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음악사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음악사학보99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조선시대 금악(今樂)의 관념
전지영 ( Jeon Ji-young )  한국음악사학회, 한국음악사학보 [2018] 제60권 195~215페이지(총21페이지)
개념적으로 금악(今樂)은 고악(古樂)에 대비되는 음악이다. 조선시대 유자(儒者)들에게 금악은 모순적 존재였다. 금악이란 조선의 당대라고 하는 시공간을 응축하는 것이며, 이는 곧 중국이 아닌 조선에서 살고 있는 유자들 스스로 갖게 되는 모순이기도 하다. 그들은 예악론(禮樂論)의 가르침에 입각하여 조선 금악에 대해 맹목적 비판을 하기도 하고 ‘금악과 고악이 다르지 않다’는 가르침에 의거한 신축적 자세로 그 가치를 인정하기도 했다. 대략 17세기 이후 금악은 조선사회에서 사회적 인정을 획득했으며, 그 결과 오늘날 전통음악의 역사가 풍성하게 구축될 수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소비적이고 음란한 음악에 대한 판단기준은 모호했으며, 18-19세기 주된 비판의 대상들은 훗날 ‘바른 음악’의 범주로 인정ㆍ통합되었다. 금악이 고악의 현현으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마음’을 갖...
TAG 금악(今樂), 고악(古樂), 예악론, 속악, 아악, Music of the time, music of the ancient, ye-ak ideology, sok-ak, a-ak
국악실내악단 활동의 흐름과 전망
현경채 ( Hyun Kyung-chae )  한국음악사학회, 한국음악사학보 [2018] 제60권 217~251페이지(총35페이지)
본 논문은 국악실내악단 활동의 흐름과 전망에 관한 연구이다. 국악실내 악단 음악에 대한 전면적인 정리 및 고찰을 위해 실내악의 음악적 흐름에 따라 카테고리를 나누어 경향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20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 일어난 음악의 흐름 가운데 국악을 전공한 음악인들이 주도해 다른 음악 장르와 교섭을 하면서 국악의 경계를 넓히거나 넘어서려고 한 국악실내악단의 흐름을 파악하고 개괄하는 데에 있다. 나아가 여기서 나타나는 국악실내악단 활동의 흐름을 구분 짓고 특징을 정리한 뒤, 연구의 말미에는 우리에게 남은 쟁점을 제기하였다. 국악실내악이라는 영역 안에서 축적된 음악의 정리는 한국음악사 연구 중 일정 부분을 구축하거나 음악적 흐름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국악실내악단의 활동의 본격적인 시작은 19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980...
TAG 국악실내악단, 슬기둥, 어울림, 블랙스트링, 퓨전국악, 비빙, 정가악회, 잠비나이, 이희문, 바람곶, 현대음악앙상블, 씽씽, 악단광칠, 공명, Korean traditional chamber music group, Seul Gi Doong (Sugidung)
우리 전통공연예술연구의 제도사적 접근 - 조순자. 『한국무형문화재 제도사연구』. 서울: 민속원, 2018. -
한바다  한국음악사학회, 한국음악사학보 [2018] 제60권 253~271페이지(총19페이지)
본 논문은 국악실내악단 활동의 흐름과 전망에 관한 연구이다. 국악실내 악단 음악에 대한 전면적인 정리 및 고찰을 위해 실내악의 음악적 흐름에 따라 카테고리를 나누어 경향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20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 일어난 음악의 흐름 가운데 국악을 전공한 음악인들이 주도해 다른 음악 장르와 교섭을 하면서 국악의 경계를 넓히거나 넘어서려고 한 국악실내악단의 흐름을 파악하고 개괄하는 데에 있다. 나아가 여기서 나타나는 국악실내악단 활동의 흐름을 구분 짓고 특징을 정리한 뒤, 연구의 말미에는 우리에게 남은 쟁점을 제기하였다. 국악실내악이라는 영역 안에서 축적된 음악의 정리는 한국음악사 연구 중 일정 부분을 구축하거나 음악적 흐름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국악실내악단의 활동의 본격적인 시작은 19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980...
만남의 인연을 소중히 여긴 삶의 울타리(I) - 존경하는 세 스승께서 가르친 값진 인생교훈 -
송방송  한국음악사학회, 한국음악사학보 [2018] 제60권 273~308페이지(총36페이지)
본 논문은 국악실내악단 활동의 흐름과 전망에 관한 연구이다. 국악실내 악단 음악에 대한 전면적인 정리 및 고찰을 위해 실내악의 음악적 흐름에 따라 카테고리를 나누어 경향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20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 일어난 음악의 흐름 가운데 국악을 전공한 음악인들이 주도해 다른 음악 장르와 교섭을 하면서 국악의 경계를 넓히거나 넘어서려고 한 국악실내악단의 흐름을 파악하고 개괄하는 데에 있다. 나아가 여기서 나타나는 국악실내악단 활동의 흐름을 구분 짓고 특징을 정리한 뒤, 연구의 말미에는 우리에게 남은 쟁점을 제기하였다. 국악실내악이라는 영역 안에서 축적된 음악의 정리는 한국음악사 연구 중 일정 부분을 구축하거나 음악적 흐름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국악실내악단의 활동의 본격적인 시작은 19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980...
일해(一海)의 책 속에 숨겨진 인생교훈의 편린(片鱗) - 우리음악사연구의 정진 때 얻은 다섯 성과물을 중심으로 -
송방송  한국음악사학회, 한국음악사학보 [2017] 제59권 323~357페이지(총35페이지)
본 논문은 국악실내악단 활동의 흐름과 전망에 관한 연구이다. 국악실내 악단 음악에 대한 전면적인 정리 및 고찰을 위해 실내악의 음악적 흐름에 따라 카테고리를 나누어 경향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20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 일어난 음악의 흐름 가운데 국악을 전공한 음악인들이 주도해 다른 음악 장르와 교섭을 하면서 국악의 경계를 넓히거나 넘어서려고 한 국악실내악단의 흐름을 파악하고 개괄하는 데에 있다. 나아가 여기서 나타나는 국악실내악단 활동의 흐름을 구분 짓고 특징을 정리한 뒤, 연구의 말미에는 우리에게 남은 쟁점을 제기하였다. 국악실내악이라는 영역 안에서 축적된 음악의 정리는 한국음악사 연구 중 일정 부분을 구축하거나 음악적 흐름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국악실내악단의 활동의 본격적인 시작은 19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980...
한국 전통음악기록물의 보존과 활용 -국악아카이브 소장 기록물을 중심으로-
노예리 ( Noh Yea-ri )  한국음악사학회, 한국음악사학보 [2017] 제59권 43~82페이지(총40페이지)
공연예술의 현장이나 예술가의 생애를 남겨놓는 일은 예술가 개인의 기록일 뿐 아니라 문화의 흐름을 엿볼 수 있는 소중한 유산이자 세계 유일의 문화자원을 탄생시키는 일이다. 시공간의 제약을 받는 장르의 특성 때문에 기록행위가 적극 개입되지 않는다면 공연예술의 흔적은 무대 실연과 동시에 소멸될 수 있다. 때문에 창작과정에서부터 무대 위 실연에 이르는 '과정의 기록'에 대한 가치와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과 공연예술 기록물에 대한 가치 변화는 특정 주제나 장르를 중심으로 기록물을 수집·관리하는 기관을 탄생시켰고, 2007년 국립국악원 국악아카이브(Kugak Archive)는 본격적인 업무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악아카이브가 10여 년간 수집한 한국 전통음악기록물을 대상으로 기록물의 보존 및 활용의 관점에서 그간의 성과와 향후 과제에 대해...
TAG 국악아카이브, 국립국악원, 한국 전통음악기록물, 공연예술, kugak Archive,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he National Gugak Center, Korean Traditional Music Records, Performing arts
발해(渤海) 구금(口琴)에 대한 악기학적 검토
이진원 ( Lee Jin-weon )  한국음악사학회, 한국음악사학보 [2017] 제59권 153~178페이지(총26페이지)
2015년 연해주(沿海州) 발해(渤海) 유적지 니콜라예프카(Nikolaevka) 성터에서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구금(口琴, 바르간)이 발견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구금의 발견과 그 발견의 의의를 어떻게 검토고자, 구금의 기원과 발생에 대해 먼저 검토하고, 이어 유적의 구금의 악기적인 특성, 및 관련 악기인 황(簧)에 대한 우리나라에서의 인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발해 구금의 발견과 그 발견의 의의를 음악사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구금의 기원에 대해서 살펴보면 중국문헌에 황(簧)이라는 이름의 악기로 매우 오랜 역사를 갖고 있었음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그 흔적은 중국의 『시경』(詩經)을 비롯한 다양한 문헌에 그 모습을 전하고 있었으며, 동한대(東漢代)에 죽구금(竹口琴)과 철구금(鐵口琴), 송대(宋代)에 죽황(竹...
TAG 발해(渤海), 발해 구금(口琴), 황(簧), 죽구금(竹口琴), 철구금(鐵口琴), 죽황(竹簧), 아황(雅簧), 철황(鐵簧), kugum, Mouth organ, Vargan, Hwang, Parhae music, Overtone music
창극의 서양음악 수용 양상과 그 의미
이진주 ( Lee Jin-joo )  한국음악사학회, 한국음악사학보 [2017] 제59권 179~208페이지(총30페이지)
이 글은 창극이 서양음악 양식을 받아들이고 기존의 판소리 음악과 서양 음악을 혼합시킴으로써, 창극의 음악양식을 변화시켜 간 양상을 추적하고 그 의미를 고찰해보았다. 창극은 판소리에 뿌리를 두고 있으나 원래 대중극으로 출발했기 때문에, 음악의 측면에서도 화려하고 풍부한 표현을 발전시켜 나갔다. 노래의 반주는 북반주에서 수성반주로, 화성적인 대규모 국악관현악으로, 국악과 양악을 혼합하고 다양한 악기를 활용하는 퓨전 밴드로 확장되었다. 노래 양식은 판소리 창법을 기준으로 하되 다양해진 반주 음악과 더불어 양악의 리듬, 화성, 음계 등 여러 양식을 받아들였다. 이러한 변화는 특히 2000년대에 들어서 활발해졌으며, 이 시기의 창작자들이 오페라나 뮤지컬 같은 서구의 타음악극을 의식한 흔적이 뚜렷하다. 그러나 현대 창작 국악에서 국악과 양악을 혼합하는 것이 국악의 현대...
TAG 창극, 음악극, 창극의 현대화, 국악과 양악, 국악관현악, , Ch`angguk, Musical, Modernization of Ch`angguk,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Kugak orchestra, Gap
실물로 전하는 신라의 악기(1)-국내 소장품을 중심으로-
김성혜 ( Kim Seong-hae )  한국음악사학회, 한국음악사학보 [2017] 제59권 5~42페이지(총38페이지)
실물로 전하는 신라시대 악기는 문헌이나 도상자료에서 파악할 수 없는 악기재료나 제작방법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또한 음색이나 음정 및 음역 등의 음원 정보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실물은 신라음악을 복원하고 재현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사료이고, 또한 역사적 가치가 높다. 따라서 본고는 신라악기를 복원하고 신라음악을 재현하기 위해서 실물로 전하는 신라악기의 종류와 소장처를 파악하고 각 악기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밝히고자 시도한 글이다. 국내 실물로 전하는 신라악기의 종류는 관악기 1점과 타악기 9점, 이상 총 10점으로 파악된다. 관악기는 당삼채(唐三彩) 훈(壎) 1점이 유일하다. 그리고 타악기의 경우 북 종류가 2점인데, 창녕(昌寧) 화왕산성(火旺山城) 출토 북통 1점 및 하남시(河南市) 이성산성(二聖山城) 출토 요고(腰鼓) 1점이 전한다. 징 종류로...
TAG 신라악기, 신라음악, 관악기, 신라종, , Silla instruments, Silla music, pipe instrument, Silla bell, drum
신라고도 경주에서 만발한 전통공연예술의 꽃을 찾아서 - 『장월중선의 예술세계』 및 『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을 중심으로 -
한바다  한국음악사학회, 한국음악사학보 [2017] 제59권 307~322페이지(총16페이지)
실물로 전하는 신라시대 악기는 문헌이나 도상자료에서 파악할 수 없는 악기재료나 제작방법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또한 음색이나 음정 및 음역 등의 음원 정보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실물은 신라음악을 복원하고 재현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사료이고, 또한 역사적 가치가 높다. 따라서 본고는 신라악기를 복원하고 신라음악을 재현하기 위해서 실물로 전하는 신라악기의 종류와 소장처를 파악하고 각 악기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밝히고자 시도한 글이다. 국내 실물로 전하는 신라악기의 종류는 관악기 1점과 타악기 9점, 이상 총 10점으로 파악된다. 관악기는 당삼채(唐三彩) 훈(壎) 1점이 유일하다. 그리고 타악기의 경우 북 종류가 2점인데, 창녕(昌寧) 화왕산성(火旺山城) 출토 북통 1점 및 하남시(河南市) 이성산성(二聖山城) 출토 요고(腰鼓) 1점이 전한다. 징 종류로...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