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190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화학물질에 대한 독성시험 bi-trophic microcosm 구축에 있어 표준시험생물 녹조류(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와 물벼룩(Daphnia magna)의 개체군 특성 연구
사카모토마사키 ( Masaki Sakamoto ) , 마노히로유키 ( Hiroyuki Mano ) , 하나자토타카유키 ( Takayuki Hanazato ) , 장광현 ( Kwang- Hyeon Chang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3호, 228~235페이지(총8페이지)
화학물질의 유입은 수생생태계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 중의 하나로, 수생태계에 미치는 화학물질의 영향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영양단계의 생물군집들의 생물학적 상호작용을 고려한 군집 수준의 독성시험이 요구된다. 하지만 현재 제시되고 있는 마이크로코즘 및 메소코즘을 이용한 군집 수준의 독성평가시험 방법은 너무 복잡하고, 기존의 종 수준에서 얻어진 정보와의 직접적 비교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독성시험 표준 생물인 녹조류 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와 물벼룩 Daphnia magna를 이용하여 화학물질의 독성을 생산자와 소비자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군집 수준에서 평가할 수 있는 간단한 bi-trophic 마이크로코즘 시험 방법과 이에 대한 생물군집의 적정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이크로코즘 시험계 및 물...
TAG toxicity test, risk assessment, population dynamics
감조하천에 연결된 하수처리장 방류구의 거품 형성기작 해석 및 거품발생 저감기술의 실험적 현장적용
신재기 ( Shin Jae-ki ) , 조영수 ( Youngsoo Cho ) , 김영성 ( Youngsung Kim ) , 강복규 ( Bok-gyoo Kang ) , 황순진 ( Soon-jin Hwang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3호, 187~196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감조하천과 연결된 하수처리장 방류구에서 발생하는 거품의 형성기작 해석과 저감기술의 실험적용을 위하여 2015년 3월부터 2016년 7월까지 수행하였다. 거품은 방류구와 하천 수면 사이의 낙차에 의한 공기연행과 거품확산방지막에 의한 내부축적이 원인이었다. 특히 썰물 때와 방류량이 많을 때에 거품성장이 가장 활발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류수로와 방류구에 각각 미세스크린 망과 수중방류 인공수로장치를 각각 설치한 후 실험하였다. 거품 저감효과는 각각 약 85.0~92.0%, 70.7~85.6% 범위였다. 또한, 거품뿐만 아니라 소음 등 부가적인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었고, 무엇보다도 민원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단일 하수처리장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국내 다른 하수처리장의 유사한 사례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AG wastewater, foam, reduction technique, artificial channel device
대청호 조류경보제의 녹조현상 동태와 강우-수문학적 영향
신재기 ( Shin Jae-ki ) , 강복규 ( Bok-gyoo Kang ) , 황순진 ( Soon-jin Hwang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3호, 153~175페이지(총23페이지)
대청호는 담수 초기부터 부영양화와 녹조현상을 겪었고, 조류경보제는 1997년에 도입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우와 수문학적 요인이 녹조현상의 증감 변동과 조류경보제의 장기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청호에서 19년 (1997년~2015년) 동안 운영되어 온 조류경보제의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조류경보제의 총 발령횟수는 46회였고 8월과 9월에 각각 22회 (752일), 16회 (431일)로써 82.6%를 차지하였다. 이 기간에 빈도와 일수가 많았던 것은 강우, 유량 및 수위와 관련성이 컸다. 강우 및 수문사상은 장마와 태풍과 연관되어 6월~9월에 집중되었고, 총강수량은 연강수량의 69.9%를 차지하였다. 유입량의 증가는 강우의 강도, 빈도 및 그 양에 의존적이었다. 연간 총유입량의 68.4%를 차지하여 저수지에서 수문변화가 가장 급...
TAG algae alert system, water-blooms, blue-green algae, hydrology, Daecheong Reservoir
Dynamics and Control Methods of Cyanotoxins in Aquatic Ecosystem
( Park Ho-dong ) , ( Jisun Han ) , ( Bong-seok Jeon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2호, 67~79페이지(총13페이지)
대청호는 담수 초기부터 부영양화와 녹조현상을 겪었고, 조류경보제는 1997년에 도입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우와 수문학적 요인이 녹조현상의 증감 변동과 조류경보제의 장기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청호에서 19년 (1997년~2015년) 동안 운영되어 온 조류경보제의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조류경보제의 총 발령횟수는 46회였고 8월과 9월에 각각 22회 (752일), 16회 (431일)로써 82.6%를 차지하였다. 이 기간에 빈도와 일수가 많았던 것은 강우, 유량 및 수위와 관련성이 컸다. 강우 및 수문사상은 장마와 태풍과 연관되어 6월~9월에 집중되었고, 총강수량은 연강수량의 69.9%를 차지하였다. 유입량의 증가는 강우의 강도, 빈도 및 그 양에 의존적이었다. 연간 총유입량의 68.4%를 차지하여 저수지에서 수문변화가 가장 급...
TAG cyanotoxin, cyanobacteria bloom, dynamics of microcystin, methods of cyanotoxins removal
동해안의 석호에서 통발의 분포, 생활사 그리고 생장 특성
정연인 ( Jeong Yeon-ina ) , 홍보람 ( Bo-ram Honga ) , 김영철 ( Young-chul Kim ) , 이규송 ( Kyu-song Lee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2호, 110~123페이지(총14페이지)
천진호에서 희귀식물인 통발의 입지요인, 생활사, 식물계절 현상, 생장 및 공간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통발의 서식지 7곳을 확인하였다. 통발은 결빙기에 월동아로 바닥에 가라앉아 있다가 이듬해 해빙기에 수면위로 떠올라 발아하였다. 발아한 월동아는 하나의 줄기로 자라다가 분지하였고, 10월부터 줄기가 분해되면서 새로운 월동아를 형성하였다. 개화기는 7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지속되었다. 개화율은 6.3%로 상당히 낮았다. 통발은 4월부터 6월까지 빠른 생장률을 보였고, 8월에는 최대 생육기를 보였으며, 10월에는 최대로 생장하였다. 통발은 개방된 수역의 수심 50 cm~150 cm에서 큰 개체들이 밀생하였다. 천진호의 통발은 수온, 빛 및 양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식물에 의해 부착과 생장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수환경과 다른 생물요인들이 통발...
TAG Cheonjin lake, distribution, growth, lagoon, Utricularia
농업생태계(밭 경작지)의 경작환경에 따른 C4 식물의 출현 양상
양동우 ( Yang Dongwoo ) , 이은정 ( Eunjeong Lee ) , 이진주 ( Jinju Lee ) , 김민섭 ( Min-seob Kim ) , 한동욱 ( Donguk Han ) , 김명현 ( Myung-hyun Kim ) , 조광진 ( Kwang-jin Cho ) , 오영주 ( Young-ju Oh ) , 박상규 ( Sangkyu Park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2호, 89~101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농업생태계에 출현하는 C4 식물의 출현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3년 여름과 가을, 2회에 걸쳐 전국 222 지점의 밭 경작지에서 식물상 및 경작환경을 조사하였으며, 광합성 유형을 판단하기 위해 주요 출현 종에 대한 Kranz 구조 확인과 탄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밭 경작지에 출현하는 C4 식물은 9과 33속 54종이었으며 주요 출현종은 쇠비름, 바랭이, 돌피 등이었다. 조사시기와 생육지 유형에 상관없이 밭 경작지에 출현하는 C3, C4 식물은 출현하는 전체 종수의 일정 비율로 출현하는 경향을 보였다. C4 식물의 출현 종수의 변동폭은 크지 않았으며, C4 식물의 출현율은 C4
TAG carbon stable isotope, C4 species, farming fields, Kranz anatomy, occurrence patterns
영흥도 조간대 갯벌 저서미세조류의 생태적 중요성; 안정동위원소 분석 활용
강수진 ( Kang Sujin ) , 최보형 ( Bohyung Choi ) , 한용진 ( Yongjin Han ) , 신경훈 ( Kyung-hoon Shin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2호, 80~88페이지(총9페이지)
영흥도 인근 갯벌의 저서 먹이망 구조를 파악하고, BMA가 저서동물에 대한 먹이원으로써의 중요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저서동물 (이매패류, 갑각류, 복족류, 어류)과 먹이원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비를 분석하였다. 먹이원의 후보인 POM, BMA, 잘피 (Z. marina)와 해조류의 탄소 안정동위원소비는 -26.5‰에서 -8.4‰로 넓은 범위를 보였으며, 저서동물의 탄소 안정동위원소비는 -17.8‰에서 -12.1‰로 먹이원의 탄소 안정동위원소 범위 내에 존재하였다. 해조류 중 녹조류와 SOM을 제외한 먹이원의 질소 안정동위원소비 (5.7±1.0‰)는 저서동물(11.8±1.9‰)에 비하여 가벼운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연구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비 분석을 통하여 저서동물은 세 그룹으로 나누어질 수 있음...
TAG stable isotope analysis (SIA), Yeongheung Island, benthic microalgae, mud flat
기후변화에 따른 상제나비의 잠재적 분포에 대한 지형요소의 영향 평가
김태근 ( Kim Tae-geun ) , 조영호 ( Youngho Cho ) , 송교홍 ( Kyo-hong Song ) , 박영준 ( Youngjun Park ) , 오장근 ( Jang-geun Oh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2호, 142~146페이지(총5페이지)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라서 예측된 상제나비의 분포지역에서 나타나는 지형적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상제나비의 잠재적인 서식가능성이 서로 다른 분포지역에서 고도, 산지경사, 그리고 사면향 등 지형요소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고도와 지형경사에 따라서 상제나비가 서식할 가능성은 다르게 나타났고, 사면방향에 대한 영향 보다는 고도와 산지경사의 지형조건에 영향을 더 받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래로 갈수록 상제나비의 서식가능성은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상제나비가 잠재적으로 서식하기 적합한 현재의 기후환경이 미래에는 고도가 높은 지역으로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비록 서식가능성에 따라서 사면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주로 남동사면에 상제나비의 서식가능성이 다양하다는 것은 유충에서 성충으로 성장하기 위해서 더욱 따뜻한 ...
TAG climate change, Aporia crataegi`s distribution, topographic factors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오장근 ( Oh Jang Geun ) , 원혁재 ( Hyeok Jae Won ) , 명현호 ( Hyeon-ho Myeong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2호, 147~152페이지(총6페이지)
본 연구는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국립공원 자원 모니터링 사업은 국립공원 생태계의 구성, 구조 및 기능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장기적인 경향성에 대해 과학적 정보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또한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 과학적 관리방법을 결정하는 자료를 제공한다. 평가 결과는 공원보전과 공원정책에 반영하고 국민과의 공감 기회를 확대할 수 있다. 건강성 평가 프로그램 절차는 목표 설정 및 개념 정립, 개념적 모델 개발, 프레임 설정, 평가 지표 선정, 평가등급 및 지수화, 건강성 평가 순으로 진행하였다. 건강성 평가 지표는 공통 지표, 선택 지표, 기후 지표 등 총 13개의 지표를 추출하였으며, 평가 결과의 시각화를 위해 픽토그램을 개발하였다. 건강상태를 5개 색깔로 구분하였으며, 과거의 상태와 비교하기 위해 3...
TAG National Park, ecosystem assessment, index, biological diversity, ecosystem evaluation
하수처리수 방류구의 거품발생 원인진단 및 저감방안: 국내 하 수처리장 사례를 중심으로
신재기 ( Shin Jae-ki ) , 조영수 ( Youngsoo Cho ) , 김영성 ( Youngsung Kim ) , 황순진 ( Soon-jin Hwang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2호, 124~129페이지(총6페이지)
본 연구는 하수처리장에서 최종 방류되는 하수처리수의 거품발생 원인분석과 저감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감조하천의 방류구에서 거품이 발생하는 것은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거품은 낙차에 의한 공기 연행과 확산방지막에 의한 내부축적이 주요한 원인이었다. 이러한 여건을 고려하여, 방류수로와 방류구 종단에서 미세스크린과 수중방류를 통해 거품발생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TAG wastewater, outlet, foam, cause, reduc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