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AND 간행물명 : 교육정보미디어연구71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간접활선공법 훈련을 위한 협업 기반 가상현실 훈련 콘텐츠 개발 및 평가 사례 연구
유지원 ( Ji Won You ) , 박기현 ( Ki Hyun Par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19] 제25권 제4호, 873~893페이지(총21페이지)
전력분야는 안전에 대한 위험성이 따르는 작업환경으로 인해 현장실습이 쉽지 않아 가상현실 기반 훈련에 관심이 높다. 최근 전력선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간접활선공법이라는 새로운 작업공법이 등장함에 따라 관련 기술을 훈련할 수 있는 가상현실 기반 훈련 콘텐츠에 대한 요구가 있다. 간접활선공법은 스마트스틱이라고 불리는 도구를 사용하여 2인이 함께 작업을 수행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명의 작업자가 훈련을 함께 할 수 있는 가상현실 기반의 간접활선공법훈련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콘텐츠는 프로토타입(prototype)을 개발하고 개발과정에서 프로토타입에 대한 사용자 테스트를 거쳐 개발을 완료해 나가는 래피드 프로토타이핑(rapid prototyp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프로토타입 테스트는 23명의 사용자가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고 2명의 관...
TAG Virtual reality technology, Training Contents, User test, Collaboration-based, Indirect live-line work, 가상현실, 훈련콘텐츠, 사용자 테스트, 협업 기반, 간접활선공법
데이터마이닝 기반 MOOC 학습환경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잠재요인 군집 분석 모델 개발
나종화 ( Jong Hwa Na ) , 임성태 ( Sung Tae Lim ) , 김은희 ( Eun Hee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19] 제25권 제3호, 403~429페이지(총27페이지)
4차 산업혁명 단계로 넘어오면서 디지털 기기의 발달과 더불어, 대학의 내·외부에서는 학업성적관리 프로그램, 학습관리시스템, 학습진단시스템 등의 교육 지원시스템 사용이 보편화되고, 활성화되었다. 이러한 스마트교육 환경을 기반으로 막대한 양의 교육적 활용 데이터가 축적됨에 따라 이를 새로운 가치로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이 대학교육 혁신의 중요한 평가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빈도, 평균, 편차 등의 기술통계 분석에서 얻어지는 정보 외에 방대한 양의 데이터 분석 및 성과 예측을 위한 데이터마이닝 기반의 분석 모델 과정을 적용하여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C대학에서 실시한 MOOC 교육 요구조사 및 자기주도학습 역량 측정을 통해 수집된 579명의 학부생 설문조사 결과 데이터를 활용한 결과, 첫 번째, 자기주도학습 요인 분석에서는 학습목표지향...
TAG Self-Directed Learning, Data Mining, Unsupervised Learning, Factor Analysis, Clustering, 자기주도학습, 데이터마이닝, 비지도학습, 요인 분석, 군집 분석
대학이러닝 학습자의 모바일학습에서 학습행태, 학습스타일, 학업성취도에 대한 연구
노혜란 ( Roh Hye Lan ) , 최미나 ( Choi Mina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19] 제25권 제3호, 431~450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는 대학이러닝에서 학습자들의 모바일 학습행태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학습자의 학습스타일에 따라 모바일 학습행태에 차이가 있는지, 학습자 특성과 모바일 학습행태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모바일 학습행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2015년 1학기에 충북의 S대학교에서 모바일 수강이 가능한 이러닝 강좌를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LMS의 접속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 누적 PC 학습시간과 모바일학습 시간을 조사하였고,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4개의 모바일 학습행태 측정문항을 개발하였다. 학습스타일의 분석을 위해 Gregorc의 도구를 활용하였으며 성취도는 수강과목의 학점을 활용하였다. 유효한 대상자는 총 85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자의 모바일 학습행태를 분석한 결과 수강 학기 동안 학습자는 평균 1,290분을 학습했는데 PC...
TAG Mobile Learning, Mobile Learning behavior, Learning Style, Academic Achievement, e-learning of university, 모바일학습, 모바일 학습행태, 학습스타일, 학업성취도, 대학이러닝
우리나라 MOOC 관련 연구의 흐름과 동향: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김상미 ( Sang-mi Kim ) , 김성겸 ( Sung-kyeum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19] 제25권 제3호, 451~476페이지(총26페이지)
글로벌 고등교육의 메가트렌드로 등장한 MOOC는 찬반양론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우리나라 또한 K-MOOC이 시작되면서 실천과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까지 국내 MOOC 관련 연구를 종합하여 관련 연구가 어떻게 수행되어 왔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와 실천에 관한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MOOC 관련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 91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연구영역, 연구방법, 담화 유형에 관한 분석틀을 준거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MOOC 관련 연구는 혁신·변화, 관리·조직에 관한 중간 수준에의 연구가 가장 높은 42%의 비율을 차지한 반면 거시적 수준에서의 연구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연구방법에서는 질적 연구가 가장 많았으나, 2015년 이후 국내 MO...
TAG 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 K-MOOC, Research Trend, Trend analysis, 무크, 연구동향, 동향분석
이러닝 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유화영 ( Hwayoung Yu ) , 임유진 ( Eugene L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19] 제25권 제3호, 477~497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정서지능, 이러닝 품질, 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강좌에 등록을 한 K대학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기말에 학습관리시스템(LMS)을 통해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설문에 성실히 응답한 533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모델링 분석을 통하여 정서지능, 이러닝 품질, 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첫째,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정서지능과 학습자가 지각하는 이러닝의 품질은 학습자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습자의 정서지능은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러닝 환경에서...
TAG e-learning, emotional intelligence, e-Learning quality, self-efficacy, learners’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이러닝, 정서지능, 이러닝 품질, 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CSCL 환경에서 초등학생을 위한 통합 지원 CSCL 스크립트 개발 및 활용 효과
김태우 ( Taewoo Kim ) , 이영주 ( Youngju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19] 제25권 제3호, 499~524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CSCL 환경에서 팀 구성원 간 주제 대화 맥락이 짧고 협력보다는 개인별 수준 활동에 참여하는 성향이 강한 초등학생 학습자의 학습 성과와 공유지식 형성 향상을 위해 개발한 통합 지원 CSCL 스크립트의 효과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통합 지원 CSCL 스크립트는 협력학습 전 과정을 과제 확인, 계획세우기, 개인 학습과 팀 학습의 교차 배치, 개인 성찰과 팀 성찰의 교차 배치, 최종 개인 성찰, 최종 팀 성찰 단계로 구성하고 각 단계에 대한 안내 내용을 담은 거시적 스크립트와 개인 성찰과 팀 성찰 단계에서 학습자의 효과적인 성찰 활동을 지원하는 인지적 수준과 메타인지적 수준의 질문 프롬프트 내용을 담은 미시적 스크립트가 함께 구성된 CSCL 스크립트의 한 종류이다. 연구는 초등학생 6학년 2개 학급 38명 대상으로 학급별로 실험집단과...
TAG CSCL, CSCL scripts, Elementary students, Learning outcomes, Shared knowledge, CSCL 스크립트, 초등학생, 학습 성과, 공유지식
K-MOOC에서 수강의도, 품질,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지속적인 사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수연 ( Kim Suyoun ) , 박인우 ( Park Innwo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19] 제25권 제3호, 525~549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K-MOOC을 수강하는 학습자들의 수강의도, K-MOOC 품질에 대해 파악하고,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지속적인 사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의 S대학에서 K-MOOC에 탑재한 2017년도 2개 강좌, 2018년도 2개 강좌의 수강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Google 설문지를 이용하여 검사 도구를 제작하였으며, 학습자들에게 강좌 내 공지와 메일을 통해 설문조사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인원은 총 181명으로, 중복응답자 15명을 제외한 16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MOOC에서 수강의도와 품질은 학습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MOOC에서 학습만족도는 학업성취도와...
TAG K-MOOC,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Intention to take, Quality of K-MOOC, 수강의도, 이러닝품질, 기술수용모델, 정보시스템성공모델
과학관에서의 통합적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한 관람객 반응 및 지식통합 양상
박현진 ( Hyunjin Park ) , 소효정 ( Hyo-jeong S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19] 제25권 제3호, 551~576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과학관의 분절적 전시관람 경험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서 ‘통합적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제안하고 이것의 작용과 지식통합 양상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개발의 근거가 되는 설계원칙을 구조적, 내용적, 지식 통합적 측면에서 도출하였으며, 실험으로 이것의 작용 양상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모바일 기반 통합적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설계원칙은 어린이 관람객의 과학관 학습 경험에 어떠한 작용을 하는가?; (2) 통합적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어린이 관람객의 지식통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실험은 서울 소재 어린이과학관에서 초등학생(10세~12세) 14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연구참여자들은 생물과 환경을 주제로 한 통합적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전시와 함께 경험하였다. 이 때 참여자들의 담화...
TAG storytelling, digital Storytelling, digital storytelling design principles, learning in science cistern, informal learning, 스토리텔링, 디지털 스토리텔링, 디지털 스토리텔링 설계원칙, 과학관 학습, 비형식학습
메이커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동국 ( Dongkuk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19] 제25권 제3호, 577~600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는 메이커 교육의 효과에 대하여 여러 연구 결과를 통합하여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결론을 내리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수행된 메이커 교육에 대한 국내 문헌 19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메이커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 변인별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메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이커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0.844로 효과크기가 크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학생 변인별 효과크기는 모든 학교급에서 중간 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영재 학생보다 일반 학생이 더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주요 교수설계 변인별 효과크기로 교과교육에서 메이커 교육이 실행되고 디자인 씽킹이나 TMSI가 적용되었을 때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교...
TAG Maker Education, Maker Space, Meta-analysis, 메이커 교육, 메이커 스페이스, 메타분석
실제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사례기반 심리스러닝
조해리 ( Hae Ree Cho ) , 조영환 ( Young Hoan Cho ) , 김미화 ( Mi Hwa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19] 제25권 제2호, 223~249페이지(총27페이지)
실제적인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교 안과 밖의 경험을 서로 연결해주는 심리스러닝(seamless learning)이 필요하다. 그리고 심리스러닝을 지원하는 데 있어서 사례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학습자가 스스로 사례를 만듦으로써 자신의 경험을 의미 있게 이해하고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으며, 교수자로부터 제공받은 사례를 통해 학교에서 학습한 지식을 활용하여 어떻게 실제적인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서 학습자가 학교 안에서 배운 내용을 학교 밖의 실제적인 맥락에 적용하여 사례를 만들고 공유하는 사례기반 심리스러닝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례기반 심리스러닝을 3주 동안 실행하고, 사례기반 심리스러닝의 장점과 제한점에 대한 학습자의...
TAG Seamless learning, Case-based learning, Authentic problem solving, 심리스러닝, 사례기반학습, 실제적 문제해결
 1  2  3  4  5  6  7  8  9  10