기본마찰각은 직접전단시험을 이용하면 정확하게 측정되지만, 비싼 장비와 복잡한 시험절차가 필요하다. 국제암반역학회에서 표준시험법으로 제안한 기울임시험은 직접전단시험에서 측정된 기본마찰각과 유사한 값을 제시하나, 동일한 암석으로 제작된 3개의 시료에서 측정된 기본마찰각은 최대 7° 이상의 오차를 보이고, 1개의 시료에서 5회 측정된 미끄러짐 각 또한 시료에 따라서 증가하거나, 감소하거나, 유사한 값을 보이는 등 일정한 패턴을 보이지...
TAG basic friction angle, direct shear test, tilt test, pull test, the optimal test method, 기본마찰각, 직접전단시험, 기울임시험, 당김시험, 최적 시험법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