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식물분류학회112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20세기초에 채집된 한반도 고표본 (II)
선은미 ( Eun-mi Sun ) , 장계선 ( Kae Sun Chang ) , 손현덕 ( Hyun-duk Son ) , 임형탁 ( Hyoung-tak Im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9] 제49권 제3호, 240~252페이지(총13페이지)
20세기초 한반도에서 채집된 고표본들은 한국전쟁 동안 대부분이 소실되었으나, 일본 도쿄대학교 표본관(TI)에 소장된 한반도 고표본들은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다. 북한 식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는 현 상황에서 TI의 한국산 고표본 정보는 매우 중요하다. TI 수장고에서 최근 확인된 미동정 상태의 한반도 고표본을 동정하여 목록을 작성했으며, 중복채집품(duplicate)을 확보했다. 곤충학자인 Ikuma Yoichiro는 1913년 8월 1일부터 23일까지 청진에서 백두산을 거쳐 혜산진에 이르는 일정 동안 60과 177속 240종류의 식물을 채집했다.
TAG The historic plant specimen, early 20th century, Korean Peninsula, TI, Ikuma Y., rare plants, 한반도 고표본, 20세기 초, 도쿄대학 표본관, 이쿠마 요이치로, 희귀식물
일제 강점기 문헌에 나오는 식물명의 재검토: 황정(黃精)과 위유(萎蕤)를 중심으로
신현철 ( Hyunchur Shin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9] 제49권 제3호, 253~260페이지(총8페이지)
한자로 표기된 식물명 황정과 위유는 조선시대에 편찬된 『향약집성방』에 처음 나오는데, 이후 조선시대에는 이들을 한글명으로 죽대와 둥굴레로 각각 불러 왔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발간된 문헌에는 한글명 죽대, 한자명 황정에 이들의 분류학적 실체와는 무관한 학명들과 한글명이 부여되어 있었으나, 이러한 오류가 수정되지 않고 오늘날까지 이르렀다. 본 연구 결과, 한자명 황정, 한글명 죽대의 분류학적 실체는 Polygonatum sibiricum으로 확인되었고, 그에 따라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한글명 층층갈고리둥굴레보다는 죽대로 사용하는 것이 타당함이 밝혀졌다. 한편, 한자명 위유와 한글명 둥굴레는 P. odoratum으로 파악되었는데, 일제 강점기에는 이 학명의 이명으로 간주되는 학명들이 한자명 위유와 한글명 둥굴레에 부여되었음이 확인되었다.
TAG plant names,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Hwangjeong, Wiyu, Jukdae, Dunggurae, 한글 식물명, 일제 강점기, 황정, 위유, 죽대, 둥굴레
미국등골나물과 서양등골나물(국화과: 등골나물족)의 분류학적 검토
오상훈 ( Sang-hun Oh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9] 제49권 제3호, 261~264페이지(총4페이지)
서양등골나물은 우리나라에서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된 외래 침입종이다. 북아메리카 동부지역이 원산지인 이 외래 식물에 대해 각각 2개의 학명(Eupatorium rugosum Houtt., Ageratina altissima (L.) R. M. King & H. Rob.)과 국명(서양등골나물 및 미국등골나물)이 혼용되고 있어 분류학적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의 분류학적 실체와 내력을 밝혀 분류학적 혼란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미국등골나물과 서양등골나물은 동일한 분류군으로서 린네가 Species Plantarum에 Ageratum altissimum으로 처음 기재한 종이다. 이 종은 Eupatorium속으로 전이되어 대체명이 공표되고 이후 Ageratina속으로 전이되었다...
TAG Ageratum, Ageratina, Eupatorium, Ageratina altissima, taxonomic confusion, 등골나물아재비속, 서양등골나물속, 등골나물속, 서양등골나물, 분류학적 혼란
A new record of Fissidens protonemaecola Sakurai (Fissidentaceae, Bryophyta) in Korea
( Woochan Kwon ) , ( Yongsung Kim ) , ( Jongsun Park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9] 제49권 제3호, 265~268페이지(총4페이지)
서양등골나물은 우리나라에서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된 외래 침입종이다. 북아메리카 동부지역이 원산지인 이 외래 식물에 대해 각각 2개의 학명(Eupatorium rugosum Houtt., Ageratina altissima (L.) R. M. King & H. Rob.)과 국명(서양등골나물 및 미국등골나물)이 혼용되고 있어 분류학적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의 분류학적 실체와 내력을 밝혀 분류학적 혼란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미국등골나물과 서양등골나물은 동일한 분류군으로서 린네가 Species Plantarum에 Ageratum altissimum으로 처음 기재한 종이다. 이 종은 Eupatorium속으로 전이되어 대체명이 공표되고 이후 Ageratina속으로 전이되었다...
TAG Bryophytes, unrecorded species, Fissidens, Fissidens protonemaecola
Report on the chromosome numbers of four Carex taxa in Korea (Cyperaceae)
( Kyong-sook Chung ) , ( Hyoung-tak Im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9] 제49권 제3호, 269~273페이지(총5페이지)
서양등골나물은 우리나라에서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된 외래 침입종이다. 북아메리카 동부지역이 원산지인 이 외래 식물에 대해 각각 2개의 학명(Eupatorium rugosum Houtt., Ageratina altissima (L.) R. M. King & H. Rob.)과 국명(서양등골나물 및 미국등골나물)이 혼용되고 있어 분류학적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의 분류학적 실체와 내력을 밝혀 분류학적 혼란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미국등골나물과 서양등골나물은 동일한 분류군으로서 린네가 Species Plantarum에 Ageratum altissimum으로 처음 기재한 종이다. 이 종은 Eupatorium속으로 전이되어 대체명이 공표되고 이후 Ageratina속으로 전이되었다...
TAG Carex, chromosome number, Cyperaceae
Pollen morphology and character evolution in the subtribe Neoguillauminiinae (Euphorbiaceae)
( Ki-ryong Park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9] 제49권 제2호, 101~106페이지(총6페이지)
서양등골나물은 우리나라에서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된 외래 침입종이다. 북아메리카 동부지역이 원산지인 이 외래 식물에 대해 각각 2개의 학명(Eupatorium rugosum Houtt., Ageratina altissima (L.) R. M. King & H. Rob.)과 국명(서양등골나물 및 미국등골나물)이 혼용되고 있어 분류학적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의 분류학적 실체와 내력을 밝혀 분류학적 혼란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미국등골나물과 서양등골나물은 동일한 분류군으로서 린네가 Species Plantarum에 Ageratum altissimum으로 처음 기재한 종이다. 이 종은 Eupatorium속으로 전이되어 대체명이 공표되고 이후 Ageratina속으로 전이되었다...
TAG pollen morphology, Neoguillauminia, Calycopeplus, Neoguillauminiinae, Euphorbiaceae
A comparative morphological study of Viburnum (Adoxaceae) in Korea
( Yun Gyeong Choi ) , ( Sang-hun Oh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9] 제49권 제2호, 107~117페이지(총11페이지)
서양등골나물은 우리나라에서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된 외래 침입종이다. 북아메리카 동부지역이 원산지인 이 외래 식물에 대해 각각 2개의 학명(Eupatorium rugosum Houtt., Ageratina altissima (L.) R. M. King & H. Rob.)과 국명(서양등골나물 및 미국등골나물)이 혼용되고 있어 분류학적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의 분류학적 실체와 내력을 밝혀 분류학적 혼란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미국등골나물과 서양등골나물은 동일한 분류군으로서 린네가 Species Plantarum에 Ageratum altissimum으로 처음 기재한 종이다. 이 종은 Eupatorium속으로 전이되어 대체명이 공표되고 이후 Ageratina속으로 전이되었다...
TAG morphology, Viburnum, Adoxaceae, Viburnaceae
Evaluation of the taxonomic rank of the terrestrial orchid Cephalanthera subaphylla based on allozymes
( Mi Yoon Chung ) , ( Sungwon Son ) , ( Jae Min Chung ) , ( Jordi López-pujol ) , ( Tomohisa Yukawa ) , ( Myong Gi Chung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9] 제49권 제2호, 118~126페이지(총9페이지)
서양등골나물은 우리나라에서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된 외래 침입종이다. 북아메리카 동부지역이 원산지인 이 외래 식물에 대해 각각 2개의 학명(Eupatorium rugosum Houtt., Ageratina altissima (L.) R. M. King & H. Rob.)과 국명(서양등골나물 및 미국등골나물)이 혼용되고 있어 분류학적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의 분류학적 실체와 내력을 밝혀 분류학적 혼란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미국등골나물과 서양등골나물은 동일한 분류군으로서 린네가 Species Plantarum에 Ageratum altissimum으로 처음 기재한 종이다. 이 종은 Eupatorium속으로 전이되어 대체명이 공표되고 이후 Ageratina속으로 전이되었다...
TAG allozymes, Bayesian clustering approach, Cephalanthera, Nei’s genetic identity, PCoA, species rank
Exploring natural hybridizations among Asplenium ruprechtii and related taxa in Korea
( Chang Shook Lee ) , ( Sung Hee Yeau ) , ( Kyong-sook Chung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9] 제49권 제2호, 127~139페이지(총13페이지)
서양등골나물은 우리나라에서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된 외래 침입종이다. 북아메리카 동부지역이 원산지인 이 외래 식물에 대해 각각 2개의 학명(Eupatorium rugosum Houtt., Ageratina altissima (L.) R. M. King & H. Rob.)과 국명(서양등골나물 및 미국등골나물)이 혼용되고 있어 분류학적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의 분류학적 실체와 내력을 밝혀 분류학적 혼란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미국등골나물과 서양등골나물은 동일한 분류군으로서 린네가 Species Plantarum에 Ageratum altissimum으로 처음 기재한 종이다. 이 종은 Eupatorium속으로 전이되어 대체명이 공표되고 이후 Ageratina속으로 전이되었다...
TAG Asplenium ruprechtii, Asplenium hybrids, hybrid origin, cpDNA, flow cytometry, Aspleniaceae
제비꽃속(제비꽃과)의 신종: 가지제비꽃(Viola ramiflora K. O. Yoo)
김경아 ( Kyung-ah Kim ) , 이호 ( Ho Lee ) , 천경식 ( Kyeong-sik Cheon ) , 유기억 ( Ki-oug Yoo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9] 제49권 제2호, 140~144페이지(총5페이지)
제주도에서 제비꽃속의 신종인 가지제비꽃(Viola ramiflora K. O. Yoo)을 새로이 발견하여 기재 및 도해하였다. 가지제비꽃은 꽃이 연한 자색이고 잎이 삼각상 난형, 난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엽병에 얕은 날개가 발달한다는 점에서 제비꽃계열의 털제비꽃, 서울제비꽃, 흰털제비꽃, 그리고 왜제비꽃과 비슷하나 폐쇄화와 개방화의 화경이 뚜렷하게 분지하며, 폐쇄화의 포엽이 장란형으로 신장하는 특징을 가져 신종으로 명명하였다.
TAG 제비꽃속, 가지제비꽃, 신종, 제주도, Viola, Viola ramiflora, new species, Jeju-do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